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그로필라류

히그로필라류(Hygrophila)는 공기 호흡하는 민물 달팽이 분류군 중의 하나로, 범유폐류에 속하는 수생 유폐류복족류 연체동물이다.[1]

히그로필라류
Lymnaea stagnalis
Lymnaea stagnalis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연체동물문
강: 복족강
아강: 이새아강
하강: 직신경하강
상목: 히그로필라상목
(Hygrophila)
Férussac, 1822
상과
  • 본문 참조

이 분류군에 있는 과들은 민물 삿갓조개류를 포함하여 기본적으로 공기 호흡하는 민물 달팽이이다. 종의 수가 가장 많은 3개 과는 물달팽이과, 또아리달팽이과 그리고 왼돌이물달팽이과이다. 이 종들은 못, 샛강, 개천, 얕은 호수 등 거의 전 세계에서 발견된다. 이 분류군에 있는 달팽이들은 눈이 육상의 참달팽이 병안류처럼 촉각 끝단보다는 촉각 하부에 위치한다. 얇고, 반투명의 비교적 무채색의 조가비 껍질을 지니고 있으며, 덮개딱지가 없다.

하위 분류

편집

1997년 분류

편집

이전 분류 체계인 1997년 복족류 분류(폰더 & 린더버그)는 이들 과를 기안아목으로 분류했다.

2005년 분류

편집

히그로필라류를 유폐류 내의 비공식군 기안류에 속하는 분류군의 하나로 분류했다.[2]

참고: 이전 분류 체계의 민물삿갓조개과 (Ancylidae)는 새 분류 체계에서 또아리물달팽이과(Planorbidae)의 또아리물달팽이아과(Planorbinae)에 속하는 민물삿갓조개족(Ancylini)으로 강등되었다.

2010년 분류

편집

기안류(고랑따개비상과, 암피볼라상과, 히그로필라류)가 다계통군임이 밝혀짐에 따라, 2010년 요르거(Jörger)와 그의 공저자들은[1] 히그로필라류를 범유폐류로 옮겼다. 2010년 요르거(Jörger) 등이 제안한 분기도는 이새류의 계통분류학적 관계를 보여준다.[1]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2022년 크루그(Krug) 등의 연구에 의한 범유폐류의 계통 분류이다.[3]

범유폐류
낭설상목

실린드로불라상과

옥시노이상과

꼭지갯민숭붙이상과

날씬이갯민숭붙이상과

고랑딱개비상과

회오리고둥상과

암피볼라상과

아코클리디움상목

히그로필라상목

진유폐상목

대추귀고둥목

수안목

병안목

각주

편집
  1. Jörger K. M., Stöger I., Kano Y., Fukuda H., Knebelsberger T. & Schrödl M. (2010). "On the origin of Acochlidia and other enigmatic euthyneuran gastropods, with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s of Heterobranchia". BMC Evolutionary Biology 10: 323. doi:10.1186/1471-2148-10-323.
  2. Bouchet P.; Rocroi J.; Frýda J.; Hausdorf B.; Ponder W.; Valdés Á.; Warén A. (2005). “복족류 분류 (부쉐 & 로크루아, 2005년)”. 《Malacologia: International Journal of Malacology》 (Hackenheim, Germany: ConchBooks) 47 (1-2): 1–397. ISBN 3925919724. ISSN 0076-2997. 
  3. Krug, Patrick J.; Caplins, Serena A.; Algoso, Krisha; Thomas, Kanique; Valdés, Ángel A.; Wade, Rachael; Wong, Nur Leena W. S.; Eernisse, Douglas J.; Kocot, Kevin M. (2022년 4월 13일). “Phylogenomic resolution of the root of Panpulmonata, a hyperdiverse radiation of gastropods: new insight into the evolution of air breathing”.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영어) 289 (1972). doi:10.1098/rspb.2021.1855. ISSN 0962-8452. PMC 8984808. PMID 35382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