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2019년 6월 21일부터 7월 19일까지 이집트에서 개최된 32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이다. 2017년 7월 20일에 열린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집행위원회가 2019년 대회부터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 시기를 1월 ~ 2월에서 6월 ~ 7월로 변경하는 한편 참가국 수를 16개국에서 24개국으로 확대했다.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
---|---|
개최국 | 이집트 |
개최기간 | 6월 21일 ~ 7월 19일 |
참가팀 | 24개 |
경기장 | 6개 (4개 도시) |
결과 | |
우승 | 알제리 (2번째 우승) |
준우승 | 세네갈 |
3위 | 나이지리아 |
4위 | 튀니지 |
통계 | |
경기 수 | 52경기 |
득점 수 | 102골 (경기당 1.96골) |
관중 수 | 943,053명 (경기당 18,136명) |
최다 득점 | 오디온 이갈로 (5골) |
최우수 선수 | 이스마엘 벤나세르 |
« 2017 2021 » |
원래는 카메룬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아프리카 축구 연맹 집행위원회가 2018년 11월 30일에 열린 회의를 통해 카메룬이 대회 개최 준비 부족, 무력 분쟁으로 인한 치안 악화로 인해 개최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카메룬의 대회 개최권을 박탈하고 개최국을 새로 선정했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 집행위원회는 2019년 1월 8일에 열린 회의에서 이집트를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새로운 개최국으로 결정했다.
원래는 6월 15일부터 7월 13일까지 열릴 예정이었지만 이슬람교의 금식 기간인 라마단을 고려하여 6월 21일부터 7월 19일까지 열기로 결정했다. 또한 이 대회의 16강전부터 결승전까지는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사상 처음으로 비디오 판독 기술(비디오 어시스턴트 레프리, VAR)이 시행되었다.
개최국 선정
편집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집행위원회는 2014년 1월 24일에 열린 회의에서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종 후보 국가를 발표했다. 최종 후보 국가로 선정된 국가는 다음과 같다.
다음은 유치 신청을 했으나 나중에 최종 후보 3개국에 들지 못한 나라들이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 집행위원회는 2014년 9월 20일에 열린 회의에서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을 카메룬으로,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을 코트디부아르로,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을 기니로 각각 선정했다.
대체 개최국 선정
편집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집행위원회는 2018년 11월 30일에 열린 회의를 통해 카메룬이 대회 개최 준비 부족, 무력 분쟁으로 인한 치안 악화로 인해 개최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카메룬의 대회 개최권을 박탈했다.[1] 이에 따라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권을 박탈당한 카메룬을 대체할 개최국을 새로 선정하기로 결정했다. 다음은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을 유치하기 위해 신청한 나라들이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집행위원회는 2019년 1월 8일에 세네갈 다카르에서 열린 회의에서 이집트를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새로운 개최국으로 선정하였다.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2]
개최국 | 투표 | 결과 |
---|---|---|
이집트 | 16 | 개최 |
남아프리카 공화국 | 4 | - |
기권 | 1 | - |
개최 도시 및 경기장
편집개최 도시 및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카이로 | ||
---|---|---|
카이로 국제 스타디움 | 알살람 스타디움 | 6월 30일 경기장 |
수용정원: 74,100명 | 수용정원: 30,000명 | 수용정원: 30,000명 |
알렉산드리아 | 수에즈 | 이스마일리아 |
알렉산드리아 스타디움 | 수에즈 스타디움 | 이스마일리아 스타디움 |
수용정원: 19,676명 | 수용정원: 27,000명 | 수용정원: 16,606명 |
예선
편집본선 진출국
편집팀 | 예선 결과 | 과거 본선 기록 |
---|---|---|
세네갈 | A조 1위 | 14회 (1965, 1968, 1986, 1990, 1992, 1994, 2000, 2002, 2004, 2006, 2008, 2012, 2015, 2017) |
마다가스카르 | A조 2위 | 첫 출전 |
모로코 | B조 1위 | 16회 (1972, 1976, 1978, 1980, 1986, 1988, 1992,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2, 2013, 2017) |
카메룬 | B조 2위 | 18회 (1970, 1972,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5, 2017) |
말리 | C조 1위 | 10회 (1972, 1994, 2002, 2004, 2008, 2010, 2012, 2013, 2015, 2017) |
부룬디 | C조 2위 | 첫 출전 |
알제리 | D조 1위 | 17회 (1968,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6, 1998, 2000, 2002, 2004, 2010, 2013, 2015, 2017) |
베냉 | D조 2위 | 3회 (2004, 2008, 2010) |
나이지리아 | E조 1위 | 17회 (1963, 1976, 1978, 1980, 1982, 1984, 1988, 1990, 1992, 1994,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3) |
남아프리카 공화국 | E조 2위 | 9회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3, 2015) |
가나 | F조 1위 | 21회 (1963, 1965, 1968, 1970, 1978, 1980, 1982, 1984,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 2012, 2013, 2015, 2017) |
케냐 | F조 2위 | 5회 (1972, 1988, 1990, 1992, 2004) |
짐바브웨 | G조 1위 | 3회 (2004, 2006, 2017) |
콩고 민주 공화국 | G조 2위 | 18회 (1965, 1968, 1970, 1972, 1974, 1976, 1988,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13, 2015, 2017) |
기니 | H조 1위 | 11회 (1970, 1974, 1976, 1980, 1994, 1998, 2004, 2006, 2008, 2012, 2015) |
코트디부아르 | H조 2위 | 22회 (1965, 1968, 1970, 1974, 1980,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 2012, 2013, 2015, 2017) |
앙골라 | I조 1위 | 7회 (1996, 1998, 2006, 2008, 2010, 2012, 2013) |
모리타니 | I조 2위 | 첫 출전 |
튀니지 | J조 1위 | 18회 (1962, 1963, 1965, 1978, 198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3, 2015, 2017) |
이집트 | J조 2위1 | 23회 (1957, 1959, 1962, 1963, 1970, 1974, 1976, 1980,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7) |
기니비사우 | K조 1위 | 1회 (2017) |
나미비아 | K조 2위 | 2회 (1998, 2008) |
우간다 | L조 1위 | 6회 (1962, 1968, 1974, 1976, 1978, 2017) |
탄자니아 | L조 2위 | 1회 (1980) |
1 이집트는 2019년 1월 8일에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새로운 개최국으로 선정됨에 따라 지역 예선 결과에 상관 없이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굵은 글씨는 우승한 대회를, 이탤릭체는 개최한 대회를 의미한다.
시드 배정
편집조 추첨은 2019년 4월 12일 이집트 기지에서 실시되었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은 2019년 3월 25일에 열린 회의에서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참가한 팀들의 시드 배정 기준을 다음과 같이 결정했다.
-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성적
-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성적
- 2019년 3월 FIFA 랭킹
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
선수 명단
편집조별 리그
편집모든 경기는 현지 시간(UTC+2)을 따름
A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이집트 | 3 | 3 | 0 | 0 | 5 | 0 | +5 | 9 |
우간다 | 3 | 1 | 1 | 1 | 3 | 3 | 0 | 4 |
콩고 민주 공화국 | 3 | 1 | 0 | 2 | 4 | 4 | 0 | 3 |
짐바브웨 | 3 | 0 | 1 | 2 | 1 | 6 | -5 | 1 |
B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마다가스카르 | 3 | 2 | 1 | 0 | 5 | 2 | +3 | 7 |
나이지리아 | 3 | 2 | 0 | 1 | 2 | 2 | 0 | 6 |
기니 | 3 | 1 | 1 | 1 | 4 | 3 | +1 | 4 |
부룬디 | 3 | 0 | 0 | 3 | 0 | 4 | -4 | 0 |
C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알제리 | 3 | 3 | 0 | 0 | 6 | 0 | +6 | 9 |
세네갈 | 3 | 2 | 0 | 1 | 5 | 1 | +4 | 6 |
케냐 | 3 | 1 | 0 | 2 | 3 | 7 | -4 | 3 |
탄자니아 | 3 | 0 | 0 | 3 | 2 | 8 | -6 | 0 |
D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모로코 | 3 | 3 | 0 | 0 | 3 | 0 | +3 | 9 |
코트디부아르 | 3 | 2 | 0 | 1 | 5 | 2 | +3 | 6 |
남아프리카 공화국 | 3 | 1 | 0 | 2 | 1 | 2 | -1 | 3 |
나미비아 | 3 | 0 | 0 | 3 | 1 | 6 | -5 | 0 |
E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말리 | 3 | 2 | 1 | 0 | 6 | 2 | +4 | 7 |
튀니지 | 3 | 0 | 3 | 0 | 2 | 2 | 0 | 3 |
앙골라 | 3 | 0 | 2 | 1 | 1 | 2 | -1 | 2 |
모리타니 | 3 | 0 | 2 | 1 | 1 | 4 | -3 | 2 |
말리 | 4 – 1 | 모리타니 |
---|---|---|
디아비 37′ 마레가 45′ (페널티) A. 트라오레 2세 55′ A. 트라오레 1세 74′ |
리포트 | 엘하센 72′ |
F조
편집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가나 | 3 | 1 | 2 | 0 | 4 | 2 | +2 | 5 |
카메룬 | 3 | 1 | 2 | 0 | 2 | 0 | +2 | 5 |
베냉 | 3 | 0 | 3 | 0 | 2 | 2 | 0 | 3 |
기니비사우 | 3 | 0 | 1 | 2 | 0 | 4 | -4 | 1 |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편집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B | 기니 | 3 | 1 | 1 | 1 | 4 | 3 | +1 | 4 | 16강전 진출 |
A | 콩고 민주 공화국 | 3 | 1 | 0 | 2 | 4 | 4 | 0 | 3 | |
F | 베냉 | 3 | 0 | 3 | 0 | 2 | 2 | 0 | 3 | |
D | 남아프리카 공화국 | 3 | 1 | 0 | 2 | 1 | 2 | -1 | 3 | |
C | 케냐 | 3 | 1 | 0 | 2 | 3 | 7 | -4 | 3 | 조별 리그 탈락 |
E | 앙골라 | 3 | 0 | 2 | 1 | 1 | 2 | -1 | 2 |
결선 토너먼트
편집16강전 |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7월 5일 - 카이로 | ||||||||||||||
우간다 | 0 | |||||||||||||
7월 10일 - 카이로 | ||||||||||||||
세네갈 | 1 | |||||||||||||
세네갈 | 1 | |||||||||||||
7월 5일 - 카이로 | ||||||||||||||
베냉 | 0 | |||||||||||||
모로코 | 1 (1) | |||||||||||||
7월 14일 - 카이로 | ||||||||||||||
베냉 (승) | 1 (4) | |||||||||||||
세네갈 | 1 | |||||||||||||
7월 7일 - 알렉산드리아 | ||||||||||||||
튀니지 | 0 | |||||||||||||
마다가스카르 (승) | 2 (4) | |||||||||||||
7월 11일 - 카이로 | ||||||||||||||
콩고 민주 공화국 | 2 (2) | |||||||||||||
마다가스카르 | 0 | |||||||||||||
7월 8일 - 이스마일리아 | ||||||||||||||
튀니지 | 3 | |||||||||||||
가나 | 1 (4) | |||||||||||||
7월 19일 - 카이로 | ||||||||||||||
튀니지 (승) | 1 (5) | |||||||||||||
세네갈 | 0 | |||||||||||||
7월 8일 - 수에즈 | ||||||||||||||
알제리 | 1 | |||||||||||||
말리 | 0 | |||||||||||||
7월 11일 - 수에즈 | ||||||||||||||
코트디부아르 | 1 | |||||||||||||
코트디부아르 | 1 (3) | |||||||||||||
7월 7일 - 카이로 | ||||||||||||||
알제리 (승) | 1 (4) | |||||||||||||
알제리 | 3 | |||||||||||||
7월 14일 - 카이로 | ||||||||||||||
기니 | 0 | |||||||||||||
알제리 | 2 | |||||||||||||
7월 6일 - 알렉산드리아 | ||||||||||||||
나이지리아 | 1 | 3위 결정전 | ||||||||||||
나이지리아 | 3 | |||||||||||||
7월 10일 - 카이로 | 7월 17일 - 카이로 | |||||||||||||
카메룬 | 2 | |||||||||||||
나이지리아 | 2 | 튀니지 | 0 | |||||||||||
7월 6일 - 카이로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 | 나이지리아 | 1 | |||||||||||
이집트 | 0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 | |||||||||||||
16강전
편집마다가스카르 | 2 – 2 (연장전) |
콩고 민주 공화국 |
---|---|---|
아마다 9′ 안드리아치마 77′ |
리포트 | 바캄부 21′ 음벰바 90′ |
승부차기 | ||
아마다 메타니어 폰테인 맘브리스 |
4 – 2 | 티저랜드 바캄부 음포쿠 볼라시 |
8강전
편집준결승전
편집3위 결정전
편집결승전
편집득점 선수
편집- 5골
- 3골
- 2골
|
- 1골
|
- 자책골
|
|
수상
편집최고 득점자 | 최우수 선수 | 페어플레이 |
---|---|---|
오디온 이갈로 | 이스마엘 벤나세르 | 세네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