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FIFA U-17 월드컵
2011년 FIFA U-17 월드컵은 2011년 6월 18일부터 7월 10일까지 멕시코에서 개최된 14번째 FIFA U-17 월드컵이다.
2011년 FIFA U-17 월드컵 | |
---|---|
Copa Mundial Sub-17 de la FIFA México 2011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6월 18일 ~ 7월 10일 |
참가팀 | 24 (6개 대륙) |
경기장 | 7개 (7개 도시)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통계 | |
최다 득점 | ![]() |
최우수 선수 | ![]() |
최우수 골키퍼 | ![]() |
페어 플레이상 | ![]() |
« 2009 2013 » |
개최 도시 및 경기장
편집본선 진출 팀
편집- ^ : 처음으로 참가한 팀. 체코는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이후에 독립 국가로 처음으로 출전.
시드 배정
편집본선 조 추첨식은 2011년 5월 17일에 멕시코시티에서 열렸다.
포트 A | 포트 B | 포트 C | 포트 D |
---|---|---|---|
멕시코 독일 잉글랜드 브라질 아르헨티나 미국 |
콩고 공화국 부르키나파소 코트디부아르 르완다 자메이카 뉴질랜드 |
캐나다 파나마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우즈베키스탄 |
덴마크 네덜란드 프랑스 체코 우루과이 에콰도르 |
조별 리그
편집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5)을 따름.
- 보기
조별 리그를 통과하여 16강 진출이 확정된 팀 | |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 |
A조
편집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멕시코 | 3 | 3 | 0 | 0 | 8 | 4 | +4 | 9 |
콩고 공화국 | 3 | 1 | 1 | 1 | 3 | 3 | 0 | 4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0 | 2 | 1 | 3 | 5 | -2 | 2 |
네덜란드 | 3 | 0 | 1 | 2 | 3 | 5 | -2 |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 – 1 | 네덜란드 |
---|---|---|
강남권 48′ | 흐라벤버르흐 75′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 – 1 | 콩고 공화국 |
---|---|---|
주정철 14′ | 은쿵쿠 75′ |
B조
편집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일본 | 3 | 2 | 1 | 0 | 5 | 2 | +3 | 7 |
프랑스 | 3 | 1 | 2 | 0 | 5 | 2 | +3 | 5 |
아르헨티나 | 3 | 1 | 0 | 2 | 3 | 7 | -4 | 3 |
자메이카 | 3 | 0 | 1 | 2 | 2 | 4 | -2 | 1 |
C조
편집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잉글랜드 | 3 | 2 | 1 | 0 | 6 | 2 | +3 | 7 |
우루과이 | 3 | 2 | 0 | 1 | 4 | 2 | +2 | 6 |
캐나다 | 3 | 0 | 2 | 1 | 2 | 5 | -3 | 2 |
르완다 | 3 | 0 | 1 | 2 | 0 | 3 | -3 | 1 |
D조
편집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우즈베키스탄 | 3 | 2 | 0 | 1 | 5 | 6 | -1 | 6 |
미국 | 3 | 1 | 1 | 1 | 4 | 2 | +2 | 4 |
뉴질랜드 | 3 | 1 | 1 | 1 | 4 | 2 | +2 | 4 |
체코 | 3 | 1 | 0 | 2 | 2 | 5 | -3 | 3 |
- 미국과 뉴질랜드는 승점과 전적이 동률을 이루어 추첨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E조
편집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독일 | 3 | 3 | 0 | 0 | 11 | 1 | +10 | 9 |
에콰도르 | 3 | 2 | 0 | 1 | 5 | 7 | -2 | 6 |
파나마 | 3 | 1 | 0 | 2 | 2 | 4 | -2 | 3 |
부르키나파소 | 3 | 0 | 0 | 3 | 0 | 6 | -6 | 0 |
F조
편집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브라질 | 3 | 2 | 1 | 0 | 7 | 3 | +4 | 7 |
코트디부아르 | 3 | 1 | 1 | 1 | 8 | 7 | +1 | 4 |
오스트레일리아 | 3 | 1 | 1 | 1 | 3 | 3 | 0 | 4 |
덴마크 | 3 | 0 | 1 | 2 | 3 | 8 | -5 | 1 |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편집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D | 뉴질랜드 | 3 | 1 | 1 | 1 | 4 | 2 | +2 | 4 | 16강전 진출 |
F | 오스트레일리아 | 3 | 1 | 1 | 1 | 3 | 3 | 0 | 4 | |
E | 파나마 | 3 | 1 | 0 | 2 | 2 | 4 | -2 | 3 | |
B | 아르헨티나 | 3 | 1 | 0 | 2 | 3 | 7 | -4 | 3 | |
A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0 | 2 | 1 | 3 | 5 | -2 | 2 | 조별 리그 탈락 |
C | 캐나다 | 3 | 0 | 2 | 1 | 2 | 5 | -3 | 2 |
결선 토너먼트
편집결선 토너먼트에서는 양 팀이 정규 시간 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연장전 없이 승부차기를 실시한다.
16강전 |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6월 29일 – 모렐리아 | ||||||||||||||
콩고 공화국 | 1 | |||||||||||||
7월 3일 – 몬테레이 | ||||||||||||||
우루과이 | 2 | |||||||||||||
우루과이 | 2 | |||||||||||||
6월 29일 – 토레온 | ||||||||||||||
우즈베키스탄 | 0 | |||||||||||||
우즈베키스탄 | 4 | |||||||||||||
7월 7일 – 과달라하라 | ||||||||||||||
오스트레일리아 | 0 | |||||||||||||
우루과이 | 3 | |||||||||||||
6월 29일 – 몬테레이 | ||||||||||||||
브라질 | 0 | |||||||||||||
일본 | 6 | |||||||||||||
7월 3일 – 케레타로 | ||||||||||||||
뉴질랜드 | 0 | |||||||||||||
일본 | 2 | |||||||||||||
6월 29일 – 과달라하라 | ||||||||||||||
브라질 | 3 | |||||||||||||
브라질 | 2 | |||||||||||||
7월 10일 – 멕시코시티 | ||||||||||||||
에콰도르 | 0 | |||||||||||||
우루과이 | 0 | |||||||||||||
6월 30일 – 케레타로 | ||||||||||||||
멕시코 | 2 | |||||||||||||
독일 | 4 | |||||||||||||
7월 4일 – 모렐리아 | ||||||||||||||
미국 | 0 | |||||||||||||
독일 | 3 | |||||||||||||
6월 30일 – 파추카 | ||||||||||||||
잉글랜드 | 2 | |||||||||||||
잉글랜드 (PSO) | 1 (4) | |||||||||||||
7월 7일 – 토레온 | ||||||||||||||
아르헨티나 | 1 (2) | |||||||||||||
독일 | 2 | |||||||||||||
6월 30일 – 케레타로 | ||||||||||||||
멕시코 | 3 | 3위 결정전 | ||||||||||||
프랑스 | 3 | |||||||||||||
7월 4일 – 파추카 | 7월 10일 – 멕시코시티 | |||||||||||||
코트디부아르 | 2 | |||||||||||||
프랑스 | 1 | 브라질 | 3 | |||||||||||
6월 30일 – 파추카 | ||||||||||||||
멕시코 | 2 | 독일 | 4 | |||||||||||
멕시코 | 2 | |||||||||||||
파나마 | 0 | |||||||||||||
16강전
편집8강전
편집준결승전
편집3·4위전
편집결승전
편집우승
편집FIFA U-17 월드컵 우승 |
---|
제14대 세계 U-17 챔피언 (2회 우승) |
2005년, 2011년 |
최종 순위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멕시코 | 7 | 7 | 0 | 0 | 17 | 7 | +10 | 21 |
2 | 우루과이 | 7 | 5 | 0 | 2 | 11 | 5 | +6 | 15 |
3 | 독일 | 7 | 6 | 0 | 1 | 24 | 9 | +15 | 18 |
4 | 브라질 | 7 | 4 | 1 | 2 | 15 | 12 | +3 | 13 |
5 | 일본 | 5 | 3 | 1 | 1 | 13 | 5 | +8 | 10 |
6 | 우즈베키스탄 | 5 | 3 | 0 | 2 | 9 | 8 | +1 | 9 |
7 | 잉글랜드 | 5 | 2 | 2 | 1 | 9 | 6 | +3 | 8 |
8 | 프랑스 | 5 | 2 | 2 | 1 | 9 | 6 | +3 | 8 |
9 | 에콰도르 | 4 | 2 | 0 | 2 | 5 | 9 | -4 | 6 |
10 | 코트디부아르 | 4 | 1 | 1 | 2 | 10 | 10 | 0 | 4 |
11 | 콩고 공화국 | 4 | 1 | 1 | 2 | 4 | 5 | -1 | 4 |
12 | 미국 | 4 | 1 | 1 | 2 | 4 | 6 | -2 | 4 |
13 | 파나마 | 4 | 1 | 1 | 2 | 4 | 8 | -4 | 4 |
14 | 아르헨티나 | 4 | 1 | 1 | 2 | 4 | 8 | -4 | 4 |
15 | 뉴질랜드 | 4 | 1 | 1 | 2 | 3 | 7 | -4 | 4 |
16 | 오스트레일리아 | 4 | 1 | 0 | 3 | 2 | 6 | -4 | 3 |
17 | 파나마 | 3 | 1 | 0 | 2 | 2 | 5 | -3 | 3 |
1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0 | 2 | 1 | 3 | 5 | -2 | 2 |
19 | 캐나다 | 3 | 0 | 2 | 1 | 2 | 5 | -3 | 2 |
20 | 네덜란드 | 3 | 0 | 1 | 2 | 3 | 5 | -2 | 1 |
21 | 자메이카 | 3 | 0 | 1 | 2 | 2 | 4 | -2 | 1 |
22 | 르완다 | 3 | 0 | 1 | 2 | 0 | 3 | -3 | 1 |
23 | 덴마크 | 3 | 0 | 1 | 2 | 3 | 8 | -5 | 1 |
24 | 부르키나파소 | 3 | 0 | 0 | 3 | 0 | 6 | -6 | 0 |
수상
편집아디다스 골든 볼 |
아디다스 실버 볼 |
아디다스 브론즈 볼 |
---|---|---|
아디다스 골든 부트 |
아디다스 실버 부트 |
아디다스 브론즈 부트 |
9골 (0 어시스트) | 6골 (0 어시스트) | 5골 (0 어시스트) |
아디다스 골든 글러브 | ||
마티아스 쿠베로 | ||
FIFA 페어 플레이 상 | ||
일본 |
각주
편집- ↑ 오스트레일리아와 덴마크의 조별 예선 경기는 본래 2011년 6월 26일 18시에 열렸지만 전반 25분에 경기장에 내린 폭우로 인해 중단되었다. 경기가 중단되던 당시에는 덴마크가 1:0으로 앞서고 있었다. 이에 따라 2011년 6월 27일 10시에 0:0 상황에서 경기가 다시 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