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4년 전국체육대회 정구
1924년 전국체유대회 정구는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에서 개최된 1924년 전국체육대회의 경기 종목이다. '제4회 전조선정구대회'로 개최되었으며 1924년 9월 22일부터 9월 25일까지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2][3][4]
1924년 전국체육대회 정구 | |
---|---|
Soft Tennis | |
개최국 | 일제강점기 조선 |
개최 도시 | 경성 |
개최 기간 | 1924년 9월 22일~9월 25일 |
경기장 |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 |
선수단 | 6개 선수단 |
참가 선수 | 192명 (남자: 192명)[1] |
세부 종목 | 3개 종목 (남자: 3개) |
일반부 | 1개 종목 (남자: 1개) |
18세이하부 | 1개 종목 (남자: 1개) |
12세이하부 | 1개 종목 (남자: 1개) |
« 1923 1925 » |
1924년 전국체육대회 정구 | ||
---|---|---|
청년부 | ||
남자 | ||
중학부 | ||
남자 | ||
소학부 | ||
남자 |
대회 진행
편집제4회 전조선정구대회는 1924년 9월 22일부터 9월 25일까지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2] 소학부 종목에는 매동공립보통학교, 선천공립보통학교, 송도제2교, 인천공립보통학교 등 4개 선수단이 참가했고, 중학부 종목에는 광성고등보통학교, 남대문상업, 배재고등보통학교, 보성고등보통학교, 송도고등보통학교, 양정고등보통학교, 평양고등보통학교, 함흥고등보통학교, 휘문고등보통학교 등 9개 선수단이 출전했고, 청년부 종목에서는 강화구락부, 경성전우회, 광주정구단, 군산금강단, 금강단, 목포체육회, 보성전문, 여수정구단, 원산청년회, 제물포구락부, 태양구락부 등 11개 선수단이 참가했다.[2] 소학부 종목에서 선천공립보통학교가 결승에서 매동공립보통학교를 4:0으로 이기며 작년 대회에 이어 2연패를 달성했고, 중학부 종목에서는 송도고등보통학교가 보성고등보통학교를 결승에서 3:1로 이기며 우승했으며, 청년부 종목에서는 태양구락부가 금강단을 결승에서 3:0으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2][5]
결승 경기가 종료된 후, 이번 대회에서 좋은 활약을 보인 우수 선수를 선발하여 '모범경기'라는 명칭으로 올스타전을 진행했다.[6] 경성부를 연고로 하는 정구단 소속 선수로 구성된 "전경선"과 경성부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을 연고로 하는 정구단 소속 선수로 구성된 "전지방" 간의 모범 경기는 전경선이 3:0으로 이겼다.[6][4]
경기장
편집경기장 | 도시 | 좌석 | 수용 | 부문 | 세부 종목 | 비고 |
---|---|---|---|---|---|---|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 | 경성 | 전부문 | 남자 단체 |
정구단
편집부문 | 정구단 | 도시 | 첫 참가 | 횟수 | 선수 | 비고 |
---|---|---|---|---|---|---|
청년부 남자 |
강화구락부 정구단 (경기) | 강화 | 1924 | 1 | 김희준, 송은경, 이학승, 이학신, 이학연, 조용암 | |
광주 정구단 (전남) | 광주 | 1924 | 1 | 김종수, 김한국, 이봉우, 조덕환, 주지환, 최석편 | ||
금강 정구단 (전북) | 군산 | 1924 | 1 | 김석조, 김영건, 박대준, 박로식, 신현주, 한윤경 | ||
금강구락부 정구단 (경기) | 경성 | 1921 | 4 | 김성환, 김치순, 김필응, 박피득, 양승택, 연학년 | ||
목포체육회 정구단 (전남) | 목포 | 1924 | 1 | 김영환, 김태성, 박근영, 박상진, 박용희, 지재풍 | ||
보성전문학교 정구단 (경기) | 경성 | 1923 | 2 | 김기준, 박성희, 이수경, 이한준, 최신용, 허양균 | ||
여수 정구단 (전남) | 여수 | 1924 | 1 | 강재주, 김주봉, 김계봉, 김행준, 김행협, 이방헌, 이상기, 장재후 | ||
원산청년회 정구단 (함남) | 원산 | 1921 | 3 | 김기봉, 김명환, 김복산, 김영제, 김인수, 최광래 | ||
전우운동단 정구단 (경기) | 경성 | 1924 | 1 | 강선형, 김응소, 박두호, 박성희, 유경익, 이종철 | ||
제물포청년회 정구단 (경기) | 인천 | 1924 | 1 | |||
태양구락부 정구단 (경기) | 경성 | 1924 | 1 | 구종태, 김안식, 심윤중, 안달석, 안정원, 임병칠 | ||
중학부 남자 |
광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 (평남) | 평양 | 1923 | 2 | 김형은, 송선호, 이관용, 이성배, 이원길, 이윤경 | |
남대문상업학교 정구단 (경기) | 경성 | 1924 | 1 | 김기환, 서광제, 송희용, 유은열, 이덕용, 한초용 | ||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경성 | 1923 | 2 | 김자환, 박경□, 박호진, 방영섭, 방태섭, 이윤선, 이윤호, 장영생, 차철순 | ||
보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경성 | 1921 | 3 | 강필구, 김용영, 김우영, 박훈환, 정춘희, 조세룡, 조세행, 황정수 | ||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개성 | 1921 | 4 | 손창성, 유개동, 유은상, 이련업, 이우번, 한진영 | ||
양정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경성 | 1921 | 4 | 김백운 서웅성, 유석남, 유재희, 이동근, 최종렬 | ||
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 정구단 (평남) | 평양 | 1924 | 1 | 고용성, 김상인, 김원호, 박종호, 원대점, 이창주 | ||
함흥관립고등보통학교 정구단 (함남) | 함흥 | 1924 | 1 | 김성영, 김창수, 박재극, 손성림, 송호정, 이흥엽 | ||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경성 | 1921 | 4 | 김원량, 남궁호, 손흥윤, 이하영, 장원진, 조택원 | ||
소학부 남자 |
매동공립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경성 | 1924 | 1 | 유월성, 이묘손, 이영수, 이옥동, 이혁, 장수득 | |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 (평북) | 선천 | 1923 | 2 | 강경행, 문창렬, 박덕현, 박정희, 정신명, 정인수 | ||
송도제이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개성 | 1923 | 2 | 고정룡, 김광덕, 동명순, 오광식, 임준성, 최진용 | ||
인현공립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경성 | 1923 | 2 | 윤득일, 윤이봉, 이광우, 이종탁, 정문택, 정태평 |
경기 일정
편집1924년 | 9월 | ||||
---|---|---|---|---|---|
22일 | 23일 | 24일 | 25일 | ||
청년부 | 남자 단체 | ||||
중학부 | 남자 단체 | ||||
소학부 | 남자 단체 | ||||
일일 합계 | 0 | 0 | 0 | 3 | |
누적 합계 | 0 | 0 | 0 | 3 |
경기 결과
편집청년부
편집1라운드 | 8강 | 4강 | 결승 | |||||||||||
9월 23일 - 경성 | ||||||||||||||
전우운동단 정구단 (경기) | 0 | |||||||||||||
금강구락부 정구단 (경기) | 3 | |||||||||||||
9월 25일 - 경성 | ||||||||||||||
금강구락부 정구단 (경기) | 3 | |||||||||||||
여수 정구단 (전남) | 2 | |||||||||||||
9월 23일 - 경성 | ||||||||||||||
강화구락부 정구단 (경기) | 2 | |||||||||||||
9월 22일 - 경성 | ||||||||||||||
여수 정구단 (전남) | 3 | |||||||||||||
보성전문학교 정구단 (경기) | 2 | |||||||||||||
9월 25일 - 경성 | ||||||||||||||
여수 정구단 (전남) | 3 | |||||||||||||
금강구락부 정구단 (경기) | 0 | |||||||||||||
태양구락부 정구단 (경기) | 3 | |||||||||||||
9월 23일 - 경성 | ||||||||||||||
목포체육회 정구단 (전남) | 3 | |||||||||||||
금강 정구단 (전북) | 1 | |||||||||||||
9월 25일 - 경성 | ||||||||||||||
목포체육회 정구단 (전남) | 1 | |||||||||||||
9월 22일 - 경성 | ||||||||||||||
태양구락부 정구단 (경기) | 3 | |||||||||||||
광주 정구단 (전남) | 2 | |||||||||||||
9월 23일 - 경성 | ||||||||||||||
태양구락부 정구단 (경기) | 3 | |||||||||||||
태양구락부 정구단 (경기) | 3 | |||||||||||||
9월 22일 - 경성 | ||||||||||||||
원산청년회 정구단 (함남) | 1 | |||||||||||||
원산청년회 정구단 (함남) | 승 | |||||||||||||
제물포청년회 정구단 (경기) | 기권 | |||||||||||||
청년부 남자 단체 종목에서는 강화구락부 정구단, 광주 정구단, 금강 정구단, 금강구락부 정구단, 목포체육회 정구단, 보성전문학교 정구단, 여수 정구단, 원산청년회 정구단, 전우운동단 정구단, 제물포청년회 정구단, 태양구락부 정구단 등 11개 정구단이 참가했다.[2][3][4][7][1]
1924년 9월 22일 13시 30분에 진행된 보성전문학교 정구단과 여수 정구단 간의 1라운드 첫 번째 경기는 여수 정구단이 3:2로 이기며 8강에 진출했고, 광주 정구단과 태양구락부 정구단 간의 1라운드 세 번째 경기는 태양구락부 정구단이 3:2로 승리하며 8강에 진출했다.[8][9] 한편, 원산청년회 정구단과 제물포청년회 정구단 간의 1라운드 두 번째 경기에서는 제물포청년회 정구단이 선수 부상으로 기권하면서 원산청년회 정구단이 8강에 진출하게 되었다.[8][9]
1924년 9월 23일에 진행된 전우운동단 정구단과 금강구락부 정구단 간의 8강 첫 번째 경기는 금강구락부 정구단이 3:0으로 이기며 준결승에 진출했고, 강화구락부 정구단과 여수 정구단 간의 8강 두 번째 경기는 여수 정구단이 3:2로 이기며 준결승에 진출했다.[10] 목포체육회 정구단과 금강 정구단 간의 8강 세 번째 경기는 목포체육회 정구단이 3:1로 이기며 준결승에 진출했고, 태양구락부 정구단과 원산청년회 정구단 간의 8강 네 번째 경기는 태양구락부 정구단이 3:1로 이기며 준결승에 진출했다.[10]
1924년 9월 25일에 진행된 금강구락부 정구단과 여수 정구단 간의 4강 첫 번째 경기는 금강구락부 정구단이 3:2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고, 목포체육회 정구단과 태양구락부 정구단 간의 4강 두 번째 경기는 태양구락부 정구단이 3:1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다.[11]
1924년 9월 25일 오후에 진행된 금강구락부 정구단과 태양구락부 정구단 간의 결승 경기에서 태양구락부 정구단이 3:0으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6][4]
중학부
편집1라운드 | 8강 | 4강 | 결승 | |||||||||||
9월 23일 - 경성 | ||||||||||||||
남대문상업학교 정구단 (경기) | 1 | |||||||||||||
9월 22일 - 경성 | ||||||||||||||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3 | |||||||||||||
광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 (평남) | 1 | |||||||||||||
9월 23일 - 경성 | ||||||||||||||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3 | |||||||||||||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1 | |||||||||||||
보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3 | |||||||||||||
9월 22일 - 경성 | ||||||||||||||
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 정구단 (평남) | 2 | |||||||||||||
보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3 | |||||||||||||
9월 25일 - 경성 | ||||||||||||||
보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1 | |||||||||||||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3 | |||||||||||||
9월 22일 - 경성 | ||||||||||||||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3 | |||||||||||||
양정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1 | |||||||||||||
9월 24일 - 경성 | ||||||||||||||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1 | |||||||||||||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3 | |||||||||||||
9월 23일 - 경성 | ||||||||||||||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3 | |||||||||||||
함흥관립고등보통학교 정구단 (함남) | 0 | |||||||||||||
중학부 남자 단체 종목에서는 광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 남대문상업학교 정구단,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 보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 양정고등보통학교 정구단, 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 정구단, 함흥관립고등보통학교 정구단,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 등 9개 정구단이 참가했다.[2][3][4][7][1]
1924년 9월 22일 12시에 시작된 광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과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1라운드 경기는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3:1로 이기며 8강에 진출했다.[8]
1924년 9월 22일에 진행된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과 양정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8강 첫 번째 경기는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3:1로 승리했고, 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 정구단과 보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8강 두 번째 경기는 보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3:2로 승리했다.[9] 1924년 9월 23일 9시 30분에 진행된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과 함흥관립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8강 세 번째 경기는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3:0으로 승리했고, 남대문상업학교 정구단과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8강 네 번째 경기는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3:1로 승리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9]
1924년 9월 23일에 진행된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과 보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4강 첫 번째 경기는 보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3:1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고, 1924년 9월 24일에 진행된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과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4강 두 번째 경기는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3:1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다.[10]
1924년 9월 25일에 진행된 보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과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결승 경기에서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3:1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11][4]
소학부
편집준결승 | 결승 | |||||
9월 22일 - 경성 | ||||||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 (평북) | 3 | |||||
9월 25일 - 경성 | ||||||
송도제이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1 | |||||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 (평북) | 3 | |||||
9월 22일 - 경성 | ||||||
매동공립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0 | |||||
인현공립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1 | |||||
매동공립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3 | |||||
소학부 남자 단체 종목에서는 매동공립보통학교 정구단,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 송도제이보통학교 정구단, 인현공립보통학교 정구단 등 4개 정구단이 참가했다.[2][3][4][7][1]
1924년 9월 22일 9시에 시작된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과 송도제이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4강 첫 번째 경기는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이 3:1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고, 인현공립보통학교 정구단과 매동공립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4강 두 번째 경기는 매동공립보통학교 정구단이 3:1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다.[8]
1924년 9월 25일에 진행된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과 매동공립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결승 경기에서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이 3:0으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11][4]
메달 집계
편집최종 순위
편집순위 | 선수단 | ||||
---|---|---|---|---|---|
1 | 경기도 | 2 | 3 | 4 | 9 |
2 | 평안북도 | 1 | 0 | 0 | 1 |
3 | 전라남도 | 0 | 0 | 2 | 2 |
4 | 전라북도 | 0 | 0 | 0 | 0 |
평안남도 | 0 | 0 | 0 | 0 | |
함경남도 | 0 | 0 | 0 | 0 | |
합계 | 3 | 3 | 6 | 12 |
청년부 메달 집계
편집순위 | 선수단 | ||||
---|---|---|---|---|---|
1 | 경기도 | 1 | 1 | 0 | 2 |
2 | 전라남도 | 0 | 0 | 2 | 2 |
3 | 전라북도 | 0 | 0 | 0 | 0 |
함경남도 | 0 | 0 | 0 | 0 | |
합계 | 1 | 1 | 2 | 3 |
중학부 메달 집계
편집순위 | 선수단 | ||||
---|---|---|---|---|---|
1 | 경기도 | 1 | 1 | 2 | 4 |
2 | 평안남도 | 0 | 0 | 0 | 0 |
함경남도 | 0 | 0 | 0 | 0 | |
합계 | 1 | 1 | 2 | 3 |
소학부 메달 집계
편집순위 | 선수단 | ||||
---|---|---|---|---|---|
1 | 평안북도 | 1 | 0 | 0 | 1 |
2 | 경기도 | 0 | 1 | 2 | 3 |
합계 | 1 | 1 | 2 | 4 |
메달 수상자
편집종목 | 금 | 은 | 동 |
---|---|---|---|
청년부 남자 단체 | 태양구락부 정구단 (경기) 구종태 김안식 심윤중 안달석 안정원 임병칠 |
금강구락부 정구단 (경기) 김성환 김치순 김필응 박피득 양승택 연학년 |
목포체육회 정구단 (전남) 김영환 김태성 박근영 박상진 박용희 지재풍 |
여수 정구단 (전남) 강재주 김주봉 김계봉 김행준 김행협 이방헌 이상기 장재후 | |||
중학부 남자 단체 |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손창성 유개동 유은상 이련업 이우번 한진영 |
보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강필구 김용영 김우영 박훈환 정춘희 조세룡 조세행 황정수 |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김자환 박경□ 박호진 방영섭 방태섭 이윤선 이윤호 장영생 차철순 |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김원량 남궁호 손흥윤 이하영 장원진 조택원 | |||
소학부 남자 단체 |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 (평북) 강경행 문창렬 박덕현 박정희 정신명 정인수 |
매동공립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유월성 이묘손 이영수 이옥동 이혁 장수득 |
송도제이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고정룡 김광덕 동명순 오광식 임준성 최진용 |
인현공립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윤득일 윤이봉 이광우 이종탁 정문택 정태평 |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庭球參加(정구참가) 廿四團體(입사단체)”. 조선일보. 1924년 9월 21일.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대한체육회 (2011). 《대한체육회 90년사 I》 (PDF). 78쪽.[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가 나 다 라 대한체육회 100주년 기념사업부 (2020).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Ⅱ 민족의 구심체, 조선체육회(1920~1945)》. 대한체육회. 306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대한체육회 100주년 기념사업부 (2020).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Ⅱ 민족의 구심체, 조선체육회(1920~1945)》. 대한체육회. 306쪽.
- ↑ 대한체육회 (2011). 《대한체육회 90년사 I》 (PDF). 79쪽.[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가 나 다 “空前盛况(공전성황)으로無事終了(무사종료) 四回全朝鮮庭球大會(사회전조선정구대회)”. 동아일보. 1924년 9월 27일.
- ↑ 가 나 다 “參加團體二十四(참가단체이십사)”. 동아일보. 1924년 9월 21일.
- ↑ 가 나 다 라 “四回全朝鮮(사회전조선) 爭覇戰局(쟁패전국)이漸入佳境(점입가경) 庭球大會(정구대회)”. 동아일보. 1924년 9월 23일.
- ↑ 가 나 다 라 “最後榮光(최후영광)은何處(하처)에? 四回全朝鮮庭球大會(사회전조선정구대회)”. 동아일보. 1924년 9월 24일.
- ↑ 가 나 다 “最後榮光(최후영광)은何處(하처)에? 四回全朝鮮庭球大會(사회전조선정구대회)”. 동아일보. 1924년 9월 25일.
- ↑ 가 나 다 “再開(재개)된最後决勝戰(최후결승전) 四回全朝鮮庭球大會(사회전조선정구대회)”. 동아일보. 1924년 9월 26일.
참고 문헌
편집- “대한체육회 국내종합경기대회”. 대한체육회.
- “제5회 전국체육대회”. 대한체육회.
- “제5회 전국체육대회 정구 경기 결과”. 대한체육회.
- “제5회 전국체육대회 정구 청년부 경기 결과”. 대한체육회.
- “제5회 전국체육대회 정구 청년부 남자 단체 경기 결과”. 대한체육회.
- “제5회 전국체육대회 정구 중학부 경기 결과”. 대한체육회.
- “제5회 전국체육대회 정구 중학부 남자 단체 경기 결과”. 대한체육회.
- “제5회 전국체육대회 정구 소학부 경기 결과”. 대한체육회.
- “제5회 전국체육대회 정구 소학부 남자 단체 경기 결과”. 대한체육회.
- 《대한체육회 50년》. 대한체육회. 1970. 2020년 1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1월 5일에 확인함.
- 《대한체육회 70년사》. 대한체육회. 1990. 2020년 1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1월 5일에 확인함.
- 《대한체육회 90년사》. 대한체육회. 2011. 2020년 1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1월 5일에 확인함.
- 대한체육회 100주년 기념사업부 (2020). 《대한민국 체육 100년》. 대한체육회.
-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Ⅰ 통사 (민족과 함께 한 대한민국 체육 100년)》. 대한체육회. 2020.
-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Ⅱ 민족의 구심체, 조선체육회 (1920~1945)》. 대한체육회. 2020.
-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Ⅲ 세계를 향한 도전 (1945~1980)》. 대한체육회. 2020.
-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Ⅳ 스포츠로 꽃피운 대한민국 (1981~2000)》. 대한체육회. 2020.
-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Ⅴ 스포츠강국을 넘어 선진국으로(2001~2020)》. 대한체육회. 2020.
- “제5회 전국체육대회 정구 경기 결과”. 대한체육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天朗氣淸(천랑기청)한秋日(추일)에 全朝鮮庭球大會(전조선정구대회)”. 동아일보. 1924년 8월 25일.
- “第四回全朝鮮庭球大會(제사회전조선정구대회)”. 동아일보. 1924년 9월 5일.
- “壯快(장쾌)할庭球大會(정구대회)”. 동아일보. 1924년 9월 5일.
- “第四回全朝鮮庭球大會(제사회전조선정구대회)”. 동아일보. 1924년 9월 11일.
- “第四回全朝鮮庭球大會(제사회전조선정구대회)”. 동아일보. 1924년 9월 14일.
- “苦待(고대)하는庭球大會(정구대회)”. 동아일보. 1924년 9월 15일.
- “第四回全朝鮮庭球大會(제사회전조선정구대회)”. 동아일보. 1924년 9월 19일.
- “靑年其他集會(청년기타집회)”. 동아일보. 1924년 9월 20일.
- “參加團體二十四(참가단체이십사)”. 동아일보. 1924년 9월 21일.
- “庭球參加(정구참가) 廿四團體(입사단체)”. 조선일보. 1924년 9월 21일.
- “戰線(전선)에선南北健兒(남북건아) 四回全朝鮮(사회전조선) 庭球大會(정구대회)”. 동아일보. 1924년 9월 22일.
- “今日開幕(금일개막)되는 庭球大會(정구대회)”. 조선일보. 1924년 9월 22일.
- “今日全朝鮮庭球大㑹豫選戰(금일전조선정구대회예선전)”. 동아일보. 1924년 9월 22일.
- “四回全朝鮮(사회전조선) 爭覇戰局(쟁패전국)이漸入佳境(점입가경) 庭球大會(정구대회)”. 동아일보. 1924년 9월 23일.
- “庭球界(정구계)의發展(발전)”. 동아일보. 1924년 9월 23일.
- “全朝鮮(전조선) 庭球初日(정구초일)”. 조선일보. 1924년 9월 23일.
- “最後榮光(최후영광)은何處(하처)에? 四回全朝鮮庭球大會(사회전조선정구대회)”. 동아일보. 1924년 9월 24일.
- “今日全朝鮮庭球大會决勝戰(금일전조선정구대회결승전)”. 동아일보. 1924년 9월 24일.
- “最後榮光(최후영광)은何處(하처)에? 四回全朝鮮庭球大會(사회전조선정구대회)”. 동아일보. 1924년 9월 25일.
- “庭球决勝(정구결승)”. 조선일보. 1924년 9월 26일.
- “再開(재개)된最後决勝戰(최후결승전) 四回全朝鮮庭球大會(사회전조선정구대회)”. 동아일보. 1924년 9월 26일.
- “運動道(운동도)”. 동아일보. 1924년 9월 26일.
- “空前盛况(공전성황)으로無事終了(무사종료) 四回全朝鮮庭球大會(사회전조선정구대회)”. 동아일보. 1924년 9월 27일.
- “饑饉(기근)과 우리의 생각”. 동아일보. 1924년 10월 3일.
외부 링크
편집- 대한체육회 국내종합경기대회 - 제5회 전국체육대회 정구 경기 결과
- 대한체육회 국내종합경기대회 - 제5회 전국체육대회 정구 청년부 경기 결과
- 대한체육회 국내종합경기대회 - 제5회 전국체육대회 정구 청년부 남자 단체 경기 결과
- 대한체육회 국내종합경기대회 - 제5회 전국체육대회 정구 중학부 경기 결과
- 대한체육회 국내종합경기대회 - 제5회 전국체육대회 정구 중학부 남자 단체 경기 결과
- 대한체육회 국내종합경기대회 - 제5회 전국체육대회 정구 소학부 경기 결과
- 대한체육회 국내종합경기대회 - 제5회 전국체육대회 정구 소학부 남자 단체 경기 결과
- 대한체육회 - 제5회 전국체육대회 정구 경기 결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전국체육대회 정구 | ||
이전 대회 | 1924년 전국체육대회 정구 1924 경성 |
다음 대회 |
1923 경성 | 1925 경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