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기하학 에서 힐베르트 다항식 (Hilbert多項式, 영어 : Hilbert polynomial )은 대수다양체 의 함수 대수의 모양을 담고 있는, 생성함수 의 일종이다.
힐베르트 다항식과 힐베르트 급수는 짧은 완전열 에 대하여 가법적이다. 즉, 체
K
{\displaystyle K}
위의 세 개의 유한 생성 등급 가환 결합 대수
A
{\displaystyle A}
,
B
{\displaystyle B}
,
C
{\displaystyle C}
가 주어졌고, 이들이 등급
K
{\displaystyle K}
-가군의 짧은 완전열
0
→
A
→
B
→
C
→
0
{\displaystyle 0\to A\to B\to C\to 0}
을 이룬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HS
A
(
t
)
+
HS
C
(
t
)
=
HS
B
(
t
)
{\displaystyle \operatorname {HS} _{A}(t)+\operatorname {HS} _{C}(t)=\operatorname {HS} _{B}(t)}
HP
A
(
t
)
+
HP
C
(
t
)
=
HP
B
(
t
)
{\displaystyle \operatorname {HP} _{A}(t)+\operatorname {HP} _{C}(t)=\operatorname {HP} _{B}(t)}
이는 짧은 완전열에서 (등급) 벡터 공간의 차원이 가법적이기 때문이다.
S
{\displaystyle S}
가 단순히 등급 벡터 공간이 아니라, 유한 생성 등급 가환 단위 결합 대수 라고 하자. 힐베르트-세르 정리 (영어 : Hilbert–Serre theorem )에 따르면,
S
{\displaystyle S}
는 항상 힐베르트 다항식을 갖는다.[ 1] :42, Theorem 1.11 [ 2] :51, Theorem I.7.5
구체적으로, 생성원들이
s
1
,
…
,
s
h
∈
S
1
{\displaystyle s_{1},\dots ,s_{h}\in S_{1}}
라고 하자. 그렇다면 힐베르트 급수는 다음과 같은 꼴을 취한다. 여기서
P
S
(
t
)
{\displaystyle P_{S}(t)}
는 양의 정수 계수의 다항식 이다.
HS
S
(
t
)
=
P
S
(
t
)
∏
k
=
1
h
(
1
−
t
deg
s
i
)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HS} _{S}(t)=P_{S}(t)\prod _{k=1}^{h}(1-t^{\deg s_{i}})^{-1}}
P
S
=
∑
i
=
0
deg
P
S
P
i
t
i
∈
Z
[
t
]
{\displaystyle P_{S}=\sum _{i=0}^{\deg P_{S}}P_{i}t^{i}\in \mathbb {Z} [t]}
만약 모든 생성원의 등급이 1일 경우, 이는 다음과 같다.
HS
S
(
t
)
=
P
S
(
t
)
(
1
−
t
)
h
=
P
S
(
t
)
∑
i
=
0
∞
(
i
+
h
−
1
h
−
1
)
t
i
{\displaystyle \operatorname {HS} _{S}(t)={\frac {P_{S}(t)}{(1-t)^{h}}}=P_{S}(t)\sum _{i=0}^{\infty }{\binom {i+h-1}{h-1}}t^{i}}
따라서,
HF
S
(
i
)
=
∑
j
=
0
deg
P
S
P
j
(
i
−
j
+
h
−
1
h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HF} _{S}(i)=\sum _{j=0}^{\deg P_{S}}P_{j}{\binom {i-j+h-1}{h-1}}}
이다. 이는
i
{\displaystyle i}
에 대한 다항식이므로,
HP
S
(
t
)
=
∑
j
=
0
deg
P
S
P
j
(
t
−
j
+
h
−
1
)
(
t
−
j
+
h
−
2
)
⋯
(
t
−
j
)
(
h
−
1
)
!
∈
Q
[
t
]
{\displaystyle \operatorname {HP} _{S}(t)=\sum _{j=0}^{\deg P_{S}}P_{j}{\frac {(t-j+h-1)(t-j+h-2)\cdots (t-j)}{(h-1)!}}\in \mathbb {Q} [t]}
로 놓으면
HF
S
(
i
)
=
HP
S
(
i
)
∀
i
≥
deg
P
S
+
1
−
h
{\displaystyle \operatorname {HF} _{S}(i)=\operatorname {HP} _{S}(i)\quad \forall i\geq \deg P_{S}+1-h}
이다. 즉, 등급이 1인 유한 개의 생성원들로 생성되는 등급 가환 단위 결합 대수 의 경우 힐베르트 다항식이 항상 존재하며, 이 경우 힐베르트 정칙성은
deg
P
S
+
1
−
h
{\displaystyle \deg P_{S}+1-h}
이하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생성원들의 등급이 1이 아닐 경우에도 마찬가지 논리로 힐베르트 다항식이 존재한다.
대수기하학 에서, 힐베르트 다항식은 다양하게 응용된다.
대수적으로 닫힌 체
K
{\displaystyle K}
위의
n
{\displaystyle n}
차원 사영 공간
P
k
n
=
Proj
K
[
x
0
,
x
1
,
…
,
x
n
]
{\displaystyle \mathbb {P} _{k}^{n}=\operatorname {Proj} K[x_{0},x_{1},\dots ,x_{n}]}
은 다항식 등급환
K
[
x
0
,
…
,
x
n
]
{\displaystyle K[x_{0},\dots ,x_{n}]}
의 사영 스펙트럼 이며, 그 속의 사영 대수다양체
Proj
(
K
[
x
0
,
x
1
,
…
,
x
n
]
/
I
)
{\displaystyle \operatorname {Proj} (K[x_{0},x_{1},\dots ,x_{n}]/I)}
는 동차 아이디얼
I
⊂
K
[
x
0
,
x
1
,
…
,
x
n
]
{\displaystyle I\subset K[x_{0},x_{1},\dots ,x_{n}]}
에 의하여 정의된다. 이 경우, 사영 대수다양체
X
=
Proj
(
K
[
x
0
,
x
1
,
…
,
x
n
]
/
I
)
{\displaystyle X=\operatorname {Proj} (K[x_{0},x_{1},\dots ,x_{n}]/I)}
의 동차 좌표환
K
[
x
0
,
x
1
,
…
,
x
n
]
/
I
{\displaystyle K[x_{0},x_{1},\dots ,x_{n}]/I}
의 힐베르트 다항식
HP
X
{\displaystyle \operatorname {HP} _{X}}
는 사영 대수다양체의 기하학적 성질과 다음과 같이 대응한다.
HP
X
{\displaystyle \operatorname {HP} _{X}}
의 (다항식으로서의) 차수는
X
{\displaystyle X}
의 차원 과 같다.[ 2] :51, Theorem I.7.5
HP
X
{\displaystyle \operatorname {HP} _{X}}
의 최고차항의 계수는
X
{\displaystyle X}
의 (대수다양체로서의) 차수와
X
{\displaystyle X}
의 차원의 계승 의 비이다.[ 2] :52–54
HP
X
(
d
)
=
deg
X
(
dim
X
)
!
d
dim
X
+
O
(
d
dim
X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HP} _{X}(d)={\frac {\deg X}{(\dim X)!}}d^{\dim X}+{\mathcal {O}}(d^{\dim X-1})}
대수적으로 닫힌 체
K
{\displaystyle K}
위의 비특이 대수다양체
X
{\displaystyle X}
위에 선다발
L
{\displaystyle {\mathcal {L}}}
이 주어졌다고 하자. 이 경우, 히르체브루흐-리만-로흐 정리 에 따라,
χ
(
L
⊗
n
)
=
∫
X
exp
(
c
1
(
L
⊗
n
)
Td
(
X
)
=
∫
X
∑
i
=
1
dim
X
n
i
i
!
c
1
(
L
)
Td
(
X
)
=
P
(
n
)
∈
Q
[
n
]
{\displaystyle \chi ({\mathcal {L}}^{\otimes n})=\int _{X}\exp(c_{1}({\mathcal {L}}^{\otimes n})\operatorname {Td} (X)=\int _{X}\sum _{i=1}^{\dim X}{\frac {n^{i}}{i!}}c_{1}({\mathcal {L}})\operatorname {Td} (X)=P(n)\in \mathbb {Q} [n]}
이며,
P
(
n
)
{\displaystyle P(n)}
은 차수
dim
X
{\displaystyle \dim X}
의 유리수 계수 다항식이다. 만약
L
{\displaystyle {\mathcal {L}}}
이 매우 풍부한 선다발 이라면, 충분히 큰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H
i
(
X
,
L
⊗
n
)
=
0
∀
i
>
0
{\displaystyle H^{i}(X,{\mathcal {L}}^{\otimes n})=0\forall i>0}
이며, 또한 사영 공간 으로의 매장
ι
:
X
↪
P
k
{\displaystyle \iota \colon X\hookrightarrow \mathbb {P} ^{k}}
ι
∗
O
(
1
)
=
L
{\displaystyle \iota ^{*}{\mathcal {O}}(1)={\mathcal {L}}}
이 존재한다.
P
(
n
)
{\displaystyle P(n)}
은 이 매장에 대한 힐베르트 다항식을 이룬다.[ 2] :170, Exercise II.7.6
χ
(
X
,
L
⊗
n
)
=
HP
ι
(
X
)
(
n
)
∀
n
{\displaystyle \chi (X,{\mathcal {L}}^{\otimes n})=\operatorname {HP} _{\iota (X)}(n)\qquad \forall n}
dim
Γ
(
X
,
L
⊗
n
=
χ
(
X
,
L
⊗
n
)
=
HP
ι
(
X
)
(
n
)
∀
n
≫
1
{\displaystyle \dim \Gamma (X,{\mathcal {L}}^{\otimes n}=\chi (X,{\mathcal {L}}^{\otimes n})=\operatorname {HP} _{\iota (X)}(n)\qquad \forall n\gg 1}
이에 따라서, 힐베르트 다항식의 0에서의 값은
X
{\displaystyle X}
의 오일러 지표 가 된다.
χ
(
X
)
=
HP
ι
(
X
)
(
0
)
{\displaystyle \chi (X)=\operatorname {HP} _{\iota (X)}(0)}
보다 일반적으로, 만약
L
{\displaystyle {\mathcal {L}}}
이 풍부한 선다발 이라면, 여전히
χ
(
X
,
L
⊗
n
)
{\displaystyle \chi (X,{\mathcal {L}}^{\otimes n})}
은 다항식을 이루며, 이를 힐베르트 다항식으로 여길 수 있다.
뇌터 가환 국소환
(
R
,
m
)
{\displaystyle (R,{\mathfrak {m}})}
의 유한 생성 가군
M
{\displaystyle M}
및
R
{\displaystyle R}
의 으뜸 아이디얼
q
{\displaystyle {\mathfrak {q}}}
가 주어졌을 때, 등급
R
{\displaystyle R}
-가군
⨁
i
=
0
∞
q
i
M
/
q
i
+
1
M
{\displaystyle \bigoplus _{i=0}^{\infty }{\mathfrak {q}}^{i}M/{\mathfrak {q}}^{i+1}M}
을 정의하자. (여기서
m
0
=
R
{\displaystyle {\mathfrak {m}}^{0}=R}
로 정의한다.) 이 경우,
R
{\displaystyle R}
-가군을 가군의 길이 로 측정한다면, 힐베르트-사뮈엘 함수 (영어 : Hilbert–Samuel function )
HF
M
q
(
i
)
=
length
(
q
i
M
/
q
i
+
1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HF} _{M}^{\mathfrak {q}}(i)=\operatorname {length} \left({\mathfrak {q}}^{i}M/{\mathfrak {q}}^{i+1}M\right)}
를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항상 힐베르트 다항식이 존재함을 보일 수 있으며, 이 힐베르트 다항식을 힐베르트-사뮈엘 다항식 (영어 : Hilbert–Samuel polynomial )이라고 한다.[ 1] :272, Proposition 12.2
힐베르트-사뮈엘 다항식
HP
M
q
(
t
)
{\displaystyle \operatorname {HP} _{M}^{\mathfrak {q}}(t)}
의 차수는
M
{\displaystyle M}
의 크룰 차원 보다 1만큼 작다.[ 1] :274, Theorem 12.4
deg
HP
M
q
(
t
)
=
dim
M
−
1
{\displaystyle \deg \operatorname {HP} _{M}^{\mathfrak {q}}(t)=\dim M-1}
사영 공간 의 힐베르트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2] :52, Proposition I.7.6(c) 다항식환
R
=
K
[
x
0
,
x
1
,
…
,
x
n
]
{\displaystyle R=K[x_{0},x_{1},\dots ,x_{n}]}
에서, 힐베르트 함수는 다음과 같다.
dim
K
R
d
=
(
n
+
d
n
)
=
1
n
!
(
d
+
n
)
(
d
+
n
−
1
)
⋯
(
d
+
1
)
{\displaystyle \dim _{K}R_{d}={\binom {n+d}{n}}={\frac {1}{n!}}(d+n)(d+n-1)\dotsm (d+1)}
따라서, 힐베르트 다항식은 이와 같다.
HP
R
(
d
)
=
1
n
!
(
d
+
n
)
(
d
+
n
−
1
)
⋯
(
d
+
1
)
=
1
n
!
d
n
+
⋯
{\displaystyle \operatorname {HP} _{R}(d)={\frac {1}{n!}}(d+n)(d+n-1)\dotsm (d+1)={\frac {1}{n!}}d^{n}+\cdots }
대수기하학적으로, 사영 공간을 스스로에 매장된 사영 대수다양체로 여긴다면, 이는
n
{\displaystyle n}
차원의 1차 사영 대수다양체임을 알 수 있다.
다항식환
R
=
K
[
x
0
,
x
1
,
…
,
x
n
]
{\displaystyle R=K[x_{0},x_{1},\dots ,x_{n}]}
속에서,
k
{\displaystyle k}
차 동차다항식
f
∈
R
k
{\displaystyle f\in R_{k}}
로 생성되는 동차 아이디얼
(
f
)
{\displaystyle (f)}
에 대한 몫등급환
R
/
(
f
)
{\displaystyle R/(f)}
의 힐베르트 함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 :52, Proposition I.7.6(d) 짧은 완전열
0
→
R
(
−
k
)
→
⋅
f
R
→
R
/
(
f
)
→
0
{\displaystyle 0\to R(-k){\xrightarrow {\cdot f}}R\to R/(f)\to 0}
으로 인하여, 힐베르트 함수 및 힐베르트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HP
(
d
)
=
dim
K
(
R
/
(
f
)
)
d
=
dim
K
R
d
−
dim
K
R
d
−
k
=
(
n
+
d
n
)
−
(
n
+
d
−
k
n
)
=
k
(
n
−
1
)
!
d
n
−
1
+
O
(
d
n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HP} (d)=\dim _{K}(R/(f))_{d}=\dim _{K}R_{d}-\dim _{K}R_{d-k}={\binom {n+d}{n}}-{\binom {n+d-k}{n}}={\frac {k}{(n-1)!}}d^{n-1}+{\mathcal {O}}(d^{n-2})}
이를 대수기하학적으로 해석하면
k
{\displaystyle k}
차 동차다항식의 영점 집합은
n
{\displaystyle n}
차원 사영 공간 속에서
n
−
1
{\displaystyle n-1}
차원
k
{\displaystyle k}
차 사영 대수다양체를 정의한다.
종수
g
{\displaystyle g}
의 비특이 대수 곡선
C
{\displaystyle C}
위의 매우 풍부한 선다발
L
{\displaystyle {\mathcal {L}}}
을 통하여,
C
{\displaystyle C}
를 사영 공간에 매장하였다고 하자.
ι
:
C
↪
P
n
{\displaystyle \iota \colon C\hookrightarrow \mathbb {P} ^{n}}
L
=
ι
∗
O
(
1
)
{\displaystyle {\mathcal {L}}=\iota ^{*}{\mathcal {O}}(1)}
이 경우, 힐베르트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HF
C
(
t
)
=
(
deg
L
)
t
+
(
g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HF} _{C}(t)=(\deg {\mathcal {L}})t+(g-1)}
여기서
deg
L
{\displaystyle \deg {\mathcal {L}}}
은
L
{\displaystyle {\mathcal {L}}}
을 정의하는 인자 의 차수이다. 즉, 대수 곡선의 차수는 그 위의 인자의 차수와 일치한다.
산술 종수
p
a
=
χ
(
X
;
O
X
)
−
1
{\displaystyle p_{\text{a}}=\chi (X;{\mathcal {O}}_{X})-1}
의 대수 곡면
X
{\displaystyle X}
위에, 매우 풍부한 선다발
L
{\displaystyle {\mathcal {L}}}
이 주어졌다고 하고, 이에 대응하는 베유 인자 가
D
{\displaystyle D}
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에 대한 단면으로서 사영 공간 으로의 매장
ι
:
X
↪
P
dim
Γ
(
X
,
L
)
−
1
{\displaystyle \iota \colon X\hookrightarrow \mathbb {P} ^{\dim \Gamma (X,{\mathcal {L}})-1}}
ι
∗
O
(
1
)
=
L
{\displaystyle \iota ^{*}{\mathcal {O}}(1)={\mathcal {L}}}
이 유도되며, 이에 대한 힐베르트 다항식은 곡면 리만-로흐 정리 에 따라서 다음과 같다.
HP
ι
(
X
)
(
n
)
=
χ
(
X
;
L
⊗
n
)
=
1
2
n
2
D
.
D
−
1
2
n
D
.
K
+
p
a
(
X
)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HP} _{\iota (X)}(n)=\chi (X;{\mathcal {L}}^{\otimes n})={\frac {1}{2}}n^{2}D.D-{\frac {1}{2}}nD.K+p_{\text{a}}(X)+1}
여기서
K
X
{\displaystyle K_{X}}
는
X
{\displaystyle X}
의 표준 인자 이다. 즉, 이 경우 매장의 차수는 자기 교차수
D
.
D
{\displaystyle D.D}
이며, 힐베르트 다항식의 1차 계수는
ι
∗
O
(
1
)
{\displaystyle \iota ^{*}{\mathcal {O}}(1)}
과 표준 인자 의 교차수 의 절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