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알제리 독립 국민투표
1962년 알제리 독립 국민투표(프랑스어: Référendum sur l'indépendance de l'Algérie)는 1962년 7월 1일 프랑스령 알제리에서 실시된 독립 국민투표이다.
1962년 알제리 독립 국민투표 | ||||||||||||||||||||||
---|---|---|---|---|---|---|---|---|---|---|---|---|---|---|---|---|---|---|---|---|---|---|
당신은 알제리가 1962년 3월 19일 선언에 명시된 조건에 따라 프랑스와 협력하에 독립국이 되기를 원하는가? | ||||||||||||||||||||||
국가 | 프랑스령 알제리 | |||||||||||||||||||||
날짜 | 1962년 7월 1일 | |||||||||||||||||||||
결과 | ||||||||||||||||||||||
| ||||||||||||||||||||||
지역 별 결과 |

1962년 4월 국민투표에서 프랑스가 에비앙 협정을 승인한 데 따라 실시된 국민투표로, 투표의 설문은 알제리 유권자들에게 알제리가 프랑스와 협력하여 독립국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물었다. 투표율 91.88%, 찬성 99.72%로 압도적인 지지를 보였다.
배경
편집1954년 11월 1일 투생 루즈 공격과 함께 국민해방전선 (FLN)에서 알제리 전쟁을 일으켰다. 1958년 5월 알제리 위기로 인한 프랑스 국내의 갈등이 급격히 고조되면서 프랑스 제4공화국은 종말을 맞이했다.[1] 프랑스군이 알제리 독립군을 제압하기 위해 잔혹한 수단을 동원하는 바람에 프랑스 국내에서의 여론을 악화시키는 것은 물론, 프랑스를 향한 국제사회의 시각도 나빠지는 계기로 작용했다.[2][3]
1960년 알제와 기타 도시에서 대규모 시위가 벌어진 가운데 프랑스 대통령 샤를 드골은 국민해방전선과의 협상을 승낙하였다. 알제리에 자결권을 허가할지에 관한 1961년 프랑스 국민투표가 유권자의 75% (알제리 유권자 70%)의 찬성으로 통과되었다. 1962년 3월 양국간의 협상 끝에 에비앙 협정이 체결되고, 4월 8일 프랑스 국민투표에서 91%의 찬성으로 협정이 승인되었다.[4]
결과
편집알제리 독립 국민투표의 설문은 다음과 같았다.
"당신은 알제리가 1962년 3월 19일 선언에 명시된 조건에 따라 프랑스와 협력하에 독립국이 되기를 원하는가?"
1962년 알제리 독립 국민투표 | ||
---|---|---|
찬성 또는 반대 | 득표수 | 득표율 |
찬성 | 5,975,581 | 99.72% |
반대 | 16,534 | 0.28% |
무효표 | 25,565 | 0.42% |
총 득표수 | 6,017,680 | 100.00% |
투표율 | 91.88% | |
유권자수 | 6,017,680 | |
출처: Direct Democracy |
여파
편집국민투표 결과에 따라 프랑스는 7월 3일 알제리의 독립을 선언했으며, 이 결정은 다음날 프랑스 관보에 게재되었다.[5] 알제리 독립 지도자들은 프랑스가 알제 침공에 나선 지 132주년이 되는 7월 5일을 알제리 독립기념일로 선언했다.[6] 알제리가 프랑스로부터 독립하면서 동시에 유럽 공동체의 경계에서 벗어나게 되었다.[7]
에비앙 협정 제3장 3절에 의거하여 프랑스는 15년간 메르스엘케비르 해군 기지의 운영을 유지할 수 있었다.[8] 이를 제외한 나머지 프랑스군은 1967년을 기해 철수되었다.
1962년 캐나다 역사가 존 C. 케언즈 (John C. Cairns)는 알제리 독립에 즈음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어떤 면에서는 지난 한 해가 가장 최악이었다. 그 어느 때보다 긴장이 고조되었다. 프랑스조차 그 어느 때보다 혼란스러웠다. 도처에서 무분별하게 벌어지는 잔인성은 그 어느 때보다 터무니없고 야만적이었다. 1961년 희망찬 봄부터 1962년 3월 18일 휴전에 이르기까지 지난 한 해는 섀도복싱, 거짓 위협, 항복, 살인적인 히스테리의 계절이었다. 프랑스령 알제리는 참혹한 죽음을 맞았다. 그 고통은 유럽제국주의의 지난 날에서 볼 법한 추악한 공포와 잔인함으로 점철되어 있었다. 1962년 봄, 제국이란 이름의 불행한 시체는 여전히 전율과 분노에 휩싸여 스스로를 학살로 얼룩졌다. 적어도 7년 반에 걸친 그 죽음의 모든 과정은 식민주의 역사상 가장 한심하고 추악한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다. 얽히고설킨 분쟁의 그물 속에서 주요 인물 가운데 누구 하나 제대로 된 모습을 보인 사람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분쟁에서 승리한 자도, 분쟁을 다스린 자도 없었다.”
출처
편집- ↑ Calçada, Miquel (2012년 12월 13일). “Analysis of the Algerian War of Independence or Les Événements: A lost opportunity for peace”. 《Journal of Conflictology》 3 (2). doi:10.7238/joc.v3i2.1552. ISSN 2013-8857.
- ↑ Towers, John W. (2002년 4월 9일). The French in Algeria, 1954-1962 Military Success Failure of Grand Strategy (PDF) (보고서). Fort Belvoir, VA: Defense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2023년 5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5월 21일에 확인함.
- ↑ Casassus, Barbara (2018년 9월 13일). “France admits role in torture and murder of mathematician during Algerian war”. 《Nature》. doi:10.1038/d41586-018-06690-w. ISSN 0028-0836.
- ↑ Armstrong, Philip (2014). “In Fraternity's Wake: Nancy, Derrida, and Algerian Independence”. 《Diacritics》 (영어) 42 (2): 60–81. doi:10.1353/dia.2014.0007. ISSN 1080-6539.
- ↑ Declaration recognising Algeria’s independence (Paris, 3 July 1962) 보관됨 22 6월 2020 - 웨이백 머신 CVCE
- ↑ Background Notes 보관됨 2023-06-27 - 웨이백 머신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Office of Media Services, p3
- ↑ Birchall, Ian H. (2012). 《European revolutionaries and Algerian independence, 1954-1962》. Socialist Platform Ltd. ISBN 9780850366655. OCLC 813541956.
- ↑ “Les accords d'Évian”. 1962. 2020년 10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4일에 확인함.
L'Algérie concède à bail à la France l'utilisation de la base de Mers El-Kébir pour une période de quinze ans, renouvelable par accord entre les deux p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