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3년 전국체육대회 축구
1923년 전국체육대회 축구는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에서 개최된 1923년 전국체육대회의 경기 종목이다. 제4회 전조선축구대회로 개최되었으며 1923년 11월 21일부터 12월 8일까지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1][2]
1923년 전국체육대회 축구 | |
---|---|
Football | |
개최국 | ![]() |
개최 도시 | 경기도 경성부 |
개최 기간 | 1923년 11월 21일 ~ 12월 8일 |
경기장 |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 |
세부 종목 | 3개 종목 (남자: 3개) |
« 1922 1924 » |
1923년 전국체육대회 축구 ![]() | ||
---|---|---|
소학부 | ||
남자 | ||
중학부 | ||
남자 | ||
청년부 | ||
남자 |
대회 준비편집
1922년 11월에 개최된 제3회 전조선축구대회부터 개최장소에서 50mi 이상 떨어진 먼 곳에서 참가하는 선수단에게 50원 이내의 여비를 보조하기 시작했으며, 당시 대회에서 심판의 판정이 번복될 수 없다는 점을 경기 규정에 명문화했다.[3] 조선체육회에서는 제4회 전조선축구대회를 앞두고 청년부에서는 3개월 이상 해당 선수단에 소속되어 있어야 출전이 가능하다는 참가 규정을 신설하고, 소학부와 중학부의 경우 해당 학교에 1년 이상 재적해야 출전할 수 있다는 참가 규정을 신설했다.[1]
대회 진행편집
제4회 전조선축구대회는 1923년 11월 21일부터 11월 23일까지 진행될 예정으로 개최되었다.[1] 소학부 종목에는 광성공립보통학교, 보성초등학교, 보인학교, 수송공립보통학교, 승동학교, 신명학교, 흥인배재 등 7개 선수단이 참가했고, 중학부 종목에는 광성고등보통학교, 배재고등보통학교, 숭실중학, 영명고등보통학교, 영생고등보통학교, 오산학교, 중앙고등보통학교, 휘문고등보통학교 등 8개 선수단이 참가했고, 청년부 종목에는 대회삼성, 대화청년회, 불교청년회, 수양단, 임술체육단, 한양체육회 등 6개 선수단이 참가했다.[4]
중학부 예선에서 휘문고등보통학교가 영생고등보통학교를 이기고 숭실중학이 오산학교를 상대로 승리했으나, 주최 측에서는 휘문고등보통학교와 숭실중학의 선수 중 해당 학교에 재적한지 1년 미만이 된 선수가 있다고 하여 해당 경기의 승리를 취소했다.[4] 이에 오산학교 측에서도 자기 선수단에서도 부정 선수가 있다며 기권했고 영생고등보통학교에서도 경기에서 진 상태에서 상대 팀의 실격패가 반가울 일이 되지 못한다며 남은 경기를 기권했다.[4] 반면 숭실중학 측에서는 실격패에 반발했다.[4] 해당 선수가 대회가 개최되기 수개월 전 광성고등보통학교로 이적했지만 숭실중학 측에서 다시 돌아오도록 설득하여 돌아왔지만, 광성고등보통학교로 이적하기 전 숭실중학에 3년 동안 재적한 상태였기 때문에, 숭실중학 측에서는 이미 3년 동안 재적하고 있었던 해당 선수는 참가 제한 규정에 저촉되지 않다고 주장했다.[4] 하지만 조선체육회 측에서는 해당 선수가 타 학교로 갔다가 되돌아 온 지 1년이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제한 규정에 저촉되는 선수로 해석했다.[4]
결승전편집
숭실중학 측은 부정 선수 참가로 인한 실격패에 항의하며 결승전이 열리는 당일 경기장을 강점하고 소란을 일으켜 11월 23일에 예정된 결승 경기는 추후 연기하여 개최하기로 하며 열리지 못했다.[4][5] 부정 선수 논란과 결승전 당일의 소란으로 인해 고원훈 조선체육회장은 결승전 당일인 11월 23일에 사퇴했으며, 이사진과 간사진 모두 함께 사퇴했다.[2] 11월 28일에 임시 총회를 통해 최린이 조선체육회장으로 선출되고 이사진을 선임하며 집행부를 새로 구성했으며, 연기된 결승전을 12월 8일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했다.[2]
결승전이 연기된 사태에 대해 사과하는 의미로 12월 8일에 열린 결승 경기는 입장료는 받지 않고 진행했다.[2] 그리고 11월 23일의 입장 수입 585원 50전은 고아원에 기부했다.[2]
소학부에서는 광성공립보통학교가 보인학교를 1:0으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2] 중학부에서는 배재고등봍오학교와 중앙고등보통학교의 경기에서 1:1로 동점이 됐지만, 동점이 된 경우 코너킥과 프리킥을 내주면 성적 점수 1점씩 주고 페널티킥을 성공시키지 못하면 성적 점수 2점을 내주는 당시 경기 규정에 따라 성적 점수가 13:5로 배재고등보통학교가 앞서 우승을 하게 되었다.[2] 당시 경기 규정은 동점일 경우 성적 점수를 바탕으로 승패를 나누고 성적 점수 마저 동점이면 연장전을 진행하거나 추첨으로 승패를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2] 청년부 종목에서는 불교청년회가 임술체육회를 3:1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하며 제4회 전조선축구대회는 막을 내렸다.[2]
경기 결과편집
소학부편집
준결승 | 결승 | |||||
보인학교 | 4 | |||||
보성초등학교 | 2 | |||||
보인학교 | 0 | |||||
광성공립보통학교 | 1 | |||||
광성공립보통학교 | 3 | |||||
흥인배재 | 0 | |||||
중학부편집
준결승 | 결승 | |||||
배재고등보통학교 | 승 | |||||
오산학교 | 패 | |||||
배재고등보통학교 | 1 (13) | |||||
중앙고등보통학교 | 1 (5) | |||||
중앙고등보통학교 | 승 | |||||
영생고등보통학교 | 패 | |||||
청년부편집
준결승 | 결승 | |||||
불교청년회 | 2 | |||||
한양체육회 | 1 | |||||
불교청년회 | 3 | |||||
임술체육단 | 1 | |||||
임술체육단 | 불명 | |||||
불명 | 불명 | |||||
각주편집
- ↑ 가 나 다 대한체육회 (2011). 《대한체육회 90년사 I》 (PDF). 71쪽.[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대한체육회 (2011). 《대한체육회 90년사 I》 (PDF). 73쪽.[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대한체육회 (2011). 《대한체육회 90년사 I》 (PDF). 69쪽.[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대한체육회 (2011). 《대한체육회 90년사 I》 (PDF). 72쪽.[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紛糾(분규)로서中止(중지)에 延期(연기)된 蹴球大會决勝戰(축구대회결승전)”. 동아일보. 1923년 11월 25일.
참고 문헌편집
- 대한체육회 (1990). 《대한체육회 70년사》.
- 대한체육회 (2011). 《대한체육회 90년사》.
- “제4회 전국체육대회 축구 경기 결과”. 대한체육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전국체육대회 축구 | ||
이전 대회 | 1923년 전국체육대회 축구 경성 1923 |
다음 대회 |
경성 1922 | 경성 1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