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2022년 남태평양 사이클론
2021~2022년 남태평양 사이클론(2021~2022 South Pacific cyclone season)은 남태평양에서 2021년 7월부터 2022년 5월까지 활동한 사이클론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한 문서이다.
2021~2022년 남태평양 열대 저기압들의 이동 경로 | ||||||||||||||||
담당 기관 | RSMC 나디 | |||||||||||||||
---|---|---|---|---|---|---|---|---|---|---|---|---|---|---|---|---|
열대 저기압 최초 발생일 | - | |||||||||||||||
최초 발생일 | 2021년 12월 13일 | |||||||||||||||
소멸일 | 2022년 5월 21일 | |||||||||||||||
열대 저기압 소멸일 | - | |||||||||||||||
발생(명명)수 | 총합 6개 인텐스 사이클론:0개 사이클론:2개 열대폭풍:4개 열대저기압:1개 열대요란:4개 | |||||||||||||||
사망자수 | - | |||||||||||||||
재산 피해 | - | |||||||||||||||
가장 강한 열대저기압 | 제3호 사이클론 도비 최저기압 940hPa 10분최대풍속 95kt | |||||||||||||||
연도별 문서 | ||||||||||||||||
2020~2021년 | 2021~2022년 | 2022~2023년 | ||||||||||||||
| ||||||||||||||||
|
통계
편집타임라인
편집FMS
편집사이클론 이름
편집
|
|
활동한 사이클론
편집제 1호 사이클론 루비
편집2등급 사이클론 (FMS) | ||
---|---|---|
1등급 사이클론 (SSHS) | ||
활동 기간 | 12월 13일[1] ~ 12월 14일 | |
최저 기압 | 975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30m/s (60kt; 110km/h) | |
태풍 피해 | - |
제2호 강한 사이클론 코디
편집3등급 강한 사이클론 (FMS) | ||
---|---|---|
열대폭풍 (SSHS) | ||
활동 기간 | 1월 5일 ~ 1월 13일 | |
최저 기압 | 971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35m/s (70kt; 130km/h) | |
태풍 피해 | 1명 사망 피해총액 2,500만 달러 |
열대저기압 04F
편집열대저기압 (FMS) | ||
---|---|---|
열대저기압 (SSHS) | ||
활동 기간 | 1월 15일 ~ 1월 18일 | |
최저 기압 | 999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13m/s (25kt; 45km/h) | |
태풍 피해 | - |
제3호 강한 사이클론 도비
편집4등급 강한 사이클론 (FMS) | ||
---|---|---|
1등급 사이클론 (SSHS) | ||
활동 기간 | 2월 6일 ~ 2월 12일 | |
최저 기압 | 940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50m/s (95kt; 175km/h) | |
태풍 피해 | 피해총액 3,100만 달러 |
제4호 사이클론 에바
편집1등급 사이클론 (FMS) | ||
---|---|---|
열대폭풍 (SSHS) | ||
활동 기간 | 2월 26일 ~ 3월 5일 | |
최저 기압 | 995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18m/s (35kt; 65km/h) | |
태풍 피해 | - |
제5호 사이클론 필리
편집2등급 사이클론 (FMS) | ||
---|---|---|
열대폭풍 (SSHS) | ||
활동 기간 | 4월 3일 ~ 4월 8일 | |
최저 기압 | 977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30m/s (60kt; 110km/h) | |
태풍 피해 | - |
제6호 사이클론 지나
편집1등급 사이클론 (FMS) | ||
---|---|---|
열대폭풍 (SSHS) | ||
활동 기간 | 5월 17일 ~ 5월 21일 | |
최저 기압 | 998hPa | |
최대 풍속 (10분 평균) |
20m/s (40kt; 75km/h) | |
태풍 피해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