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FIFA 월드컵
![]() | 이 문서는 최근 사건을 다루며, 지속적인 갱신이 필요합니다. |
2022년 FIFA 월드컵 | |
---|---|
![]() | |
원어 명칭 | بطولة كأس العالم لكرة القد 2022 |
개최국 | ![]() |
개최기간 | 11월 20일 – 12월 18일 |
경기장 | 8개 (5개 도시) |
참가국 | 32개국 (5개 대륙) |
결과 | |
우승 | ![]() |
우승 횟수 | 3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최우수 선수 | ![]() |
최다 득점 | ![]() |
최우수 신인 선수 | ![]() |
최우수 골키퍼 | ![]() |
페어 플레이상 | ![]() |
총 경기 | 64 |
총 득점 | 172 |
경기당 평균 득점 | 2.69 |
총 관중 | 3,404,252 |
평균 관중 | 53,191 |
« 2018 2026 » |
2022년 FIFA 월드컵(아랍어: 2022 بطولة كأس العالم لكرة القد)은 2022년 11월 20일부터 12월 18일까지 카타르에서 개최된 제 22회 FIFA 월드컵으로, 사상 최초로 11월과 12월에 열린 월드컵이다. 아랍권뿐만 아니라 이슬람권에서 열리는 첫 번째 월드컵으로, 대한민국과 일본에 열린 2002년 FIFA 월드컵 이후 20년 만에 아시아 대륙에서 다시 열리는 월드컵[1]이다. 1998년 FIFA 월드컵부터 24년 동안 지속된 32개국 체제의 마지막 월드컵으로, 다음 대회인 2026년 FIFA 월드컵부터는 출전국이 48개국으로 늘어난다.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 진출에 처음으로 성공한 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은 조별 리그 3경기에서 모두 패배를 기록했는데, 모든 경기에서 패배한 첫 번째 개최국이자 개막전에서 패배를 기록한 최초의 개최국, 201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이어서 조별 리그를 통과하지 못한 두 번째 개최국이 되었다.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는 지난 대회 우승국인 프랑스를 상대로 연장전 끝에 3-3으로 승부를 가르지 못한 후, 승부차기 끝에 4-2로 이겨 1986년 이후 36년 만의 우승을 차지했다. 2006년 결승전 이후 처음으로 승부차기로 우승국이 결정됐으며, 프랑스의 킬리안 음바페는 1966년 결승전의 제프 허스트 이후 결승전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고, 대회에서 8골을 득점하며 골든 부츠를 수상했다. 아르헨티나의 주장 리오넬 메시가 팀의 우승을 이끌며 2014년 이후 두 번째 골든볼을 수상하면서 대회 최우수 선수에 선정됐고, 아르헨티나의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와 엔소 페르난데스가 각각 골든 글러브와 영플레이어상을 수상했다.
월드컵 우승을 이끈 리오넬 스칼로니는 1978년 생으로 이 월드컵 출전 감독 중 최연소 감독이다.
개최국 선정편집
2018년과 2022년 FIFA 월드컵 유치전은 2009년 1월에 막이 올랐고, 유치 의사가 있는 국가 협회는 2009년 2월 2일까지 등록할 수 있었다. 멕시코는 중도에 포기했고, 인도네시아의 유치 의사는 정부가 유치 의사를 담은 서류를 제출하지 않음에 따라 2010년 2월 FIFA에 의해 거절되었다.
2010년 12월 2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린 22명의 FIFA 집행위원회 위원의 투표를 통해 카타르 2022년 FIFA 월드컵 개최국이 결정되었다. 카타르는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 개최한 2002년 FIFA 월드컵 이후 아시아에서는 2번째, 중동에서는 1번째 월드컵 개최국이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카타르 정부가 FIFA에게 500만 달러의 뇌물을 줘서 개최국 자격을 획득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2]
국가 | 득표율 | |||
---|---|---|---|---|
1차 투표 | 2차 투표 | 3차 투표 | 4차 투표 | |
![]() |
11 | 10 | 11 | 14 |
![]() |
3 | 5 | 6 | 8 |
![]() |
4 | 5 | 5 | – |
![]() |
3 | 2 | – | – |
![]() |
1 | – | – | – |
본선 참가국 확대 가능성편집
2018년 4월 12일 남미 축구 연맹(CONMEBOL)은 FIFA 측에 2026년 FIFA 월드컵 개최 4년 전에 열리는 2022년 FIFA 월드컵 참가국 수를 32개국에서 2026년 FlFA 월드컵부터는 48개국으로 확대할 것을 요구했다. 잔니 인판티노 FIFA 회장은 CONMEBOL의 구상을 지지했지만 FIFA는 해당 결정을 유보했다.[3] 이에 따라 FIFA는 개최국 카타르의 동의 여부를 확인한 이후에 FIFA 평의회에서 해당 안건을 다루기로 결정했다.
FIFA는 2019년 3월에 실시된 타당성 조사를 통해 2022년 FIFA 월드컵이 1개 이상의 이웃 나라와 2~4개의 경기장을 추가하면 2026 FlFA 월드컵부터는 48개국이 참가하는 대회로 확장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FIFA는 대회 형식을 변경함으로써 유치 경쟁자를 잃거나 법적 조치를 배제할 수는 없지만 그러한 위험은 낮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FIFA와 카타르는 2019년 6월에 열릴 FIFA 평의회, FIFA 총회에서 이웃 나라와의 공동 개최를 모색할 예정이라고 밝혔고 해당 안건이 받아들일 경우에는 2019년 6월에 프랑스 파리에서 열릴 제69차 FIFA 총회에서 해당 안건이 채택할 예정이었다.[4] 하지만 FIFA는 2019년 5월 22일에 공개된 공식 성명을 통해 2022년 FIFA 월드컵에서는 32개국이 참가한다고 밝혔다.
지역 예선편집
FIFA의 6개 대륙 연맹은 자체 예선 대회를 조직한다. 현재 211개국 모든 FIFA 회원 협회가 참가 자격이 있었다. 주최국인 카타르는 자동으로 토너먼트 진출 자격을 얻었다. 그러나 아시아 축구 연맹은 첫 두 라운드가 2023년 AFC 아시안컵 예선을 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카타르가 아시아 지역 예선에 참가할 것을 의무화했다.[5] 카타르가 아시아 2차예선 E조 1위를 기록하며 결승에 진출한 이후 각조 2위팀 중 5번째인 레바논(아시아 2차예선 H조 2위)이 대신 진출했다.[6] 현 월드컵 챔피언 프랑스도 예선을 통과했다.[7] 세인트루시아는 처음에 예선에 참가했지만 첫 경기 전에 예선에서 기권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코로나-19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2차예선을 도중 기권하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기권하는 바람에 투르크메니스탄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이긴 경기가 취소되어 억울하게 탈락했고 그 자리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게 패배한 레바논이 대신했다. 한편 미국령 사모아와 사모아는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조추첨 전에 모두 기권하였다. 통가는 2022년 훙가 통가-훙가 하아파이 화산 분화와 쓰나미 이후 철수했다. 대표팀 선수단에서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해 바누아투 축구 국가 대표팀과 쿡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도 철수했다.(코로나19 범유행 재확산)
2022년 6월 5일 기준으로 2018년 이전 토너먼트에 참가한 22개국을 포함하여 30개국이 결승전에 진출했다. 카타르는 FIFA 월드컵에 데뷔한 유일한 팀으로 이탈리아 이후 처음으로 토너먼트 데뷔를 한 개최국이 되었다. 그 결과 2022년 월드컵은 예선을 통해 진출한 팀이 한 팀도 데뷔하지 못한 첫 월드컵이 됐다. 네덜란드, 에콰도르, 가나, 카메룬, 미국이 2018년 대회에서 지역예선 탈락한 뒤 본선 대회에 복귀했다. 캐나다는 36년 만에 돌아왔고, 그들이 참가한 이전 월드컵은 1986년이었다.[8] 웨일스는 64년만에 두번째 출전을 했다. 이는 유럽 팀의 기록 격차이며 1958년에 있었던 유일한 참가였다.[9]
4회 세계 챔피언이자 현 유럽 챔피언인 이탈리아는 사상 처음으로 2회 연속 월드컵 진출에 실패하여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 준결승전에서 졌다.[10] 이탈리아는 예선에 실패한 유일한 전 챔피언이었다. 2018년 월드컵 개최국인 러시아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출전 자격이 박탈되었다.[11] 칠레는, 2015년 및 2016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팀이었지만 2회 연속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나이지리아는 지난 3번의 월드컵과 지난 7번의 월드컵 중 6번의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했지만 아프리카 최종 플레이오프 라운드에서 원정 다득점으로 가나에 뒤져서 탈락했다. 이집트, 파나마, 콜롬비아, 아이슬란드, 스웨덴 등 2018년 월드컵에 진출한 팀들도 2022년 대회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지역 | 예선 통과 팀 | 국가/팀 |
---|---|---|
유럽 (UEFA) | 13팀 | 13장 |
남미 (CONMEBOL) | 4팀 | 4.5장 |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4팀 | 3.5장 |
아시아 (AFC) | 6팀 | ![]() |
아프리카 (CAF) | 5팀 | 5장 |
오세아니아 (OFC) | 0팀 | 0.5장 |
본선 진출 팀편집
- 1 굵은 글씨는 당해년도 우승팀을 가리킨다. 이탤릭 체 글씨는 당해년도 개최국을 가리킨다.
- 3 유고슬라비아로 참가했다.
- 4 세르비아-몬테네그로로 참가했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루사일 | 알코르 | 도하 | |
---|---|---|---|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 알베이트 스타디움 | 스타디움 974 | 알투마마 경기장 |
수용인원: 88,996명 | 수용인원: 68,895명 | 수용인원: 44,089명 | 수용인원: 44,400명 |
![]() |
![]() |
![]() | |
카타르의 개최 도시 | 도하 부근의 경기장 | ||
알라이얀 | 알와크라 | ||
칼리파 국제경기장 |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 알자누브 스타디움 |
수용인원: 45,857명 | 수용인원: 44,667명 | 수용인원: 45,032명 | 수용인원: 44,325명 |
![]() |
![]() |
사건 및 논란편집
뇌물 수수와 관련된 논란편집
2014년 6월 1일 영국의 《선데이 타임스》는 모하메드 빈 함맘 전 아시아 축구 연맹(AFC) 회장이 자신의 모국인 카타르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면서 FIFA 관계자들에게 거액의 뇌물을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2022년 FIFA 월드컵 개최국 결정을 1년 전부터 모하메드 빈 함맘이 로비 활동을 벌이는 과정에서 500만 달러에 가까운 뇌물이 오고 갔으며 이에 대한 이메일, 은행 거래 명세서 등을 입수했다고 밝혔다.
2015년 국제축구연맹 부패 사건을 계기로 2022년 FIFA 월드컵 유치 과정에 연루된 축구인 상당수가 미국 당국의 조사를 받았다.
개최 시기와 관련된 논란편집
카타르는 유치 과정에서 중동의 더운 기후 문제에 대해 모든 경기장에 에어컨을 설치하겠다는 파격적인 공약으로 대응했다. 이 때문에 환경 문제가 제시되기도 했지만 태양열을 이용한 친환경 냉방 장치를 설치하겠다고 공약했다. 카타르는 6월 ~ 7월의 평균 기온이 섭씨 40 ~ 50도에 육박하기 때문에 여름에 개최할 경우에는 선수단, 해설진, 관중들이 건강이 우려되기 때문에 국제 축구계에서는 겨울 개최안이 나왔다. 그러나 2022년 동계 올림픽과 일정이 중복되는 문제로 동계 스포츠 단체에서 반발하였다.
제프 블래터 FIFA 회장은 2013년 11월 8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린 2013년 FIFA U-17 월드컵 결승전을 관전한 뒤 가진 인터뷰에서 1월이나 2월 개최는 동계 올림픽과 FIFA 월드컵 서로 간의 흥행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으며 겨울에 개최할 경우에는 11월 - 12월에 개최해야 한다고 해명했다. 국제 동계 스포츠계는 올림픽과 겹치지 않는 시기에 개최하는 것도 동계 스포츠의 관심을 떨어트릴 우려로 반대하고 있다. 또한 유럽의 축구 리그 시기와 겹쳐 유럽 축구 리그에 방해가 된다는 이야기도 있어 카타르로선 큰 난관을 헤쳐나가야 하는 실정이었다. 4월에 개최하는 것은 이슬람교의 금식 기간인 라마단(2022년 라마단은 2022년 4월 2일부터 5월 1일까지임)과 겹치기 때문에 더더욱 불가능한 실정이었다.
2015년 3월 19일 FIFA 집행위원회에서 2022년 FIFA 월드컵 본선 개최 시기를 2022년 11월 21일부터 12월 18일까지로 결정하였다. 12월 18일은 개최국인 카타르의 국경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개최날짜를 1일 앞 당겨서 2022년 11월 20일 부터 2022년 12월 18일까지로 다시 결정하였다고 FlFA 집행위원회에서 다시 지침이 내려져지게 되었다.
외국인 노동자의 인권침해 논란편집
영국의 일간 신문 《가디언》은 카타르에 체류하는 많은 외국인 노동자가 열악한 노동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가디언》의 보도에 따르면 카타르의 월드컵 관련 기반 시설 공사에 참여하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들은 하루 종일 물과 음식조차 먹지 못하고 있으며 열악한 숙소에서 생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카타르는 카팔라(Kafala)라고 부르는 중동 고유의 노동 계약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휴먼 라이츠 워치, 국제 노동조합 연합은 카타르의 카팔라 시스템이 노동자가 고용주의 동의 없이 직업을 바꾸거나 그만둘 수 없으며, 임금 체불에도 항의할 수 없는 제도여서 노예 제도를 연상시킨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카타르의 외국인 노동자들 가운데 90%가 자신의 여권을 고용주에게 몰수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추첨과 일정편집
월드컵 본선 조추첨은 지역 예선이 완료되기 전인 2022년 4월 1일 저녁 7시(UTC+3), 카타르 도하에 있는 도하 전시 컨벤션 센터에서 열렸다.[12][13] 2022년 4월 1일 기준, 대륙간 플레이오프의 두 승자와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의 루트 A 승자는 추첨 당시 알려지지 않았다.[14]
추첨을 위해 32개 팀은 2022년 3월 31일의 FIFA 세계 랭킹에 따라 4개의 포트에 할당된다. 포트 1에는 개최국 카타르(A1 위치에 자동으로 배정됨)와 상위 7개 팀이 포함된다. 포트 2에는 상위 8개 팀이 포함되며, 그 다음 상위 8개 팀은 포트 3에 포함된다. 포트 4에는 최하위 5개 팀과 대륙간 플레이오프 승자 2팀 및 유럽 플레이오프 패스 A의 최종 승자가 포함된다. 플레이오프 승자들은 같은 대륙 연맹의 팀들은 유럽 팀을 제외하고 같은 조에 속할 수 없다. 이 원칙은 자리 표시자 팀에도 적용되며, 각 플레이오프 동점의 두 잠재적 승자의 연합을 기반으로 하는 제약 조건이 적용됩니다. 추첨은 포트 1에서 시작하여 포트 4에서 끝난다. 각 팀이 선택된 다음 알파벳 순으로 첫 번째 사용 가능한 그룹에 할당된다. 그런 다음 그룹 내 팀의 위치가 추첨되고 포트 1 팀이 각 그룹의 위치 1에 자동으로 추첨된다.[15] 조추첨 위한 포트는 다음과 같다.:
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
|
|
|
|
1 추첨 당시에는 어느 팀인지 정해져 있지 않았다.
경기 일정은 2020년 7월 15일 FIFA에 의해 확인되었다.[16] 개최국 카타르가 참가하는 개막전은 현지 시간 2022년 11월 20일 19:00(UTC+3)에 알베이트 스타디움에서 열릴 것이다. 조별리그에서는 개막일 1경기, 개막일 다음날 3경기 후 매일 4경기가 진행되며, 첫 두 라운드는 킥오프 시간이 13:00, 16:00, 19:00, 22:00이고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들은 18:00, 22:00이다. 마지막 라운드의 동시 킥오프와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 3위 결정전은 2022년 12월 17일 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에서, 결승전은 2022년 12월 18일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에서 18시에 열릴 예정이다.[17]
조 추첨 전에 경기 장소와 각 경기의 킥오프 시간을 정하는 기존 토너먼트와는 달리, 각 경기일의 조별 경기 일정은 조별리그 조 추첨 이후에 특정 장소 및 킥오프 시간으로 배정한다. 각 특정 고정구의 팀이 알려져 있다. 이는 주최측이 관중을 위한 경기장 할당과 텔레비전 관중을 위한 시작 시간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장소가 매우 가깝기 때문일 수 있다.[16] 각 조의 조별리그 경기는 다음 경기장에 할당된다.:[17]
- A, B, E, F조 : 알베이트 스타디움,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투마마 경기장,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
- C, D, G, H조 :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18], 스타디움 974,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자누브 스타디움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추첨되었다. 편성 방식은 유럽의 경우 같은 조에 2개국, 나머지 대륙의 경우 같은 조에 1개국이 편성되었으면 옆으로 1칸 이동해서 편성된다.
추첨 순서 |
---|
|
선수 명단편집
심판진편집
|
조별 리그편집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AST/UTC+3)을 따름.
순위 규정 |
---|
조별 리그의 각국은 다음 조건으로 순위가 결정된다:[19]
두 국가 이상 위의 세 부문에서 동률시 다음 방식대로 최종 순위가 결정된다:
|
A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1 | ![]() |
3 | 2 | 1 | 0 | 5 | 1 | +4 | 7 | 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
2 | ![]() |
3 | 2 | 0 | 1 | 5 | 4 | +1 | 6 | |
3 | ![]() |
3 | 1 | 1 | 1 | 4 | 3 | +1 | 4 | |
4 | ![]() |
3 | 0 | 0 | 3 | 1 | 7 | −6 | 0 |
2022년 11월 20일 19:00 | ||||||
카타르 ![]() |
0 – 2 | ![]() |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관중수: 67,372명 심판: 다니엘레 오르사토 (이탈리아) | |||
리포트 | 발렌시아 ![]() | |||||
2022년 11월 21일 19:00 | ||||||
세네갈 ![]() |
0 – 2 | ![]() |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관중수: 41,721명 심판: 위우통 삼파이우 (브라질) | |||
리포트 | 학포 ![]() 클라선 ![]() | |||||
2022년 11월 25일 16:00 | ||||||
카타르 ![]() |
1 – 3 | ![]() |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관중수: 41,797명 심판: 안토니오 마테우 라오스 (스페인) | |||
문타리 ![]() |
리포트 | 디아 ![]() 디에디우 ![]() 디엥 ![]() | ||||
2022년 11월 25일 19:00 | ||||||
네덜란드 ![]() |
1 – 1 | ![]() |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라이얀 관중수: 44,833명 심판: 무스타파 고르발 (알제리) | |||
학포 ![]() |
리포트 | 발렌시아 ![]() | ||||
2022년 11월 29일 18:00 | ||||||
에콰도르 ![]() |
1 – 2 | ![]() |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라이얀 관중수: 44,569명 심판: 클레망 튀르팽 (프랑스) | |||
카이세도 ![]() |
리포트 | I. 사르 ![]() 쿨리발리 ![]() | ||||
2022년 11월 29일 18:00 | ||||||
네덜란드 ![]() |
2 – 0 | ![]() |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관중수: 66,784명 심판: 바카리 가사마 (Gambia) | |||
학포 ![]() 프렝키 더 용 ![]() |
리포트 | |||||
B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1 | ![]() |
3 | 2 | 1 | 0 | 9 | 2 | +7 | 7 | 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
2 | ![]() |
3 | 1 | 2 | 0 | 2 | 1 | +1 | 5 | |
3 | ![]() |
3 | 1 | 0 | 2 | 4 | 7 | −3 | 3 | |
4 | ![]() |
3 | 0 | 1 | 2 | 1 | 6 | −5 | 1 |
2022년 11월 21일 16:00 | ||||||
잉글랜드 ![]() |
6 – 2 | ![]() |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라이얀 관중수: 45,334명 심판: 하파에우 클라우스 (브라질) | |||
벨링엄 ![]() 사카 ![]() 스털링 ![]() 래시퍼드 ![]() 그릴리시 ![]() |
리포트 | 타레미 ![]() | ||||
2022년 11월 21일 22:00 | ||||||
미국 ![]() |
1 – 1 | ![]() |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수: 43,418명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 |||
웨아 ![]() |
리포트 | 베일 ![]() | ||||
2022년 11월 25일 13:00 | ||||||
웨일스 ![]() |
0 – 2 | ![]() |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수: 40,875명 심판: 마리오 에스코바르 (과테말라) | |||
리포트 | 체슈미 ![]() 레자에이안 ![]() | |||||
2022년 11월 25일 22:00 | ||||||
잉글랜드 ![]() |
0 – 0 | ![]() |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관중수: 68,463명 심판: 헤수스 발렌수엘라 (베네수엘라) | |||
리포트 | ||||||
2022년 11월 29일 22:00 | ||||||
웨일스 ![]() |
0 – 3 | ![]() |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수: 44,297명 심판: 슬라프코 빈치치 (슬로베니아) | |||
리포트 | 래시퍼드 ![]() 포든 ![]() | |||||
2022년 11월 29일 22:00 | ||||||
이란 ![]() |
0 – 1 | ![]() |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관중수: 42,127명 심판: 안토니오 마테우 라오스 (스페인) | |||
리포트 | 풀리식 ![]() | |||||
C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1 | ![]() |
3 | 2 | 0 | 1 | 5 | 2 | +3 | 6 | 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
2 | ![]() |
3 | 1 | 1 | 1 | 2 | 2 | 0 | 4 | |
3 | ![]() |
3 | 1 | 1 | 1 | 2 | 3 | −1 | 4 | |
4 | ![]() |
3 | 1 | 0 | 2 | 3 | 5 | −2 | 3 |
2022년 11월 22일 13:00 | ||||||
아르헨티나 ![]() |
1 – 2 | ![]() |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관중수: 88,012 심판: 슬라프코 빈치치 (슬로베니아) | |||
메시 ![]() |
리포트 | 알셰흐리 ![]() S. 알도사리 ![]() | ||||
2022년 11월 22일 19:00 | ||||||
멕시코 ![]() |
0 – 0 | ![]() |
스타디움 974, 도하 관중수: 39,369 심판: 크리스 비스 (오스트레일리아) | |||
리포트 | ||||||
2022년 11월 26일 16:00 | ||||||
폴란드 ![]() |
2 – 0 | ![]() |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수: 44,259 심판: 위우통 상파이우 (브라질) | |||
지엘린스키 ![]() 레반도프스키 ![]() |
리포트 | |||||
2022년 11월 26일 22:00 | ||||||
아르헨티나 ![]() |
2 – 0 | ![]() |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관중수: 88,966 심판: 다니엘레 오르사토 (이탈리아) | |||
메시 ![]() 페르난데스 ![]() |
리포트 | |||||
2022년 11월 30일 22:00 | ||||||
폴란드 ![]() |
0 – 2 | ![]() |
스타디움 974, 도하 관중수: 44,089 심판: 다니 마켈리 (네덜란드) | |||
리포트 | 마크 알리스테르 ![]() 알바레스 ![]() | |||||
2022년 11월 30일 22:00 | ||||||
사우디아라비아 ![]() |
1 – 2 | ![]() |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관중수: 84,985 심판: 마이클 올리버 (잉글랜드) | |||
S. 알도사리 ![]() |
리포트 | 마르틴 ![]() 차베스 ![]() | ||||
D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1 | ![]() |
3 | 2 | 0 | 1 | 6 | 3 | +3 | 6 | 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
2 | ![]() |
3 | 2 | 0 | 1 | 3 | 4 | −1 | 6 | |
3 | ![]() |
3 | 1 | 1 | 1 | 1 | 1 | 0 | 4 | |
4 | ![]() |
3 | 0 | 1 | 2 | 1 | 3 | −2 | 1 |
2022년 11월 22일 16:00 | ||||||
덴마크 ![]() |
0 – 0 | ![]() |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수: 42,925 심판: 세사르 아르투로 라모스 (멕시코) | |||
리포트 | ||||||
2022년 11월 22일 22:00 | ||||||
프랑스 ![]() |
4 – 1 | ![]() |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관중수: 40,875 심판: 빅터 고메스 (남아프리카 공화국) | |||
라비오 ![]() 지루 ![]() 음바페 ![]() |
리포트 | 굿윈 ![]() | ||||
2022년 11월 26일 13:00 | ||||||
튀니지 ![]() |
0 – 1 | ![]() |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관중수: 41,823 심판: 다니엘 지베르트 (독일) | |||
리포트 | 듀크 ![]() | |||||
2022년 11월 26일 19:00 | ||||||
프랑스 ![]() |
2 – 1 | ![]() |
스타디움 974, 도하 관중수: 42,860 심판: 시몬 마르치니아크 (폴란드) | |||
음바페 ![]() |
리포트 | A. 크리스텐센 ![]() | ||||
2022년 11월 30일 18:00 | ||||||
오스트레일리아 ![]() |
1 – 0 | ![]() |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관중수: 41,232 심판: 무스타파 고르발 (알제리) | |||
레키 ![]() |
리포트 | |||||
2022년 11월 30일 18:00 | ||||||
튀니지 ![]() |
1 – 0 | ![]() |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수: 43,627 심판: 매슈 콩거 (뉴질랜드) | |||
카즈리 ![]() |
리포트 | |||||
E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1 | ![]() |
3 | 2 | 0 | 1 | 4 | 3 | +1 | 6 | 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
2 | ![]() |
3 | 1 | 1 | 1 | 9 | 3 | +6 | 4 | |
3 | ![]() |
3 | 1 | 1 | 1 | 6 | 5 | +1 | 4 | |
4 | ![]() |
3 | 1 | 0 | 2 | 3 | 11 | −8 | 3 |
2022년 11월 23일 16:00 | ||||||
독일 ![]() |
1 – 2 | ![]() |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관중수: 42,608 심판: 이반 바르톤 (엘살바도르) | |||
귄도안 ![]() |
리포트 | 도안 ![]() 아사노 ![]() | ||||
2022년 11월 23일 19:00 | ||||||
스페인 ![]() |
7 – 0 | ![]() |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심판: 모하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 |||
올모 ![]() 아센시오 ![]() F. 토레스 ![]() 가비 ![]() 솔레르 ![]() 모라타 ![]() |
리포트 | |||||
2022년 11월 27일 13:00 | ||||||
일본 ![]() |
0 – 1 | ![]() |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 알라이얀 심판: 마이클 올리버 (잉글랜드) | |||
리포트 | 풀레르 ![]() | |||||
2022년 11월 27일 22:00 | ||||||
스페인 ![]() |
1 – 1 | ![]() |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관중수: 68,895 심판: 다니 마켈리 (네덜란드) | |||
모라타 ![]() |
리포트 | 퓔크루크 ![]() | ||||
2022년 12월 1일 22:00 | ||||||
일본 ![]() |
2 – 1 | ![]() |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관중수: 44,851 심판: 빅터 고메스 (남아프리카 공화국) | |||
도안 ![]() 다나카 ![]() |
리포트 | 모라타 ![]() | ||||
2022년 12월 1일 22:00 | ||||||
코스타리카 ![]() |
2 – 4 | ![]() |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관중수: 67,504 심판: 스테파니 프라파르 (프랑스)[20] | |||
테헤다 ![]() 바르가스 ![]() |
리포트 | 그나브리 ![]() 하베르츠 ![]() 퓔크루크 ![]() | ||||
F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1 | ![]() |
3 | 2 | 1 | 0 | 4 | 1 | +3 | 7 | 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
2 | ![]() |
3 | 1 | 2 | 0 | 4 | 1 | +3 | 5 | |
3 | ![]() |
3 | 1 | 1 | 1 | 1 | 2 | −1 | 4 | |
4 | ![]() |
3 | 0 | 0 | 3 | 2 | 7 | −5 | 0 |
2022년 11월 23일 13:00 | ||||||
모로코 ![]() |
0 – 0 | ![]() |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관중수: 59,407 심판: 페르난도 라팔리니 (아르헨티나) | |||
리포트 | ||||||
2022년 11월 23일 22:00 | ||||||
벨기에 ![]() |
1 – 0 | ![]() |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 알라이얀 관중수: 40,432 심판: 재니 시카즈위 (잠비아) | |||
바추아이 ![]() |
리포트 | |||||
2022년 11월 27일 16:00 | ||||||
벨기에 ![]() |
0 – 2 | ![]() |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관중수: 43,738 심판: 세사르 아르투로 라모스 (멕시코) | |||
리포트 | 사이스 ![]() 아부클랄 ![]() | |||||
2022년 11월 27일 19:00 | ||||||
크로아티아 ![]() |
4 – 1 | ![]() |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관중수: 44,374 심판: 안드레스 마톤테 (우루과이) | |||
크라마리치 ![]() 리바야 ![]() 마예르 ![]() |
리포트 | 데이비스 ![]() | ||||
2022년 12월 1일 18:00 | ||||||
크로아티아 ![]() |
0 – 0 | ![]() |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 알라이얀 관중수: 43,984 심판: 앤서니 테일러 (잉글랜드) | |||
리포트 | ||||||
2022년 12월 1일 18:00 | ||||||
캐나다 ![]() |
1 – 2 | ![]() |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관중수: 43,102 심판: 하파에우 클라우스 (브라질) | |||
아게르드 ![]() |
리포트 | 지예시 ![]() 엔네시리 ![]() | ||||
G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1 | ![]() |
3 | 2 | 0 | 1 | 3 | 1 | +2 | 6 | 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
2 | ![]() |
3 | 2 | 0 | 1 | 4 | 3 | +1 | 6 | |
3 | ![]() |
3 | 1 | 1 | 1 | 4 | 4 | 0 | 4 | |
4 | ![]() |
3 | 0 | 1 | 2 | 5 | 8 | −3 | 1 |
2022년 11월 24일 13:00 | ||||||
스위스 ![]() |
1 – 0 | ![]() |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관중수: 39,089 심판: 파쿤도 테요 (아르헨티나) | |||
엠볼로 ![]() |
리포트 | |||||
2022년 11월 24일 22:00 | ||||||
브라질 ![]() |
2 – 0 | ![]() |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관중수: 88,103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이란) | |||
히샤를리송 ![]() |
리포트 | |||||
2022년 11월 28일 13:00 | ||||||
카메룬 ![]() |
3 – 3 | ![]() |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관중수: 39,789 심판: 모하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 |||
카스텔레토 ![]() 아부바카르 ![]() 슈포모팅 ![]() |
리포트 | 파블로비치 ![]() S. 밀린코비치사비치 ![]() A. 미트로비치 ![]() | ||||
2022년 11월 28일 19:00 | ||||||
브라질 ![]() |
1 – 0 | ![]() |
스타디움 974, 도하 관중수: 43,649 심판: 이반 바르톤 (엘살바도르) | |||
카제미루 ![]() |
리포트 | |||||
2022년 12월 2일 22:00 | ||||||
세르비아 ![]() |
2 – 3 | ![]() |
스타디움 974, 도하 관중수: 41,378 심판: 페르난도 라팔리니 (아르헨티나) | |||
A. 미트로비치 ![]() 블라호비치 ![]() |
리포트 | 샤키리 ![]() 엠볼로 ![]() 프로일러 ![]() | ||||
2022년 12월 2일 22:00 | ||||||
카메룬 ![]() |
1 – 0 | ![]() |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심판: 이스마일 엘패쓰 (미국) | |||
아부바카르 ![]() |
리포트 | |||||
H조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1 | ![]() |
3 | 2 | 0 | 1 | 6 | 4 | +2 | 6 | 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
2 | ![]() |
3 | 1 | 1 | 1 | 4 | 4 | 0 | 4 | |
3 | ![]() |
3 | 1 | 1 | 1 | 2 | 2 | 0 | 4 | |
4 | ![]() |
3 | 1 | 0 | 2 | 5 | 7 | −2 | 3 |
2022년 11월 24일 16:00 | ||||||
우루과이 ![]() |
0 – 0 | ![]() |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수: 41,663 심판: 클레망 튀르팽 (프랑스) | |||
리포트 | ||||||
2022년 11월 24일 19:00 | ||||||
포르투갈 ![]() |
3 – 2 | ![]() |
스타디움 974, 도하 심판: 이스마일 엘패스 (미국) | |||
호날두 ![]() 펠리스 ![]() 레앙 ![]() |
리포트 | A. 아유 ![]() 부카리 ![]() | ||||
2022년 11월 28일 16:00 | ||||||
대한민국 ![]() |
2 – 3 | ![]() |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수: 43,983 심판: 앤서니 테일러 (잉글랜드) | |||
조규성 ![]() |
리포트 | 살리수 ![]() 쿠두스 ![]() | ||||
2022년 11월 28일 22:00 | ||||||
포르투갈 ![]() |
2 – 0 | ![]() |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관중수: 88,668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이란) | |||
페르난드스 ![]() |
리포트 | |||||
2022년 12월 2일 18:00 | ||||||
가나 ![]() |
0 – 2 | ![]() |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관중수: 43,443 심판: 다니엘 지베르트 (독일) | |||
리포트 | 데 아라스카에타 ![]() | |||||
2022년 12월 2일 18:00 | ||||||
대한민국 ![]() |
2 – 1 | ![]() |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수: 44,097 심판: 파쿤도 테요 (아르헨티나) | |||
김영권 ![]() 황희찬 ![]() |
리포트 | 오르타 ![]() | ||||
결선 토너먼트편집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AST/UTC+3)을 따름.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12월 3일 - 알라이얀 (칼리파) | ||||||||||||||
![]() | 3 | |||||||||||||
12월 9일 - 루사일 | ||||||||||||||
![]() | 1 | |||||||||||||
![]() | 2 (3) | |||||||||||||
12월 3일 - 알라이얀 (아흐메드 빈 알리) | ||||||||||||||
![]() | 2 (4) | |||||||||||||
![]() | 2 | |||||||||||||
12월 13일 - 루사일 | ||||||||||||||
![]() | 1 | |||||||||||||
![]() | 3 | |||||||||||||
12월 5일 - 알와크라 | ||||||||||||||
![]() | 0 | |||||||||||||
![]() | 1 (1) | |||||||||||||
12월 9일 - 알라이얀 (에듀케이션 시티) | ||||||||||||||
![]() | 1 (3) | |||||||||||||
![]() | 1 (4) | |||||||||||||
12월 5일 - 도하 (974) | ||||||||||||||
![]() | 1 (2) | |||||||||||||
![]() | 4 | |||||||||||||
12월 18일 - 루사일 | ||||||||||||||
![]() | 1 | |||||||||||||
![]() | 3 (4) | |||||||||||||
12월 4일 - 알코르 | ||||||||||||||
![]() | 3 (2) | |||||||||||||
![]() | 3 | |||||||||||||
12월 10일 - 알코르 | ||||||||||||||
![]() | 0 | |||||||||||||
![]() | 1 | |||||||||||||
12월 4일 - 도하 (알투마마) | ||||||||||||||
![]() | 2 | |||||||||||||
![]() | 3 | |||||||||||||
12월 14일 - 알코르 | ||||||||||||||
![]() | 1 | |||||||||||||
![]() | 2 | |||||||||||||
12월 6일 - 알라이얀 (에듀케이션 시티) | ||||||||||||||
![]() | 0 | 3위 결정전 | ||||||||||||
![]() | 0 (3) | |||||||||||||
12월 10일 - 도하 (알투마마) | 12월 17일 - 알라이얀 (칼리파) | |||||||||||||
![]() | 0 (0) | |||||||||||||
![]() | 1 | ![]() | 2 | |||||||||||
12월 6일 - 루사일 | ||||||||||||||
![]() | 0 | ![]() | 1 | |||||||||||
![]() | 6 | |||||||||||||
![]() | 1 | |||||||||||||
16강전편집
2022년 12월 3일 18:00 | ||||||
네덜란드 ![]() |
3 – 1 | ![]() |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라이얀 관중수: 44,846 심판: 위우통 상파이우 (브라질) | |||
데파이 ![]() 블린트 ![]() 뒴프리스 ![]() |
리포트 | 라이트 ![]() | ||||
2022년 12월 3일 22:00 | ||||||
아르헨티나 ![]() |
2 – 1 | ![]() |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수: 45,032 심판: 시몬 마르치니아크 (폴란드) | |||
메시 ![]() 알바레스 ![]() |
리포트 | 페르난데스 ![]() | ||||
2022년 12월 4일 18:00 | ||||||
프랑스 ![]() |
3 – 1 | ![]() |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관중수: 40,989 심판: 헤수스 발렌수엘라 (베네수엘라) | |||
지루 ![]() 음바페 ![]() |
리포트 | 레반도프스키 ![]() | ||||
2022년 12월 4일 22:00 | ||||||
잉글랜드 ![]() |
3 – 0 | ![]() |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심판: 이반 바르톤 (엘살바도르) | |||
헨더슨 ![]() 케인 ![]() 사카 ![]() |
리포트 | |||||
2022년 12월 5일 18:00 | ||||||
일본 ![]() |
1 – 1 (연장전) |
![]() |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관중수: 42,523 심판: 이스마일 엘패쓰 (미국) | |||
마에다 ![]() |
리포트 | 페리시치 ![]() | ||||
승부차기 | ||||||
선축 미나미노 ![]() 미토마 ![]() 아사노 ![]() 요시다 ![]() |
1 – 3 | 후축![]() ![]() ![]() ![]() |
||||
2022년 12월 5일 22:00 | ||||||
브라질 ![]() |
4 – 1 | ![]() |
스타디움 974, 도하 관중수: 43,847 심판: 클레망 튀르팽 (프랑스) | |||
비니시우스 ![]() 네이마르 ![]() 히샤를리송 ![]() 파케타 ![]() |
리포트 | 백승호 ![]() | ||||
2022년 12월 6일 18:00 | ||||||
모로코 ![]() |
0 – 0 (연장전) |
![]() |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수: 44,667 심판: 페르난도 라팔리니 (아르헨티나) | |||
리포트 | ||||||
승부차기 | ||||||
선축 사비리 ![]() 지예시 ![]() 베눈 ![]() 하키미 ![]() |
3 – 0 | 후축![]() ![]() ![]() |
||||
2022년 12월 6일 22:00 | ||||||
포르투갈 ![]() |
6 – 1 | ![]() |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관중수: 83,720 심판: 세사르 아르투로 라모스 (멕시코) | |||
하무스 ![]() 페페 ![]() 게히우루 ![]() 레앙 ![]() |
리포트 | 아칸지 ![]() | ||||
8강전편집
2022년 12월 9일 18:00 | ||||||
크로아티아 ![]() |
1 – 1 (연장전) |
![]() |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수: 43,893 심판: 마이클 올리버 (잉글랜드) | |||
페트코비치 ![]() |
리포트 | 네이마르 ![]() | ||||
승부차기 | ||||||
선축 블라시치 ![]() 마예르 ![]() 모드리치 ![]() 오르시치 ![]() |
4 – 2 | 후축![]() ![]() ![]() ![]() |
||||
2022년 12월 9일 22:00 | ||||||
네덜란드 ![]() |
2 – 2 (연장전) |
![]() |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관중수: 88,966 심판: 안토니오 마테우 라오스 (네덜란드) | |||
베호르스트 ![]() |
리포트 | 몰리나 ![]() 메시 ![]() | ||||
승부차기 | ||||||
선축 판 데이크 ![]() 베르하위스 ![]() 코프메이너르스 ![]() 베호르스트 ![]() L. 더 용 ![]() |
3 – 4 | 후축![]() ![]() ![]() ![]() ![]() |
||||
2022년 12월 10일 18:00 | ||||||
모로코 ![]() |
1 – 0 | ![]() |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관중수: 44,198 심판: 파쿤도 테요 (아르헨티나) | |||
엔네시리 ![]() |
리포트 | |||||
2022년 12월 10일 22:00 | ||||||
잉글랜드 ![]() |
1 – 2 | ![]() |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관중수: 68,895 심판: 위우통 상파이우 (브라질) | |||
케인 ![]() |
리포트 | 추아메니 ![]() 지루 ![]() | ||||
준결승전편집
2022년 12월 13일 22:00 | ||||||
아르헨티나 ![]() |
3 – 0 | ![]() |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관중수: 88,966 심판: 다니엘레 오르사토 (이탈리아) | |||
메시 ![]() 알바레스 ![]() |
리포트 | |||||
2022년 12월 14일 22:00 | ||||||
프랑스 ![]() |
2 – 0 | ![]() |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관중수: 68,294 심판: 세사르 아르투로 라모스 (멕시코) | |||
T. 에르난데스 ![]() 콜로 무아니 ![]() |
리포트 | |||||
3위 결정전편집
2022년 12월 17일 18:00 | ||||||
크로아티아 ![]() |
2 – 1 | ![]() |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라이얀 관중수: 44,137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 |||
그바르디올 ![]() 오르시치 ![]() |
리포트 | 다리 ![]() | ||||
결승전편집
2022년 12월 18일 18:00 | ||||||
아르헨티나 ![]() |
3 – 3 (연장전) |
![]() |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관중수: 88,966 심판: 시몬 마르치니아크 (폴란드) | |||
메시 ![]() 디 마리아 ![]() |
리포트 | 음바페 ![]() | ||||
승부차기 | ||||||
후축 메시 ![]() 디발라 ![]() 파레데스 ![]() 몬티엘 ![]() |
4 – 2 | 선축![]() ![]() ![]() ![]() |
||||
우승국편집
FIFA 월드컵 우승 |
---|
![]() 아르헨티나 |
![]() ![]() ![]() |
1978년・1986년・2022년 |
수상편집
골든 볼 | 실버 볼 | 브론즈 볼 |
---|---|---|
![]() |
![]() |
![]() |
골든 부츠 | 실버 부츠 | 브론즈 부츠 |
![]() |
![]() |
![]() |
8골 2도움 597분 출전 |
7골 3도움 690분 출전 |
4골 0도움 423분 출전 |
아디다스 골든 글러브 | ||
![]() | ||
최우수 신인 선수상 | ||
![]() | ||
FIFA 페어 플레이 트로피 | ||
![]() |
통계편집
득점자편집
- 8골
- 7골
- 4골
- 3골
- 2골
|
|
|
|
|
- 1골
- 1 자책골
도움 기록편집
- 3도움
- 2도움
|
|
|
|
|
- 1도움
경기 수상편집
맨 오브 더 매치(경기별 MVP)편집
무실점편집
상금편집
- $8M - 조별 리그 탈락국 (16개국)
- $12M - 16강 탈락국 (8개국)
- $16M - 8강 탈락국 (4개국)
- $22M - 4위
- $24M - 3위
- $28M - 준우승국
- $38M - 우승국
월드컵 복수 대회 참가 기록편집
월드컵 5개 대회 득점편집
선수 | ![]() |
![]() |
![]() |
![]() |
![]() |
총 득점 | |||||
---|---|---|---|---|---|---|---|---|---|---|---|
득점 | 상대 | 득점 | 상대 | 득점 | 상대 | 득점 | 상대 | 득점 | 상대 | ||
![]() |
1 | IRN | 1 | PRK | 1 | GHA | 4 | ESP (3), MAR | 1 | GHA | 8 |
월드컵 4개 대회 득점편집
선수 | ![]() |
![]() |
![]() |
![]() |
총 득점 | ||||
---|---|---|---|---|---|---|---|---|---|
득점 | 상대 | 득점 | 상대 | 득점 | 상대 | 득점 | 상대 | ||
![]() |
1 | SCG | 4 | BIH, IRN, NGA (2) | 1 | NGA | 7 | KSA, MEX, AUS, NED, CRO, FRA (2) | 13 |
월드컵 3개 대회 득점편집
선수 | ![]() |
![]() |
![]() |
총 득점 | |||
---|---|---|---|---|---|---|---|
득점 | 상대 | 득점 | 상대 | 득점 | 상대 | ||
![]() |
4 | CRO (2), CMR (2) | 2 | CRC, MEX | 2 | KOR, CRO | 8 |
![]() |
2 | CMR, MEX | 3 | ISL, ENG, FRA | 1 | JPN | 6 |
![]() |
3 | HON (3) | 1 | SRB | 1 | SRB | 5 |
월드컵 5개 대회 참가편집
선수 | ![]() |
![]() |
![]() |
![]() |
![]() |
합계 | |||||
---|---|---|---|---|---|---|---|---|---|---|---|
출전 | 상대 | 출전 | 상대 | 출전 | 상대 | 출전 | 상대 | 출전 | 상대 | ||
![]() |
3 | SCG, NED, MEX | 5 | NGA, KOR, GRE, MEX, GER | 7 | BIH, IRN, NGA, SUI, BEL, NED, GER | 4 | ISL, CRO, NGA, FRA | 7 | KSA, MEX, POL, AUS, NED, CRO, FRA | 26 |
![]() |
1 | ARG | 3 | RSA, URU, ARG | 4 | CMR, BRA, CRO, NED | 4 | GER, KOR, SWE, BRA | 1 | ARG | 13 |
![]() |
6 | ANG, IRN, NED, ENG, FRA, GER | 4 | CIV, PRK, BRA, ESP | 3 | GER, USA, GHA | 4 | ESP, MAR, IRN, URU | 5 | GHA, URU, KOR, SUI, MAR | 22 |
최종 순위편집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참고: 축구의 통계적인 법칙에 따라 연장전에서 승부가 난 경기는 똑같이 승패로 간주되지만, 승부차기를 통해 승부가 난 경기는 무승부로 간주된다.[85]
순 | 팀 | 조 | 전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점 |
---|---|---|---|---|---|---|---|---|---|---|
1 | ![]() |
C | 7 | 4 | 2 | 1 | 15 | 8 | +7 | 14 |
2 | ![]() |
H | 7 | 5 | 1 | 1 | 18 | 8 | +10 | 16 |
3 | ![]() |
F | 7 | 2 | 4 | 1 | 8 | 7 | +1 | 10 |
4 | ![]() |
B | 7 | 4 | 1 | 2 | 15 | 7 | +8 | 13 |
8강전에서 탈락 | ||||||||||
5 | ![]() |
A | 5 | 3 | 2 | 0 | 10 | 4 | +6 | 11 |
6 | ![]() |
G | 5 | 3 | 1 | 1 | 8 | 3 | +5 | 10 |
7 | ![]() |
D | 5 | 3 | 0 | 2 | 10 | 6 | +4 | 9 |
8 | ![]() |
F | 5 | 2 | 2 | 1 | 4 | 2 | +2 | 8 |
16강전에서 탈락 | ||||||||||
9 | ![]() |
E | 4 | 2 | 1 | 1 | 5 | 4 | +1 | 7 |
10 | ![]() |
A | 4 | 2 | 0 | 2 | 5 | 7 | -2 | 6 |
11 | ![]() |
D | 4 | 2 | 0 | 2 | 4 | 6 | -2 | 6 |
12 | ![]() |
G | 4 | 2 | 0 | 2 | 5 | 9 | -4 | 6 |
13 | ![]() |
E | 4 | 1 | 2 | 1 | 9 | 3 | +6 | 5 |
14 | ![]() |
B | 4 | 1 | 2 | 1 | 3 | 4 | -2 | 5 |
15 | ![]() |
C | 4 | 1 | 1 | 2 | 3 | 5 | -2 | 4 |
16 | ![]() |
H | 4 | 1 | 1 | 2 | 5 | 8 | -3 | 4 |
조별 리그에서 탈락 | ||||||||||
17 | ![]() |
E | 3 | 1 | 1 | 1 | 6 | 5 | +1 | 4 |
18 | ![]() |
A | 3 | 1 | 1 | 1 | 4 | 3 | +1 | 4 |
19 | ![]() |
G | 3 | 1 | 1 | 1 | 4 | 4 | 0 | 4 |
20 | ![]() |
H | 3 | 1 | 1 | 1 | 2 | 2 | 0 | 4 |
21 | ![]() |
D | 3 | 1 | 1 | 1 | 1 | 1 | 0 | 4 |
22 | ![]() |
C | 3 | 1 | 1 | 1 | 2 | 3 | -1 | 4 |
23 | ![]() |
F | 3 | 1 | 1 | 1 | 1 | 2 | -1 | 4 |
24 | ![]() |
H | 3 | 1 | 0 | 2 | 5 | 7 | -2 | 3 |
25 | ![]() |
C | 3 | 1 | 0 | 2 | 3 | 5 | -2 | 3 |
26 | ![]() |
B | 3 | 1 | 0 | 2 | 4 | 7 | -3 | 3 |
27 | ![]() |
E | 3 | 1 | 0 | 2 | 3 | 11 | -8 | 3 |
28 | ![]() |
D | 3 | 0 | 1 | 2 | 1 | 3 | -2 | 1 |
29 | ![]() |
G | 3 | 0 | 1 | 2 | 5 | 8 | -3 | 1 |
30 | ![]() |
B | 3 | 0 | 1 | 2 | 1 | 6 | -5 | 1 |
31 | ![]() |
F | 3 | 0 | 0 | 3 | 2 | 7 | -5 | 0 |
32 | ![]() |
A | 3 | 0 | 0 | 3 | 1 | 7 | -6 | 0 |
중계권편집
- 북아프리카-중동 – BeIN스포츠 (중동-북아프리카 아랍 국가들)
알바니아 – RTSH[86]
아르메니아 – ARMTV[86]
오스트레일리아 – SBS[87]
오스트리아 – ÖRF[86]
아제르바이잔 – İTV[86]
벨라루스 – BTRC[86]
벨기에 – VRT (플란더런, 브뤼셀), RTBF (왈롱, 브뤼셀)[86]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BHRT[86]
브라질 – TV 글로부[88]
불가리아 – BNT[86]
캐나다 – 벨 미디어[89]
- 캐리비언 – International Media Content, SportsMax[90]
중국 – CCTV[91]
크로아티아 – HRT[86]
대한민국 – KBS, MBC 저작권 지불함→(SBS, 합동방송사)
키프로스 – CyBC[86]
체코 – ČT[86]
에스토니아 – ERR[86]
유럽 연합 – 유럽방송연맹 (37개국)[86]
프랑스-
모나코-
안도라 – TF1 (개막전을 포함한 조별리그 16경기, 프랑스 대표팀 경기, 16강전 5경기, 8강전 3경기, 준결승전 2경기, 3위 결정전, 결승전), BeIN스포츠 (전 경기)
독일 – ARD, ZDF[92]
조지아 – GPB[86]
헝가리 – MTVA[86]
아이슬란드 – RÚV[86]
아일랜드 – RTÉ[86]
이스라엘 – IPBC[86]
라트비아 – LTV[86]
리투아니아 – LRT[86]
북마케도니아 – MRT[86]
몰타 – PBS[86]
멕시코 – 텔레비사, TV 아즈테카
몰도바 – TRM[86]
몬테네그로 – RTCG[86]
네덜란드 – NOS[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