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향사과

(4향4과에서 넘어옴)

4향4과(四向四果, 영어: four stages of enlightenment· 사문4과(沙門四果) 또는 성문4과(聲聞四果)는 원시불교부파불교의 수행 계위이다. 줄여서 4과(四果)라고도 한다. 4쌍8배(四雙八輩)라고도 한다.[1][2][3][4][5][6][7]

고타마 붓다의 제자들은 그의 가르침을 듣고 수행함으로써 아라한이라는 이상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아라한의 경지에 도달하는데는 4향4과라고 불리는 8종의 위계(位階)가 있다고 했다. 즉 아래서부터 말하면 예류(豫流) · 일래(一來) · 불환(不還) · 아라한(阿羅漢)의 4위가 있어서, 아래와 같이 과(果)를 향해 수행(修行)해 가는 단계(向)와 그에 의해 도달한 경지(果)로 나누어서 설명한 것이 4향4과이다.[1]

  1. 예류향(豫流向): 예류과를 향해 수행해 가는 단계
  2. 예류과(豫流果): 예류에 도달한 상태
  3. 일래향(一來向): 일래과를 향해 수행해 가는 단계
  4. 일래과(一來果): 일래에 도달한 상태
  5. 불환향(不還向): 불환과를 향해 수행해 가는 단계
  6. 불환과(不還果): 불환에 도달한 상태
  7. 아라한향(阿羅漢向): 아라한과를 향해 수행해 가는 단계
  8. 아라한과(阿羅漢果): 아라한에 도달한 상태

예류예류과수다원(須陀洹)이라고 음역(音譯)되는데 깨달음의 길을 하천의 흐름에 비유하여 그 흐름에 참여한 것, 즉 불도 수행에 대한 확신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

일래일래과사다함(斯陀含)이라고 음역되는데 수행의 도상에 있어서 한 번 더 욕계로 태어나는 것을 의미한다.[1]

불환불환과아나함(阿那含)이라고 음역되는데 더 이상 욕계로 태어나지 않아도 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즉 욕계윤회하여 더 배워야 할 필요가 없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불환이라고 한다.[8][9][10]

아라한향(阿羅漢向)은 아라한과(阿羅漢果)에 이르기까지의 위계(位階)이다. 아라한아라한과에 이르면 무학위(無學位)로서 더 이상 배울 것이 없고, 번뇌는 다하였으며, 해야 할 바를 다하였고, 윤회에서 해탈해서 열반에 들어간다고 생각되었다.[1] 무학위를 간단히 무학(無學)이라고도 한다. 아라한과 이전의 단계를 통칭하여 유학위(有學位: 배울 것이 있는 계위) 또는 유학(有學)이라고 한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부파불교의 사상 > 4향4과,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4향4과: 四向四果 불제자들은 불타의 가르침을 듣고 수행함으로써 아라한이라는 이상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그 아라한의 경지에 도달함에는 4향4과라고 불리는 8종의 위계(位階)가 있다고 했다. 즉 아래서부터 말하면 '예류(豫流)'·'일래(一來)'·'불환(不還)'·'아라한'의 4위가 있어서 그것이 과(果)를 향해 수행(修行)해 가는 단계(向)와 그에 의해 도달한 경지(果)로 나누어서 설명한 것이 4향4과이다. 예류는 수타원(須陀洹)이라고 음역(音譯)되는데 깨달음에의 도를 하천의 흐름에 비유하여 그 흐름에 참여한 것, 즉 불도수행에 대한 확신이 생긴 상태를 말하는 것이며, 일래는 사타함(斯陀含)이라고 음역되는데 수행의 도상에 있어서 한 번 뒤로 물러가는 것으로서 유회의 세계에로 물러가는 것을 의미한다. 불환은 아나함(阿那含)이라고 음역되는데 더 이상 윤회의 세계로 물러가는 일이 없다는 데에서 불환이라고 하며, 아라한향(阿羅漢向)은 아라한과(阿羅漢果)에 이르기까지의 위계(位階)로서 아라한과에 이르면 무학위(無學位)로서 더 이상 배울 것이 없고 번뇌는 다하였으며, 해야 할 바를 다하였고 윤회에서 해탈해서 열반에 들어간다고 생각되었다."
  2. 운허, "聲聞四果(성문사과)".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聲聞四果(성문사과): 성문들이 깨닫는 4계급(階級). (1) 수다원과(須陀洹果). 처음 성인의 축에 들어간 지위. (2) 사다함과(斯陀含果). 욕계 9지(地)의 사혹(思惑) 9품 중에서 앞의 6품을 끊고, 아직 3품이 남았으므로 인간과 천상에 한번 왕래하면서 생(生)을 받아야 하는 지위. (3) 아라함과(阿那含果). 사다함과에서 남은 3품 혹(惑)을 마저 끊고, 욕계에 다시 나지 않는 지위. (4) 아라한과(阿羅漢果). 3계의 견혹(見惑)ㆍ사혹을 끊고, 공부가 완성되어 존경과 공양을 받을 수 있는 성인 지위."
  3. 곽철환 2003, "사향사과(四向四果)". 2013년 4월 24일에 확인
    "사향사과(四向四果): 성문(聲聞)들이 수다원(須陀洹)·사다함(斯陀含)·아나함(阿那含)·아라한(阿羅漢)의 성자가 되기 위해 수행하는 단계인 수다원향·사다함향·아나함향·아라한향의 사향(四向)과, 거기에 도달한 경지인 수다원과·사다함과·아나함과·아라한과의 사과(四果)를 말함.
    동의어: 사향(四向)"
  4. 星雲, "四雙八輩". 2013년 4월 24일에 확인
    "四雙八輩:  即四向四果。聲聞依其修行之淺深而分四階之果位及其向道。即預流向、預流果、一來向、一來果、不還向、不還果、阿羅漢向、阿羅漢果等四對八種。向與果合則為四雙,分則為八輩。〔增一阿含經卷二、大集經卷十五虛空藏品、大智度論卷二十二、十住毘婆沙論卷一〕(參閱「四向四果」1683) p1849"
  5. 佛門網, "四果──聲聞四果".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四果──聲聞四果: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四果──聲聞四果===﹝出金剛經疏﹞
    〔一、須陀洹果〕,梵語須陀洹,華言入流,又名預流,即初果也。謂此人斷三界見惑盡,預入聖道法流,故名入流。(三界者,欲界、色界、無色界也。)
    〔二、斯陀含果〕,梵語斯陀含,華言一來,即第二果也。謂此人於欲界九品思惑中斷前六品盡,後三品猶在,須更來欲界一番受生,故名一來。(思惑者,謂眼等五根對色等五塵,心起貪愛,迷惑不了也。九品者,於上中下三品中,又各分三品也。)
    〔三、阿那含果〕,梵語阿那含,華言不來,即第三果也。謂此人斷欲界後三品思惑盡,更不來欲界受生,故名不來。
    〔四、阿羅漢果〕,梵語阿羅漢,華言無學,即第四果也。謂此人斷色界、無色界思惑盡,四智已圓,已出三界,已證涅槃,無法可學,故名無學。(四智者,我生已盡,梵行已立,所作已辦,不受後有也。梵語涅槃,華言滅度。)
    頁數: 出金剛經疏"
  6. 佛門網, "四果──大乘四果".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四果──大乘四果: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四果──大乘四果===﹝出大乘莊嚴經論﹞
    大乘者,謂通教中菩薩,於當教中,對聲聞、緣覺小乘,故得稱為大乘也。四果者,本是聲聞所證果位;今菩薩歷於十地,修行證果,亦有淺深、始終不同,故借小乘四果之位以區別之,是名大乘四果。(十地者,歡喜地、離垢地、發光地、焰慧地、難勝地、現前地、遠行地、不動地、善慧地、法雲地也。)
    〔一、初地生如來家,是須陀洹果〕,梵語須陀洹,華言入流,又云預流。為菩薩入初乾慧地時,斷惑證理,即是證佛所證,故云生如來家。因借聲聞初果以區別之,故云是須陀洹果。
    〔二、八地得授記,是斯陀含果〕,梵語斯陀含,華言一來。謂菩薩於第八辟支佛地中,蒙佛授記而得作佛,因借聲聞第二果以區別之,故云是斯陀含果。(辟支,梵語具云辟支迦羅,華言緣覺。)
    〔三、十地得受職,是阿那含果〕,梵語阿那含,華言不來。謂菩薩於第十佛地中,而得受如來職,猶如別、圓二教等覺之位,因借聲聞第三果以區別之,故云是阿那含果。
    〔四、佛地,是阿羅漢果〕,梵語阿羅漢,華言無學,又云無生。佛地即通教中果佛也。菩薩已斷見、思,習氣俱盡,而得成佛,因借聲聞第四果以區別之,故云是阿羅漢果。
    頁數: 出大乘莊嚴經論"
  7. 佛門網, "四果".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四果:
    出處: 漢英-英漢-英英佛學辭典字庫
    解釋:
    Four Phala 四果 【參照: Four Fruition】
    出處: 漢英-英漢-英英佛學辭典字庫
    解釋:
    Four Fruition 四果 also known as Four Phala. These are four grades of arhatship, namely 1.Śrota-āpanna: has entered the stream of holy living; the first stage of the arhat, that of a Śrāvaka 2.Sakṛdāgāmin: comes to be born once more; the second grade of arhatship involving only one birth 3.Anāgāmin: will not be reborn in this world (i.e. Six Paths), but in the Form Realm or Formless Realm, where he will attain to Nirvāṇa 4.Arhan: enters Nirvāṇa. All Karma of reincarnation is destroyed. He also reaches a state of no longer learning. He is the highest Saint in Hīnayāna in contrast with the Bodhisattva as the Saint in Mahāyāna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four phala, i. e. fruitions, or rewards — srota-āpanna-phala, sakrdāgāmi-phala, anāgāmiphala, arhat-phala, i. e. four grades of saintship; see 須陀洹; 斯陀含, 阿那含, and 阿離漢. The four titles are also applied to four grades of śramanas— yellow and blue flower śramanas, lotus śramanas, meek śramanas, and ultra-meek śramanas.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1.指聲聞乘的四種果位,即須陀洹果、斯陀含果、阿那含果、阿羅漢果。初果須陀洹,華譯為入流,意即初入聖人之流;二果斯陀含,華譯為一來,意即修到此果位者,死後生到天上去做一世天人,再生到我們此世界一次,便不再來欲界受生死了;三果阿那含,華譯為無還,意即修到此果位者,不再生於欲界;四果阿羅漢,華譯為無生,意即修到此果位者,解脫生死,不受後有,為聲聞乘的最高果位。
    2.指阿羅漢。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名數)聲聞乘聖果之差別也,舊譯家以梵名,謂為須陀洹果Srotapanna phala,巴Sotapanna phala,斯陀含果 Sakrdagami,阿那含果Angami-,阿羅漢果Arahat-,新譯家以前三果翻名為預流果,一來果。不還果,阿羅漢果仍其舊。一須陀洹果,舊作入流,逆流。入流預流,同一之義。謂去凡夫初入聖道之法流也,逆流者,謂入聖位逆生死之暴流也。申言之,即三界見惑斷盡之位也。二斯陀含果,譯云一來。斷欲界九地思惑(新曰修惑)中前六品,尚餘後三品者也。為其後三品之思惑,尚當於欲界之人間與天界(六欲天),受生一度,故曰一來,一來者一度往來之義也。三阿那含果,舊譯不來,新云不還,斷盡欲惑後三品之殘餘,不再還來欲界之位也。爾後受生則必為色界無色界。四阿羅漢果,譯作殺賊,應供,不生。上至非想處一切思惑斷盡之聲聞乘極果也。以其斷盡一切見思二惑,故謂之殺賊,既得極果應受人天之供養,故曰應供,一世之果報盡,故永入涅槃,不再來生三界,故謂之不生。【又】一黃藍花沙門,須陀洹之聖者也。二芬陀利花沙門,斯阿含果之聖者也。三柔軟沙門,阿那含之聖者也。四柔軟中柔軟沙門,阿羅漢果也。見增一阿含二十。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俱舍論六卷二十二頁云:復有餘師,前五果外,別說四果。一、安立果,謂如水輪為風輪果,乃至草等為大地果。二、加行果,謂如無生智等遠為不淨等果。三、和合果,謂如眼識等為眼根等果。四、修習果,謂如化心等為諸靜慮果。如是四果,皆是士用增上果攝。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catvāri phalāni, caturvidhaṃ phalam.
    頁數: p.623"
  8. 권오민 2003, 260쪽
    "일래과의 성자가 더욱 증진하여 욕계 수소단의 번뇌 중 제9 하하품이 끊어져 더 이상 욕계로 되돌아오지 않는 이를 불환과(또는 阿那含, anagamin)의 성자라고 한다. 또한 이미 견도에서 유신견·계금취·의疑를 끊었고, 지금 이 단계에 이르러 욕탐과 진애가 모두 끊어졌기 때문에 욕계를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5순하분결이 끊어진 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제7 하상품과 제8 하중품의 번뇌를 끊은 이를 불환향이라고 하는데, 이제 여기서는 반열반과 일생의 간격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일간一間'이라고도 한다.
    그런데 불환의 성자는 현생을 마친후 바로 반열반에 들거나 색계나 무색계에 태어나 반열반에 드는 등 열반에 드는 처소와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고 있다. 이러한 분류는 유부 아비달마의 독자적인 구상이 아니라 경설에 따른 그들의 정리 해석으로, 이론체계도 매우 복잡하고 이설도 많지만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9. 佛門網, "不還". 2013년 5월 13일에 확인
    "不還: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即不還向。又云不還果。
    出處: A Digital Edition of A Glossary of Dharmarakṣa translation of the Lotus Sutra by Seishi Karashima, 1998
    解釋:
    不還(bù huān)  “one, who returns no more to this world”(the third of the four stages of sainthood)
    {not found at 《漢語大詞典》1.470.} ; {not found at 《大漢和辞典》1.242.} ;
    Dharmarakṣa: {118a27} 黎庶一時倶履道迹,往來、不還、無著,得證(p)
      {K.347.10} anāgāmin~
      Kumārajīva: {L.46c18} 阿那含"
  10. 佛門網, "不還果". 2013년 5월 13일에 확인
    "不還果: bùhuánguŏ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梵語 anāgāmin。音譯作阿那含。指聲聞第三果之聖者。彼等已斷滅欲界九品之修惑,而不再還至欲界受生,故稱不還。又分為七種不還、九種不還、七善士趣等。〔大智度論卷二十二、俱舍論卷二十四〕(參閱「四向四果」1683)
    頁數: p997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fruits, fruition, or rewards of the last. Various stages in the final life of parinirvāna are named, i. e. five, six, seven, eight, nine, or eleven kinds.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聲聞乘四果之一。見四果條。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聲聞乘四果之一。梵名阿那含Ana%ga%min,斷盡欲界九品之修惑,不再還生於欲界之聖者之位也。此不還果之聖者,有五種七種九種之差別。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顯揚三卷十一頁云:六、不還果。或先離欲,正性離生,然後證得。或一來果,盡斷欲界餘煩惱故得。
    二解 如四沙門果中說。
    三解 品類足論七卷四頁云:不還果云何?此有二種。一、有為,二、無為。有為不還果云何?謂證不還果所有學法,已正當得。無為不還果云何?謂證不還果所有結斷,已正當得。是名不還果。
    四解 法蘊足論二卷十四頁云:不還果者:謂現法中,於五順下分結,已永斷遍知。謂有身見、戒禁取、疑、貪慾、瞋恚。彼住此斷中,未能進求阿羅漢果證;名不還果。又云:云何不還果?謂不還果、略有二種。一者、有為。二者、無為。所言有為不還果者:謂彼果得及彼得得。有學根力,有學尸羅,有學善根,八有學法及彼種類諸有學法,是名有為不還果。所言無為不還果者:謂於此中五順下分結永斷,及彼種類結法永斷。即是九十二諸隨眠永斷及彼種類結法永斷。是名無為不還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