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AFC U-16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은 2011년 11월 3일부터 11월 13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 난징에서 열린 4번째 AFC U-16 여자 챔피언십이다. 이 대회 상위 3위 이내의 성적을 기록한 팀들은 아제르바이잔에서 열린 2012년 FIFA U-17 여자 월드컵에서 아시아 대표로 참가할 자격을 획득했다.
2011년 AFC U-16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 |
---|---|
2011 AFC U-16 Women's Championship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11월 3일 ~ 11월 13일 |
참가팀 | 6개국 (1개 대륙) |
경기장 | 2개 (1개 도시)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통계 | |
최다 득점 | ![]() |
최우수 선수 | ![]() |
« 2009 2013 » |
개최 도시 및 경기장
편집- 난징 -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
- 난징 - 장닝 스포츠 센터
예선
편집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본선 진출 팀은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본선에 자동 출전한 팀
- 대한민국 (200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우승)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0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준우승)
- 일본 (200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3위)
- 오스트레일리아 (200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4위)
- 중화인민공화국 (2009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5위)
예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한 팀
- 태국 (최종 예선 1위)
결선 라운드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일본 | 5 | 4 | 1 | 0 | 13 | 3 | +10 | 13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5 | 4 | 0 | 1 | 13 | 3 | +10 | 12 |
중화인민공화국 | 5 | 2 | 2 | 1 | 7 | 8 | -1 | 8 |
대한민국 | 5 | 2 | 1 | 2 | 11 | 9 | +2 | 7 |
오스트레일리아 | 5 | 1 | 0 | 4 | 7 | 12 | -5 | 3 |
태국 | 5 | 0 | 0 | 5 | 5 | 21 | -16 | 0 |
일본 | 10 – 0 | 태국 |
---|---|---|
이노우에 아야카 23′ 이토 미키 25′ 시라키 아카리 35′, 55′ 히라타 미키 40′ 빤나라이 수야오 46′ (자책골) 마쓰바라 아리사 66′ 나카무라 미즈키 68′, 90+1′ 도리우미 유카 77′ |
오스트레일리아 | 0 –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리경향 9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 – 0 | 중화인민공화국 |
---|---|---|
김평화 47′ |
태국 | 0 – 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김소향 6′ 리은심 31′, 43′, 45+1′, 46′, 52′, 66′, 74′ |
우승
편집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
일본 2번째 우승 |
수상
편집득점왕 | 대회 MVP | 페어 플레이 트로피 |
---|---|---|
리은심 | 나루미야 유이 | 태국 |
2012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참가 팀
편집다음 3개 팀은 아제르바이잔에서 열린 2012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참가 자격을 획득했다.
- 일본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우승)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준우승)
- 중화인민공화국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3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