후티

예멘의 무장한 자이디 시아파 종교 및 정치 운동
(후티 반군에서 넘어옴)

후티(아랍어: الحوثيون) 또는 공식 명칭 안사르 알라(아랍어: أنصار الله, "알라의 조력자")는 예멘자이디야 시아파 이슬람주의 운동이자 무장 단체이다.

후티
الحوثيون  (아랍어)
후티 반란, 이란-사우디아라비아 대리 전쟁, 예멘 내전, 사우디아라비아 주도 연합군의 예멘 개입,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홍해 위기, 2024년 예멘 공습, 번영의 수호자 작전에 참전
후티의 슬로건. "신은 위대하시다. 미국에게 죽음을. 이스라엘에게 죽음을. 유대인에게 저주를. 이슬람에게 승리를."
후티의 슬로건.
"신은 위대하시다. 미국에게 죽음을. 이스라엘에게 죽음을. 유대인에게 저주를. 이슬람에게 승리를."
활동기간 1994년~현재
(2004년 이후 무장)
이념 자이디야 시아파 이슬람주의[1]
반제국주의[2]
반시온주의[3]
반서방주의
반미주의
이슬람 근본주의
지아드파
지도자 후세인 바르레딘 알후티 (2004년 사망)
압둘 말리크 알후티 (현재)
본부 예멘의 기 예멘
활동지역 아라비아 반도
병력 100,000[4] ~ 200,000
동맹단체 최고 혁명위원회
헤즈볼라
하마스
동맹국가 이란의 기 이란
시리아 시리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
중화인민공화국 중국
러시아 러시아
팔레스타인의 기 팔레스타인
베네수엘라의 기 베네수엘라
쿠바의 기 쿠바
니카라과의 기 니카라과
오만 오만
에리트레아 에리트레아
적대단체 유엔 유엔
유럽 연합 유럽 연합
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
알이슬라
카타이브
아카데미
알카에다 알카에다
AQAP
이슬람 국가
적대국가 예멘 예멘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이집트 이집트
요르단 요르단
수단 수단
바레인 바레인
모로코 모로코
소말리아 소말리아
세네갈 세네갈
벨기에 벨기에
프랑스 프랑스
네덜란드 네덜란드
미국 미국
영국 영국
캐나다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호주
이스라엘 이스라엘
세이셸 세이셸
독일 독일
뉴질랜드 뉴질랜드
대한민국 대한민국
인도 인도
스리랑카 스리랑카
파키스탄 파키스탄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이탈리아 이탈리아
덴마크 덴마크
노르웨이 노르웨이
그리스 그리스
싱가포르 싱가포르
미국 미국, 유엔 유엔, 예멘 예멘,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정부에 의해 테러조직으로 지정

1990년대부터 자이디 종교 지도자 후세인 알후티를 중심으로 예멘 공화국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의 부패와 친서방 정책에 반대하며 등장하였다. 2004년 후세인 알후티가 정부군에 사살되자 후티 반란이 촉발되었고 이후 그 동생 압둘말리크 알후티가 지도자 역할을 하고 있다. 2011년 아랍의 봄 물결로 일어난 예멘 혁명에 관여하였고 압드라보 만수르 하디 과도정부 협상에 참여하였으나 결렬되어 떠났다.

2014년에는 후티 쿠데타를 일으켜 수도를 점령하고 2015년 1월에는 대통령궁까지 장악하며 반란을 성공시켰으나 하디 대통령이 남부 지역으로 도피하고 옛 남예멘 지역의 지방정부들이 후티를 따르기를 거부하자 예멘 전체의 주도권을 놓고 예멘 내전이 시작되어 현재까지 진행 중이다. 이에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는 이들과 대립하며 군사적 충돌이 이어지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이를 이란-사우디아라비아 대리 분쟁의 일환으로 바라본다.

피해

편집

번영의 수호자 작전

편집

2025년 3월 미국의 예멘 공격

편집

2025년 3월 15일 예멘 전역에서 최소 40회의 미군 공습이 있었으며, 대부분의 공습은 후티 점령지이자 수도인 사나사다 주를 목표로 했다. 사나에서는 8차례 공습이 있었고, 그 중 1차례는 주거 지역을 타격하여 15명이 사망하고 9명이 부상당했다.[5] 그 외에도 사나 국제공항과 군사 시설이 있는 지역이 타격을 받았으며, 검은 연기가 하늘로 치솟는 모습이 포착되었다.[6] 사나 북부의 Geraf 지역에서는 4차례 공습이 있었다.[7][6] 알마시라(Al-Masirah)와 다른 현지 미디어는 동부 표준시 오후 1시 30분에 사나에서 공습이 있었다고 보도했다.[8][9] 사다에서는 12차례의 공습이 있었고, 그 중 하나는 Dahyan에 있는 전력소를 타격해 정전이 발생하였다. 타이즈의 군사 시설도 타격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이브 주 카자 지역에서는 후티 미디어가 두 개의 주택 건물이 미국의 공격을 받아 15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다.[5] 바이다 주에서는 8차례의 공습이 있었으며, 다마르 주, 하자 주, 마리브 주도 추가적인 공격을 받았다.[10][5]

미국 중부사령부에 따르면, 이번 공격은 광범위한 작전의 시작으로,[11] 후티 반군의 상업 및 군함 공격으로 수개월간 혼란이 지속된 홍해의 안정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한다.[1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보관된 사본”.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22일에 확인함. 
  2. “보관된 사본”. 2014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22일에 확인함. 
  3. “보관된 사본”. 2014년 10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22일에 확인함. 
  4. Houthis Kill 24 in North Yemen, 27, November, 2011
  5. Ali, Marium. “Mapping US attacks on Yemen”. 《Al Jazeera》 (영어). 2025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3월 16일에 확인함. 
  6. “Trump orders strikes on Iran-backed Houthi rebels in Yemen and issues new warning”. 《AP News》 (영어). 2025년 3월 15일. 2025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3월 15일에 확인함. 
  7. “Houthis say children among 32 killed after US fighter jets bomb Yemen”. 《Al Jazeera》 (영어). 2025년 3월 16일에 확인함. 
  8. Ravid, Barak (2025년 3월 15일). “U.S. conducts wide-ranging strikes against the Houthis in Yemen”. 《Axios》 (영어). 2025년 3월 15일에 확인함. 
  9. “Message to Iran: US officials confirms strikes on Houthi targets”. 《The Jerusalem Post》 (영어). 2025년 3월 15일. 2025년 3월 15일에 확인함. 
  10. Ben Ari, Lior (2025년 3월 16일). “Dozens killed in US strikes on Houthi targets across Yemen: 'They're everywhere'. 《Ynetnews》 (영어). 2025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3월 16일에 확인함. 
  11. “Trump launches large-scale strikes against Yemen's Houthis”. 《Reuters》. 2025년 3월 15일. 
  12. Schmitt, Eric; Swan, Jonathan (2025년 3월 15일). “U.S. Launches Broad Attack on Militant Sites in Yemen”. 《The New York Times》 (미국 영어). ISSN 0362-4331. 2025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3월 1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