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시 내고향

평일 저녁 6시에 방송중인 KBS 1TV 시사교양 프로그램

6시 내고향》은 한국방송공사KBS 1TV에서 평일 저녁 6시 ~ 7시에 방영하는 네트워크 연결 및 고향을 전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6시 내고향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1TV
방송 기간 1991년 5월 20일 ~ 현재
방송 시간 평일 저녁 6시 ~ 7시
방송 분량 1시간[1]
방송 횟수 7932회(2023년 12월 12일 기준)[2]
총감독 김창길
프로듀서 오은일
감독
  • 김송이
  • 박재록
제작 KBS 시사교양본부
각본
  • 남수진
  • 박정은
  • 이시회
  • 문효정
  • 김성주
진행자 윤인구, 가애란
해설 김기현, 김영옥, 홍소연
음성 2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HD 방송 여부 HDTV 방송
관련 프로그램 내고향 스페셜 (해당 회차의 코너를 선정한 프로그램)
외부 링크  공식 웹사이트

비고:
폐쇄 자막 방송
KBS 위성2TV,1TV 재송신 편성
지역 자체 네트워크 연결(본문 참조)
현재 진행자 2명 중 1명의 최장기간 넘게 변경하지 않고 있는 것외에 진행중인 1980년대가 아닌 1970년대 중 1972년생의 남자 아나운서가 첫 진행시 이름을 부르지 못했음[3](1980년대 새 남자 최초로 아나운서 MC 변경 미확정)
현재 OP멘트시 여자 재mc가 먼저 안녕하세요 및 안녕하십니까를 멘트를 하지 않고 있거나 및 남자mc 중 안녕하세요의 멘트를 하지 않고 있음
이 중에서 임시 남자mc가 야외 현지 생중계로 했으나, 이후 정규편성에서 단독으로 스튜디오에서만 진행을 하지 않고 있음
현재 2명 중 1명의 여자mc 새 mc가 아닌 아나운서가 재진행(2003년 및 2008년 이름 불렀거나 2023년 신년특집 부르지 못함) 복귀시 이름을 부르지 않거나 이후 및(이후 생략) 진행중에는 이름을 부르지 않고 진행함(1982년생) 및 새 여자mc 변경 미확정
저작권 문제로 인하여 다시보기 방송분 및 tv클립 동영상은 방송당일이 아닌 및 올려지지 않고 일부 해당 요일별 코너만 기재하거나 이후 다음 날(이후) 올리며, 해당 한 회의 다시보기 및 TV클립에 따라 제공하지 않을 수 있음[4]
현재 방영중인 엔딩멘트 중 제작진 명단이 새 글꼴이 아닌 7000회 특집 이후 평상시 이후 기존으로 유지함
《전국 장수자랑》(매주 목요일 편성) 코너에서는 홈페이지의 해당 출연한 지역의 어르신의 다시보기 나온 내용은 없으므로 저작권 문제로 내용을 제공하지 않고 있음

방송 시간 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비고
KBS 1TV 1991년 5월 20일~10월 3일 월~목요일 저녁 6시 15분 ~ 7시
1991년 10월 7일~1992년 4월 3일 평일 저녁 6시 ~ 7시
2018년 7월 9일~ 방영중 [5]
1992년 4월 6일~1993년 4월 30일 평일 저녁 6시 ~ 6시 50분 [6]
2001년 11월 5일~2002년 10월 25일 [7]
1992년 10월 11일~1993년 4월 25일 일요일 저녁 6시 ~ 7시 [8]
1993년 5월 3일~5월 6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6시 35분 [9]
1993년 5월 10일~7월 29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6시 40분 [10]
1993년 8월 2일|8월 2~]]5일 월요일 ~ 화요일 저녁 5시 45분 ~ 6시 30분 [11]
수요일 저녁 6시 ~ 6시 30분
목요일 저녁 5시 30분 ~ 6시 15분
1993년 8월 9일~12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5시 45분 ~ 6시 30분 [12]
1993년 8월 16일~10월 14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7시 [13]
1993년 10월 18일~1994년 2월 17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15분 ~ 7시 [14]
1994년 5월 2일~10월 6일 [15]
1994년 2월 21일~4월 28일 평일 저녁 6시 30분 ~ 7시 [16]
1994년 10월 10일~1995년 9월 1일 [17]
1995년 9월 4일~1998년 10월 9일 [18]
1998년 10월 12일~1999년 4월 29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15분 ~ 7시 [19]
1999년 7월 5일~2001년 11월 2일 평일 저녁 6시 ~ 6시 55분 [20]
2002년 10월 28일~2016년 12월 30일 [21]
2017년 1월 2일~9월 1일
2018년 3월 5일~7월 6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6시 55분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2]
2017년 9월 4~8일 월요일 ~ 수요일 저녁 6시 ~ 6시 55분 [23]
목요일 ~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017년 9월 11~22일 월요일 · 금요일 저녁 6시 ~ 7시
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6시 55분
2017년 10월 2~6일 월요일 ~ 수요일 · 금요일 저녁 6시 ~ 7시 10분
목요일 저녁 6시 ~ 7시
2017년 10월 9~13일 월요일 저녁 6시 ~ 7시 10분 [24]
화요일 ~ 수요일 저녁 6시 ~ 6시 55분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017년 10월 23~27일 월요일 ~ 화요일 저녁 6시 ~ 6시 55분 [25]
수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6시 40분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017년 10월 30일~11월 3일 월요일 ~ 화요일 저녁 6시 ~ 6시 40분 [26]
목요일 저녁 6시 ~ 6시 55분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017년 11월 6~10일 월요일 ~ 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6시 40분 [27]
수요일 저녁 6시 ~ 6시 55분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017년 11월 13~17일
2017년 11월 27일~2018년 1월 26일
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6시 40분 [28]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017년 11월 21~24일 화요일 저녁 6시 ~ 6시 40분 [29]
수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6시 40분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018년 1월 29일~2월 2일 월요일 저녁 6시 ~ 6시 40분 [30]
화요일 ~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018년 2월 12~16일 월요일 ~ 수요일 저녁 6시 ~ 6시 40분 [31]
목요일 ~ 금요일 저녁 6시 ~ 7시
2018년 2월 19~23일 월요일 ~ 화요일 · 목요일 저녁 6시 ~ 6시 55분
금요일 저녁 6시 ~ 7시

진행자 편집

역대 MC 편집

남자 편집

여자 편집

역대
(대수)
MC 진행 기간 비고
제1대 박용호 前 아나운서실 실장 1991년 5월 20일 ~ 1999년 10월 11일 역대 남자MC 8년간 최장 진행자
[32]
제2대 김선동 前 아나운서[33] 1999년 10월 11일 ~ 11월 26일 남자MC 최단 1개월간 진행자
제3대 (故)이성민(21기) 前 아나운서 1999년 11월 29일 ~ 2000년 4월 28일 [34]
제4대 이형걸 청주방송총국장[35] 2000년 5월 1일 ~ 2003년 2월 19일 남자MC 최장기간 3년간 진행자[36]
제5대 김재원(21기) 아나운서실 한국어팀 부팀장[37] 2003년 2월 20일 ~ 2004년 2월 24일 [38]
제6대 오태훈 아나운서[39] 2004년 2월 25일 ~ 4월 30일 [40]
제7대 김재원(21기) 아나운서실 한국어팀 부팀장[41] 2004년 5월 3일 ~ 2005년 8월 12일
제8대 전인석 前 아나운서[42] 2005년 8월 16일 ~ 2007년 3월 30일 [43]
제9대 서기철 前 아나운서실 편성담당 부주간[44] 2007년 4월 2일 ~ 2008년 11월 14일 [45]
제10대 성세정 아나운서[46] 2008년 11월 17일 ~ 2013년 4월 5일 [47]
제11대 김재원(21기) 아나운서실 한국어팀 부팀장[48] 2013년 4월 8일 ~ 2018년 5월 25일 [49]
제12대 윤인구 아나운서[50] 2018년 5월 28일 ~ 진행중 [51]
역대
(대수)
MC 진행 기간 비고
제1대 이금희(16기) 前 아나운서/방송인[52] 1991년 5월 20일~1994년 10월 7일 [53]
제2대 진양혜 前 아나운서/방송인[54] 1994년 10월 10일~1995년 3월 3일 [55]
제3대 이한숙 前 아나운서[56] 1995년 3월 6일~1996년 3월 1일 [57]
제4대 김성은(19기) 아나운서[58] 1996년 3월 4일~1997년 10월 17일 [59]
제5대 유정아(16기) 前 아나운서/방송인[60] 1997년 10월 20일~1998년 10월 9일 [61]
제6대 국혜정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사업팀장[62] 1998년 10월 12일~1999년 10월 8일 [63]
제7대 홍소연 아나운서[64] 1999년 10월 11일~11월 26일 여자MC 최단 1개월간 진행자[65]
제8대 국혜정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사업팀장[66] 1999년 11월 29일~2000년 4월 28일 [67]
제9대 오유경(20기) 前 아나운서 2000년 5월 1일~2001년 4월 27일
제10대 김성은(19기) 前 아나운서 2001년 4월 30일~2002년 3월 29일
제11대 오유경(20기) 前 아나운서 2002년 4월 1일~2005년 5월 6일 [68]
제12대 최원정 아나운서[69] 2005년 5월 9일~2007년 3월 30일 [70][71]
제13대 윤수영(31기) 아나운서[72] 2007년 4월 2일~2008년 3월 28일 [73]
제14대 이지애 前 아나운서[74] 2008년 3월 31일~2010년 5월 7일 [75]
제15대 오정연 前 아나운서[76] 2010년 5월 10일~2013년 4월 4일 [77]
제16대 가애란 아나운서 2013년 4월 5일~2014년 4월 1일 여자MC 3번째로 첫진행[78]
제17대 김솔희 아나운서[79] 2014년 4월 2일~2018년 4월 13일 [80]
제18대 이지연 (37기) 아나운서[81] 2018년 4월 16일~5월 25일 [82]
제19대 가애란 아나운서 2018년 5월 28일~2022년 8월 19일[83] [84]
제20대 김진희(30기) 아나운서[85] 2022년 8월 22일~12월 30일 [86]
제21대 가애란 아나운서[87] 2023년 1월 2일 ~ 재진행중 [88]

구성 편집

2020년 8월 26일 이후 방송일 편성 기준

요일 코너명 출연자 제작사 비고
평일 오프닝 영상(OP) 2020년 3월 30일부터 기준 KBS 본사 제작
오프닝 멘트(OP) 윤인구
가애란
엔딩 멘트(ED)
엔딩 영상(ED) 해당 방송일 요일의 코너별 지역 영상 풍경 모습 [89]
상품소개 가애란
전국 네트워크 연결 KBS 지역방송국 아나운서 및 리포터 KBS 지역국 본문 아래 참조
월요일 슬기로운 두반장 자두, 임지웅 아나운서 DMS
붕붕이가 간다 손헌수 보물썸
인생은 행복해 김기현 스카이픽쳐스
화요일 홍보장사 만만세 백승일 S&J
오! 만보기 이정용 해담미디어
고향 情 가게 백봉기
라마
초이스 전국 각지 음식점 및 식당을 차아 고향의 소식을 전해줌
수요일 시골길 따라 인생길 따라 김정연 자체제작[90]
발길따라 고향기행 임대호
박애리
혜화아이[91]
수요일엔 수산물 윤쭈꾸, 이라경 미디컴[92]
목요일 전국장수자랑 슬리피 자체제작[93]
발길따라 전통시장 송준근[94]
안소미
자체제작[95] 전국 지역의 시장 순회를 찾음
청산에 살리라 김영옥
홍소연(한정)
미디어 랑[96]
금요일 60초를 잡아라 신승태
이미리
여름 나무[97]
섬섬옥수 김혜선(1983년생 개그우먼), 최석구 개미TV[98]
출장 내고향 요리사! 최인선, 최형진, 명현지 황하늘
미카엘 아쉬미노프 다리오
세상기록[99]

네트워크 및 지역 연결 편집

다음 지역 연결 코너의 경우 각 지역 방송국에서 직접 제작한 내용을 방송되면 KBS 각 지역방송국 소속 아나운서/리포터에서만 진행한다. 금요일에도 지역연결을 한다.
KBS 지역방송국의 소속 아나운서 및 리포터가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방송국 타이틀 리포터
(아나운서)
제작사
(제작진)
네트워크 권역 비고
KBS부산총국 6시 내고향 부산,울산,경남 동부 정재희 아나운서 KBS 부산총국[100]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
경상남도 동부(김해시,양산시,밀양시) 3개 지역 일부
KBS 울산국 수중계
KBS창원총국 6시 내고향 창원 이수민 리포터 KBS 창원총국[101] 경상남도 전역 일부
(김해시,양산시,밀양시 3개 일부지역 제외)
(경남 중북부,서부,남부)
KBS 진주국 수중계
KBS춘천총국 6시 내고향 춘천 김민솔 리포터 KBS 춘천총국
[102]
강원 영서 북부(춘천)
영서 남부(원주)
KBS 원주국 수중계
KBS 춘천-외주제작 공동기획
외주제작 일부 - BR미디어
(일부 공동제작)
KBS강릉국 6시 내고향 강릉 장원석 리포터 KBS 강릉국[103] 강원 영동 동해안 일부 및 일원
(인제군,평창군 2개 지역 일부)
유일하게 남자 리포터가 아닌 배구 선수로 함
KBS광주총국 6시 내고향 광주,전남 김나윤 리포터[104] KBS 광주총국[105] 광주광역시,전라남도 전역 일원 KBS 목포국,KBS 순천국
2개 지역방송국 수중계
KBS대전총국 6시 내고향 대전,세종,충남 최해정 리포터 KBS 대전총국[106] 대전광역시,충청남도,세종특별자치시 전역 일원
KBS전주총국 6시 내고향 전북 유민경 리포터 또는 박철규 아나운서 영상공작소 틀[107] 전라북도 전역 일원 KBS전주총국 기획
외주제작으로 함
KBS청주총국 6시 내고향 충북 양소라 리포터 KBS청주총국[108] 충청북도 전역 일원 KBS 충주국 수중계
KBS대구총국 6시 내고향 대구,경북 표나리 리포터 KBS 대구총국[109] 대구광역시,경상북도 전역 일원 KBS 안동국,KBS 포항국
2개 지역방송국 수중계
KBS제주총국 6시 내고향 제주 전유경 리포터 현피디네[110] 제주특별자치도 전역 일원 KBS제주총국 기획
외주제작으로 함

사건 편집

  • 2014년 4월 7일부터 진행자 교체 문제로 제작진이 반발하고 있어 이에 대해 KBS본부 노조는 가애란 아나운서 복직 시위에 들어가 김솔희 아나운서(現 아침마당 여자MC)가 가애란 아나운서(당시 여자 첫진행 및 재진행MC) 후임으로 진행하였다.
  • 그러나 교체된지 4년만에 가애란 아나운서가 첫진행 이후 재진행 하여 진행자 자리에 다시 복귀하였으나 2022년 출산휴가로 인하여 4개월간 방송활동을 중단하다가 다음 해인 2023년 1월 2일 7694회 방송분의 ~ 같은 해 10월 6일까지 마지막 MC 까지로 새해 아나운서실 복귀로 재개하여 다시 여자 MC로 진행을 재개하게 되었다.

특집 방송 편집

  • 2006년
    • 방송 15주년을 맞아 5월 22일 오후 5시15분부터 105분 동안 특집방송을[111] 특집 편성했다.
  • 2008년
    • 방송 17주년 및 4,000회 특집을 맞아 3월 21일 특집방송을 특집 편서앻ㅆ다.
  • 2012년
    • 방송 21주년 및 5,000회 특집을 맞아 4월 9일 특집방송을 내보냈다.
  • 2016년
    • 방송 6,000회를 맞아 14일부터 16일까지 3일간 서울 여의도 KBS홀 앞 광장에서 '토종씨앗축제'로 방송되었다.
  • 2020년
    • 3월 3일 6981회 (공사창립특집)[공사창립기획 지금 만나러 갑니다] 6시 내고향 열혈 팬 특집으로 방송되었다.[112]
    • 3월 31일 [7,000회 특집] <6시 내고향 함께 해준 당신, 고맙습니다> 특집으로 방송되었다.[113]
    • 4월 8일 : 7007회 [특집 함께 삽시다 내고향 상생장터] 특집으로 방송되었다.[114]
    • 4월 24일에는 오후 5시 30분과 저녁 7시 40분에 특별생방송 함께 삽시다라는 명칭으로 총 1, 2부로 방송되었다.
    • 9월 3일 7105회 시청자주간 특집 편성으로 인하여 17:30 ~ 19:00으로 30분 확대하여 1시간 30분 확보되어 이후까지 편성이 변경되었다.[115]
  • 2021년
    • 3월 3일 7232회 공사창립 48주년 특집으로 방송되었다.[116]
    • 5월 17일 ~ 5월 21일에는 [시청자와 함께 30년 6시 내고향] (30주년 특집 (1부 ~ 5부 포함)으로 총 5일 간 및 5부 씩으로 방송되었다.[117]
    • 12월 31일<7439회> 방송분은 송년특집 관계로 송년특집으로 방송편성되었다.
  • 2022년
    • 1월 1일<7440회> 방송분은 신년특집 관계로 신년특집으로 방송편성되었다.
    • 1월 31일<7460회> ~ 2월 1일<7461회> ~ 2월 2일<7462회> 방송분은 설날특집 관계로 설특집으로 방송편성되으며, 스튜디오로 설특집에서만 장식 스튜디오 모습으로 모양 및 모습을 변경했다.
    • 3월 3일<7232회> 공사창립 48주년 기획 - 착한소비 장보고 에서만 공사창립 특집방송으로 편성되었다.
    • ※ 5월 중순에는 (31주년 특집 (1부 ~ 5부 포함)을 총 5일 간 및 5부 씩으로 방송되지 않았다.
  • 2023년
    • 1월 2일<7694회> 신년특집 방송분은 신년특집 편성 관계로 신년기획으로 방송편성 및 가애란 아나운서 여자MC 재진행 이후 4개월 만에 출산 방송 중단 이후 복귀[118]
    • 1월 10일<7700회> 방송분은 7,700회 특집 편성하지 않았으며, 기존 평상시 정규편성으로 방영을 변경했다.
    • 2월 27일<7734회> ~ 3월 3일<7738회>(당신의 오랜 벗,공사창립 특집 1부 ~ 5부 ) 5일간 공사창립 특집으로 방송했다.[119]
    • ※ 5월 중순에는 (32주년 특집 (1부 ~ 5부 포함)을 총 5일 간 및 5부 씩으로 방송되지 않았다.
    • 6월 2일<7800회> 방송분은 7,800회 특집 편성하지 않았으며, 기존 평상시 정규편성으로 방영을 변경했다.
    • 7월 27일 ~ 7월 28일 2일간 회차 없이 해당 방송분은 2023 재난극복 우리함께 · 수해 현장 특집 1부 ~ 2부 2일 연속 특집방송으로 오후 5시 30분 ~ 7시 까지 1시간 30분 동안 편성했다. (※ 이 방송분은 오늘의 이야기 없이 그래로 2일간 방송했다.)
    • 9월 1일 : 7864회 방송의 날 · 시청자 주간 기획으로 특집(1부)편성했다.[120]
    • 9월 1일 ~ 9월 6일 : 7864회 ~ 7868회 까지 방송의 날 · 시청자 주간 기획(1부 ~ 5부) 까지 특집편성했다.[121]
    • 9월 4일 : 7865회 '고향 사랑의 날 특집' 특집으로 편성했다.[122]
    • 9월 28일 : 7883회 추석특집으로 인하여 추석기획으로 편성하여 9월 29일 항저우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 관계로 이전에 편성했다.[123]
    • 10월 27일<7900회> 방송분은 7,900회 특집 편성하지 않았으며, 기존 평상시 정규편성으로 방영을 변경했다.

결방 사유 및 편성 변경 편집

※ 해당 연도 에피소드 목록 결방 참조

2014년
  • 7월 14일 : 방송 도중 저녁 6시 30분 ~ KBS 뉴스특보 새누리당 새 대표 선출(앵커 박노원 아나운서) 6시 30분 ~ 6시 40분까지 10분간 방송이 중단되어, 6시 40분에 재개되어 7시 10분까지 편성 변경되어 방송이 끝났다.
  • 8월 25일 : 방송 도중 저녁 6시 ~KBS 뉴스특보 남부 폭우…피해 속출 [18시 뉴스특보] (앵커 박노원 아나운서) 6시 ~ 6시 10분까지 10분간 방송이 중단되어, 6시 10분에 재개되어 7시 10분까지 편성 변경되어 방송이 끝났다.
  • 10월 10일 : 방송 도중 저녁 6시 ~ KBS 뉴스특보 북, 대북 진단 향해 발표 [18시 40분 뉴스특보] (앵커 박주경 기자) 6시 40분 ~ 6시 45분까지 약 5분간 방송이 중단되어, 6시 45분에 재개되어 7시 5분까지 편성 변경되어 방송이 끝났다.
  • 10월 17일 : KBS 뉴스특보 경기도 성남 공연장 인근서 관람객 20여 명 추락 [18시 30분 뉴스특보] (앵커 박주경 기자) 6시 30분 ~ 6시 32분까지 약 2분간 방송이 중단되어, 6시 32분에 재개되어 7시 2분까지 편성 변경되어 방송이 끝났다.
2015년
  • 3월 1일 : 삼일절 특집 및 공사창립 특집 관련 프로그램 관계로 결방
  • 3월 25일 : 방송 도중 저녁 6시 28분 ~ KBS 뉴스특보 《용인 도로 공사 현장 붕괴…10여 명 매몰》[수화]으로 뉴스특보로 인하여 방송이 분 중단되어 약 3분간 방송이 중단되어 6시 30분 ~ 7시 5분까지 편성이 변경되었다.
2016년
  • 3월 29일 : 《청년 대한민국 일자리가 미래다》(오후 5시 20분 ~ 저녁 7시) 관계로 결방
  • 4월 13일 : 국회의원 총선 개표방송 관련 편성 관계로 결방
  • 10월 9일 : 한글날 특집 편성 관계로 결방
  • 12월 9일 : KBS 뉴스특보 《 대통령 탄핵안 가결 》(오후 5시 ~ 저녁 7시)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 가결 관련 뉴스 특보 관련 관계로 결방
  • 12월 29일 : 특별생방송 조류 인플루엔자 추가 확산을 막읍시다(정석찬부장님출연 외) (저녁 6시 ~ 7시) 특집 편성 관계로 결방
2017년
  • 3월 10일 : KBS 뉴스특보[수화]《대통령 탄핵 인용》(오후 4시 ~ 저녁 7시)까지 박근혜 대통령 탄핵 관련 뉴스특보 관계로 결방
  • 5월 9일 : 문재인 대통령 당선 관련 개표방송 관계로 결방 (저녁 6시 ~ 밤 9시)
  • 6월 26일 : 《특별생방송 타들어 가는 땅 가뭄 해갈의 방법은》(오후 5시 30분 ~ 저녁 7시) 특집 방송 관계로 결방
  • 10월 12일 :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식》 특집 편성 관계로 결방
  • 11월 1일 : 《특별 생방송 하나된 열정, 이제는 평창》오후 5시 ~ 7시 특집 방송 관계로 결방
  • 11월 20일 : 《특별생방송 포항 지진피해, 우리가 함께 합니다》오후 3시 ~ 저녁 7시까지 최장시간 특집편성 관계로 결방
  • 12월 21일 : KBS 뉴스특보[수화] <충북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16명 사망> 관련 뉴스 특보 관계로 결방
2018년
  • 1월 10일 : 평창동계올림픽 G-30 특별생방송[수화] (저녁 6시 ~ 7시) 편성 관계로 결방
  • 1월 30일 : 평창동계올림픽 G-10 특별생방송[수화] (저녁 6시 ~ 7시 25분) 편성 관계로 결방
  • 2월 13일 : 오후 4시 35분 ~ 저녁 6시 55분까지 <평창올림픽 라이브> 최장시간 중계방송 편성 관계로 결방
  • 2월 21일 : 오후 5시 10분 ~ 저녁 6시 30분, 저녁 6시 30분 ~ 밤 8시 25분까지 2연속 사이 <평창올림픽 라이브> 최장시간 중계방송 편성 관계로 결방
  • 4월 27일 : KBS 뉴스특보 [수화] 《2018 남북 정상회담》(16시 4분) ②(18시 29분) 2연속 사이 뉴스특보 관련 관계로 결방
  • 5월 28일 : 진행자 MC 2명 중 1명의 남자 새 MC 1980년대 최초 아님 1970년대로 변경함(윤인구 아나운서로 - 첫 진행시 이름 부르지 못함) 및 가애란 아나운서 새 MC 아님 및 재진행 여자MC로 변경(여자MC의 이름 부른 곳의 최후의 진행자)
  • 6월 12일 : KBS 뉴스특보 [수화] 《2018 북미 정상회담 16시 40분, 18시 30분 2연속 사이 뉴스특보 관련 관계로 결방
  • 6월 13일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관련 2018 지방선거 개표방송 (오후 5시 40분 ~ 밤 9시) 개표방송 편성 관계로 결방
  • 8월 20일 : KBS 뉴스특보 [수화] 《이산가족 첫 단체 상봉》(오후 5시 10분 ~ 5시 30분) 편성 직후 오후 5시 30분 ~ 밤 8시 40분까지 여기는 자카르타 최장시간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
  • 8월 21일 : 오후 5시 30분 ~ 밤 8시 25분까지 여기는 자카르타 최장시간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
  • 8월 23일 : KBS 뉴스특보 [수화] 《태풍 ‘솔릭’ 목포로 접근 중 ②》(저녁 6시 ~ 밤 8시) 긴급 뉴스 관련 편성 관계로 2일 연속 결방
  • 8월 27일 : 여기는 자가르타 중계방송 편성 관계로 결방
  • 9월 18일 ~ 9월 19일  : KBS 뉴스특보 [수화] 《평양 정상회담 2일차》 긴급 뉴스 관련 편성 관계로 2일 연속 결방
  • 9월 20일 : KBS 뉴스특보 [수화] 《평양 정상회담 3일차 ③》 긴급 뉴스 관련 편성 관계로 2일 연속 결방
2019년
  • 2월 27일 ~ 2월 28일 : KBS 뉴스특보《2019 북미 정상회담 평화로 가는 길》[수화] 저녁 6시 ~ 7시 연이어 뉴스 특보 관계로 2일 연속 결방
  • 4월 5일 : KBS 뉴스특보 《강원 산불 관련》 [수화] 저녁 6시 ~ 밤 8시 30분 뉴스 특보 관계로 결방
  • 4월 12일 : KBS 특별생방송 《강원 산불 재난에서 희망으로》(오후 5시 30분 ~ 저녁 7시) 재난 특집 관련 관계로 결방
  • 5월 30일 : KBS 뉴스특보《한국인 탑승 헝가리 유람선 침몰》[수화] 저녁 6시 ~ 밤 8시 30분 뉴스 특보 관계로 결방
  • 10월 2일 : KBS 뉴스특보《18호 태풍 ‘미탁’ 북상 》[수화] 저녁 6시 ~ 밤 8시 연이어 뉴스 특보 관계로 결방
2020년
  • 3월 31일 [7,000회 특집] <6시 내고향 함께 해준 당신, 고맙습니다> 2명의 남자 및 여자MC 특집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변경함
  • 4월 15일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0년 총선 - 제2부》 총선 투표 방송 관계로 결방
  • 4월 24일 :《특별생방송 합께 삽시다 제1부 함께 사는 상생장터》 (생방송) 특집 관계로 결방
  • 8월 7일 : <KBS 뉴스특보>[수화] 《내일까지 최고 250mm 이상 비(18시)》 뉴스 관련 속보 관계로 결방
  • 8월 11일 : 《KBS 특별생방송 수해극복, 우리 함께》 (생방송 및 생중계) 관계로 결방
  • 8월 14일 : <KBS 뉴스특보>[수화] 《신규 확진 103명…누적 14,873명》(오후 5시 15분 ~ 저녁 7시) 뉴스 관련 속보 관계로 결방
  • 8월 26일 : <KBS 뉴스특보>[수화] 《제8호 태풍 ‘바비’ 북상》(저녁 6시~ 7시) 태풍 기상 뉴스 관련 속보 관계로 결방
  • 9월 2일 : <KBS 뉴스특보>[수화] 《 9호 태풍 ‘마이삭’ 북상》(저녁 6시~ 7시) 태풍 기상 뉴스 관련 속보 관계로 결방
  • 9월 4일 : KBS 시청자 주간 특집 편성으로 인하여 17:30 ~ 19:00으로 30분 확대하여 1시간 30분 확보되어 이후까지 편성이 변경되었다.
  • 12월 4일 : 5시 30분 KBS 특별생방송 더 나은 삶 안전한 대한민국 <일하다 죽지 않게> 생방송 6시 30 KBS 특별생방송 더 나은 삶 안전한 대한민국 다큐 온 <나는 공사장 아이돌이다> 재방송 7시까지 결방
  • 12월 23일 : 특별생방송 코로나19 함께 이겨냅시다 오후 5시 30분 ~ 저녁 7시 특집 방송 관계로 결방
2021년
  • 1월 2일 7682회 신년특집
    • 상단 '신년기획' 무표기
    • 신년기획 무표기로 OP 멘트를 새해 멘트가 아닌 → 기존 평상시 멘트로 변경
  • 3월 3일 : 7232회 공사창립 48주년 특집으로 방송되었다.2명의 남자 및 여자MC 특집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변경함
  • 1월 12일 : 폭설 관련 KBS 뉴스특보 [수화]《수도권 대설주의보…퇴근길 정체 우려》긴급뉴스 관계로 5분 축소되었다.
  • 2월 11일 ~ 2월 12일 : 설 특집 1부 ~ 2부 편성 관계로 2021년 2월 11일 ~ 2월 12일 방송분은 방송분량이 1시간 9분으로 10분간 2일 연속 확대 편성되었다.
  • 3월 16일 : 2021 서울시장 보궐선거 토론회 편성 관계로 결방
  • 5월 5일 : 2021 어린이날 특집 관련 편성 관계로 결방
  • 5월 20일 :
    • 1991년 5월 20일 첫방송으로 <6시 내고향 30주년>을 맞아 이중 4부는 5월 20일 ~ 5월 21일까지 시청자와 함께 30년 6시 내고향 (30주년 특집 1부 ~ 5부의)의 오후 5시 30분 ~ 7시까지 편성되었다.
    • 2명의 남자 및 여자MC 특집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변경함
  • 7월 26일 ~ 7월 30일, 8월 3일 ~ 8월 4일 : 2021 도쿄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8월 11일 : 6시 ~ 6시 50분까지 50분으로 단축하여 10분으로 축소하여 이후 6시 50분 ~ 7시까지 KBS 뉴스(10분간 방영)되어, 저녁 7시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선거 본선후보 토론회[수화]>로 편성 변경되었다.
  • 10월 21일 : KBS 뉴스특보 《드디어 우주로!…누리호 첫 발사》 [수화] 관련 누리호 발사 생중계 결방 되었다.
  • 12월 20일: <7430회> 코너명 변경 [내고향 서울엔] 《눈앞에 있어도 보고픈 내고향섬》- 밤섬(서울특별시 한강 주변 모습) 특집 코너 변경
2022년
  • 1월 20일 : <7453회> 6시 N고향《수빙수 바다에 가다》(방어(쥐치,고등어 고기 어류 다수)) (강원도 삼척시) 특집 코너 변경
  • 2월 2일 : 7462회 <설특집 3부>에서 진행자 2명의 한복을 착용하지 않았음 스튜디오는 기존 정규방송으로 대체함,2월 1일 설특집 2부 방송분의 '특집' 미표기, 미표기
  • 3월 16일 : 특별생방송 산불피해,함께 이겨냅시다 편성으로 인한 결방
  • 6월 1일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개표방송 편성으로 결방
  • 8월 8일 : 뉴스특보 폭우 관련 속보로 인하여 5분 축소로 55분 방송시간 분량으로 변경
  • 8월 22일 :
    • 새 남자MC 변경 남자 새 MC 1980년대 최초 아님 및 취소 (평상시 현재 남자MC의 진행을 유지함)
    • 새 여자MC 변경 → 김진희 아나운서 (첫 진행시 이름 부르지 못함 및 출산휴가로 인하여 4개월간 진행함)
  • 8월 18일 : 17:30 ~ 19:00 수해 복구 특집 특별생방송 안전한 대한민국 반복되는 수해 막을 수 없나(진행 윤인구(24기) 아나운서 ,백승주(29기) 아나운서) [수화] 1시간 30분 까지 특집편성 관계로 결방
  • 9월 5일 : KBS 뉴스특보 [수화] 태풍 힌남노 영향 속보 관계로 결방
  • 10월 7일 : 1800 ~ 1820 팔도밥상, 1820 ~ 1940 《제103회 울산 전국체육대회》(개막식 포함) 수화 편성관계로 결방
  • 12월 30일 : 송년특집 방송분
    • 상단 '송년기획' 무표기
    • 2명 모두 남자 및 여자 동시 마지막 MC 아님→2명 중 1명의 남자 마지막 MC 변경 취소(현재 남자MC를 평상시 그대로 유지함) 및 마지막 여자MC 최종확정
2023년
  • 1월 2일 7682회 신년특집
    • 상단 '신년특집' 무표기
    • 신년특집 무표기로 OP 멘트를 새해 멘트가 아닌 → 기존 평상시 멘트로 변경
    • 새 남자MC 변경 남자 새 MC 1980년대 최초 아님 및 취소 (평상시 현재 남자MC의 진행을 유지함)[124]
    • 새 여자MC 변경 아님 → 출산휴가 4개월만에 가애란 아나운서로 복귀함
  • 1월 10일 : 7,700회 특집 편성 취소 → 기존 평상시 정규편성으로 방영을 변경
  • 1월 20일 : 설특집 1부의 상단 '설 기획'무표기
  • 1월 23일 ~ 1월 24일 : 설특집 2부 ~ 설특집 3부의 2일 연속 및 3회 연속 상단 '설 기획' 무표기 및 진행자 2명의 한복 미착용
  • 3월 16일 : KBS 뉴스 5 [수화] 40분 확대편성으로 인하여 이후 곧이어 1740 동물의 왕국 40분 추가편성 이후 저녁 6시 20분 KBS 뉴스특보 [수화] (뉴스제작3부 제작) 《한일 정상회담(공동기자회견)》(앵커:이재석 기자[125])(저녁 6시 20분 ~ 7시 방송분) 편성 관계로 결방[126]
  • 5월 24일 : 누리호특선다큐 편성으로 인한결방
  • 5월 25일 : KBS 뉴스특보[수화] 《누리호 발사 관련 비행 종료》 (뉴스제작3부)(앵커:임재성 기자[127]) 편성으로 인한 결방
  • 6월 2일 : 7,800회 특집 편성 취소 → 기존 평상시 정규편성으로 방영을 변경
  • 8월 10일 : 태풍 '《태풍 카눈》' 관련 뉴스특보[수화]로 인하여 목요일 방송분은 다음주 1주 연기
  • 9월 26일 : 항저우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
  • 9월 28일 : 7882회 추석특집 방송분은 추석특집으로 인하여 상단 '추석기획' 아쉽게 표기하지 못했음
  • 9월 29일 : 추석특집 및 항저우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
  • 10월 2일 : 추석특집 및 항저우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
  • 10월 3일 : 추석특집 및 항저우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
  • 10월 6일 : 전국우수시장박람회(인천계양체육관 야외광장) 특집 편성으로 인하여 1980년대 1981년생의 한상헌 아나운서 아님 → 1970년대 1975년생의 공채 29기 이상호 아나운서로 변경함
  • 10월 9일 : 새 2명 모두 MC 변경 아님 및 현재 2명의 평상시 진행을 그대로 유지함(※ 여자MC 가애란 아나운서의 열린음악회 새 MC로 옮기려고 했으나 변경 취소 - 현재 여자MC를 그대로 유지함)
  • 10월 13일 : 7890회 《예산장터 삼국축제 특집》 방송분(진행 윤인구,가애란)은 <2023 전국체육대회> 개막식 저녁 6시 부터 중계방송 관계로 앞서 오후 5시 ~ 저녁 6시 까지 1시간 특집 현지 생중계로 인하여 방송시간 1시간 앞당겨 변경
  • 10월 27일 : 7,900회 특집 편성 취소 → 기존 평상시 정규편성으로 방영을 변경
  • 12월 29일 : 송년특집으로 인하여 특집 방영 예정
2024년
  • 2월 9일 · 2월 12일 : 설연휴 로 인한 결방 예정
  • 4월 10일 :《국회의원》 선거 개표 방송 으로 인한 결방 예정

같이 보기 편집

저녁 시간대 경쟁 프로그램 편집

각주 편집

  1. 실제 방영 분량은 54분 이내이다.
  2. 화요일 해당 코너 기준 [네트워크 연결1 ]- 광주 (rep.김나윤)/[네트워크 연결2] - 대전(rep.최해정)[홍보장사 만만세!](백승일/[오!만보기](이정용)/[고향情가게!](백봉기(?))
  3. OP멘트시 "안녕하세요가 아닌 "안녕하십니까" 멘트와 이름을 부르지 않고 진행함
  4. 단 목요일 전국장수자랑 코너는 다음날 해당 ??세 어르신을 올리지 않거나 표기하지 않고 해당 출연한 제보의 지역만 기재한다.
  5. 2018년 7월 여름철 2차 부분조정 개편으로 인하여 방송시간이 변경되었으며, 《시청자칼럼 우리사는 세상》의 첫 방영한지 19년 만에 이후 최종 종영으로 인하여 같은 날 7월 9일부터 평소보다 5분 연장해서 방송중이며, 같은 날 새 스튜디오 새단장 변경. 같은 해 10월 26일<6639회(연천군 야외 현지 특집)>, 2019년 1월 28일<6701회> · 5월 20일<6777회>(임시 여자MC (정다은(34기) 前 아나운서)대신 진행 및 진행자의 이름 부른것의 이후 미확정, 이후 최종 불가,콘텐츠의 다시보기 유료 불가 및 없음) · 8월 23일 <6845회>(이후 최종 불가) · 10월 9일 <6877회> · 12월 11일<6922회>(이후 최종 올리지 못함 및 불가와 최종 미확정), 2020년 5월 25일 <7037회> · 7월 13일 <7072회>, 2021년 10월 4일<7376회>(이후 최종 올리지 못함 및 불가와 최종 미확정), 2022년 4월 12일<7509회> · 6월 17일<7556회> · 11월 30일 <7671회>(남자 아나운서 임시연속아님 및 평상시 정규 남자MC로 진행함)(이후 불가), 2023년 1월 10일 <7701회>(특집- 2023 설맞이 농수산물 및 전통식품대전)(이후 불가) · 5월 17일<7790회>(남자 아나운서 임시연속아님 및 평상시 정규 남자MC로 진행함) 올리지 못하여 또는 TV클립 관련영상 미확보) · 12월 8일<7930회>(※ 다시보기 이후 불가) ~ 12월 11일<7931회>(※ 다시보기 이후 불가)이후 방송분은 저작권 문제로 인하여 이후 방송분은 저작권 문제로 인하여 이후 다시보기 16회 불가이며, 2019년 <6744회(진해군항제 특집 - 벛꽃 피는 봄)> · <6777회>(임시 여자MC (정다은(34기) 前 아나운서)대신 진행 및 진행자의 이름 부른것의 이후 미확정/이후 최종 불가/콘텐츠의 다시보기 유료 불가 및 없음) · 6858회(이후 최종 올리지 못함 및 불가와 최종 미확정) ·6884회<2019 전국우수시장박람회 특집 · 울산 동천체육관 울산 동구 현지생중계>(이후 최종 올리지 못함과 최종 미확정) · 6915회(이후 최종 올리지 못함 및 불가와 최종 미확정) · 6922회(이후 최종 올리지 못함 및 불가와 최종 미확정) , 2020년 [7,000회 특집] 함께 해준 당신, 고맙습니다 특집 방송분의 다시보기 창 밑에 부제 미표기(두 MC 아나운서의 남자 및 여자 특집멘트 아닌 평상시 정규멘트로 함) · 7104회(이후 최종 공식 홈페이지에서만 올리지 않았으며, 해당 4개 코너의 지역만 표기하지 않아, 해당 방송분의 내용을 올리지 않았음) · 7115회(이후 최종불가 이후 미확정의 이 중에서 해당 3개 코너 방송 내용 이후 올리지 않았음) · 7187회(이후 최종 올리지 못함 및 불가 - 지역만 표기함), 2021년 7318회 · 7361회 · 7365회(이상 3회 연속 이후 방송분 연속 최종 올리지 못함 및 불가) · 7367회(추석특집 2부) ~ 7368회(추석특집 3부) · 7376회(이후 최종 올리지 못함 및 불가와 최종 미확정), 2022년 <7492회>(해당 방송분은 네트워크 연결을 제외하고는 3개 코너의 방송내용과 최종 미확정 및 미표기) · 7637회(김진희(30기) 아나운서 당시 여자mc 변경 이후 및 남자 아나운서 임시연속아님 및 평상시 정규 남자MC로 진행함) ·7646회(전남 해남군 특집-맛의 고장 해남군)(※ 저작권 문제로 인하여 이후 다시보기 불가), 2023년 12월 8일<7930회>(※ 다시보기 이후 불가) ~ 12월 11일<7931회>(※ 다시보기 2회 연속 이후 불가)(방영 당일 이후)(※ 당일 해당 방송분의 해당 [코너]의 (지역)의 부제는 방송 당일 올리지 못하여 또는 TV클립 관련영상 이후 미확보 - 코너 중 1개의 [인생은 행복海] 해당 코너) 이후 21회 회차 미포함의 방송분은 방송 내용을 이후 올리지 않았으며), <7002회> 방송분은 방송분량 이하 32분 이후 28분 누락으로 다시보기 절반 부족으로 인하여 이하 생략이다.(분량 부족으로 인한 생략 이후 미확정)
  6. 1992년 봄개편으로 인하여 1TV의 평일 50분으로 방송시간을 변경했다.
  7. 2001년 가을개편으로 인하여 1TV의 평일 5분 축소로 변경하여 뉴스 헤드라인의 신설로 저녁 7시 KBS 뉴스 7의 2TV 방송시간 변경으로 인하여 방송시간을 변경했다.
  8. 1992년 가을개편으로 인하여 추억의 스페셜을 선정하는 일요일 추가 방송시간을 추가했다.
  9. 1993년 봄개편으로 인하여 1주일간 1TV의 월~목으로 35분으로 축소 변경했다.
  10. 1993년 봄개편 이후 부분조정으로 인하여 1주일간 1TV의 월~목으로 5분 확대로 40분으로 변경했다.
  11. 1993년 엑스포 주관방송 시행으로 인하여 1TV의 8월 2일~ 5일 방송분은 월~화,수,목으로 편성했다.
  12. 1993년 엑스포 주관방송 시행으로 인하여 1TV의 8월 9일 ~ 12일 방송분은 월~목으로 편성했다.
  13. 1993년 엑스포 주관방송 시행으로 인하여 1TV의 8월 16일 ~ 10월 14일 방송분은 까지 편성했다.
  14. 1993년 가을개편으로 인하여 월 ~ 목요일로 금요일 제외로 방송되어 45분으로 축소되었다.
  15. 1994년 5월 봄 2차 개편으로 인하여 월 ~ 목요일로 금요일 KBS 94 프로야구 중계방송 제외로 방송되어 45분으로 축소되었다.
  16. 1994년 봄 1차 개편으로 인하여 월 ~ 금요일로 방송되어 30분으로 축소되었다.
  17. KBS 1TV의 광고폐지 이후 1994년 가을 개편으로 인하여 월 ~ 금요일로 방송되어 확대 편성으로 30분으로 축소되었다.
  18. 1995년 가을 1차 개편으로 인하여 1TV의 오후 방송시작 30분 확대로 월 ~ 금요일로 방송되어 확대 편성으로 30분으로 축소되었다.
  19. 1998년 가을개편으로 인하여 월 ~ 목요일로 금요일 제외로 방송되어 45분으로 축소되었다.
  20. 1999년 여름 부분조정 개편 시행으로 인하여 1TV의 55분간 편성했다.
  21. 2002년 가을개편으로 인하여 KBS 뉴스 네트워크(2011년 5월 30일 現 KBS 뉴스 7 뉴스명 변경) 2TV에서 1TV로 환원 후 재편성으로 인하여, 방송시간이 변경되었으며, 2013년 2월 21일 <5213회>· 3월 20일 <5232회> ~ 3월 21일 <5233회> ~ 3월 22일 <5234회> 방송분은 저작권 문제로 4회 방송내용을 올리지 않아 미확정이다.
  22.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 끝 이후 방송시간 복귀의 편성으로 인하여 2018년 3월 5일~7월 6일 방송분은 월 ~ 목 55분, 금요일 50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으며, 같은 기간 내에 방송분은 3월 23일<6491회> · 4월 25일<6514회> · 5월 15일<6527회> 3회 다시보기 불가 및 미확정이다.
  23.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하여 2017년 9월 4~8일 방송분은 월 ~ 수 55분, 목 ~ 금 1시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다.
  24.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하여 2017년 10월 9~13일 방송분은 월 1시간 10분, 화 ~ 수 55분, 금요일 1시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다.
  25.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하여 2017년 10월 23~27일 방송분은 월 ~ 화 55분, 수 ~ 목 40분, 금 1시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다.
  26.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하여 2017년 10월 30일~11월 3일 방송분은 월 ~ 화 40분, 목 55분, 금 1시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다.
  27.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하여 2017년 11월 6일 ~ 2017년 11월 10일 방송분은 월 ~ 화, 목 40분, 수 55분, 금 1시간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다.
  28.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과 고대영 前 사장의 해임으로 인하여, 2017년 11월 6일~17일 · 동년 11월 27일 ~ 2018년 1월 26일(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한 이후 고대영 前 사장의 해임 기준)까지 방송분은 월 ~ 목 40분, 금 1시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으며, 같은 기간 중에서 2017년 11월 14일<6404회> · 11월 30일<6415회> , 2018년 1월 2일<6437회> 방송분은 최종 다시보기 3회 불가이다.
  29.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하여 2017년 11월 21~24일 방송분은 월요일 《특별생방송 포항 지진피해, 우리가 함께 합니다》의 결방으로 화~수~목 40분, 금요일 1시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다.
  30.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하여 2018년 1월 29일 ~ 2018년 2월 2일 방송분은 월 40분, 화 ~ 금 1시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다.
  31. KBS의 공영방송 총파업과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중계방송(1TV <평창올림픽 라이브> ) 및 같은 해 2월 16일 방송분은 2018 평창 패럴림픽 동계올림픽 중계 방송 편성으로 인하여 2018년 2월 12~16일 방송분은 월 ~ 수 40분, 목 ~ 금 1시간으로 방송시간이 변경되어 편성조정되었다.
  32. 박용호 전 아나운서실 실장은 진행 기간 동안 KBS 아나운서실 1994년 TV담당 부주간, 이중 1995년 아나운서연협회장, 1998년 아나운서실장을 역임하여 1999년 10월 11일 고별방송 이후 퇴사하여 정치인으로 활동하여, 현재 방송인이다. 그의 아들인 박태원 아나운서실 아나운서1부 팀장이다.
  33. 아나운서실 R뉴스담당차장,외주담당차장, TV차장, 현업총괄차장, 역대아나운서사 자료조사팀장, 인터넷운용팀장, 제주방송총국 아나운서부장, 현업총괄뉴스 부주간, 아나운서팀 1직급 부장아나운서 이후 정년퇴임으로 퇴사
  34. (故)이성민(21기) 前 아나운서는 이후 2017년 KBS창원방송총국 아나운서 지역순환근무로 최단기간 동안 근무하여 이후 본사에 복귀했다.이후 2023년 5월 17일 지병으로 타계하여 별세
  35. 20기 아나운서실 공채로 근무, 2003년 노조에 참여하다 이후 청주총국장 재임중
  36. 이형걸 아나운서(前 피플 세상속으로 내레이션 겸 MC)는 남자MC가 진행이 끝난 후 같은 해 2월부터 2005년 초까지 KBS본부 노동조합의 조합원의 조직국장을 역임하여 활동했으며, 2017년 KBS춘천방송총국 아나운서 지역순환근무하여 이후 2019 ~ 2021년까지 아나운서실 실장을 역임했으며, 같은 해 연말 12월에는 KBS청주방송총국 총국장을 역임하여 현재 재직 중이다.
  37. 현재 아침마당 남자 재진행 MC
  38. 당시 1995년 공채 21기(2월 1일 입사) 아나운서 입사 후 '김재민'이란 본명으로 활동하였으며, 이후 1년간 진행했으나 현재 2022년 아나운서실 한국어팀 부팀장
  39. 2021년까지 前 아나운서실 아나운서1부장 역임, 현재 제1라디오 - 《라디오 매거진 위크 앤드》 (2023.1월 28일 ~ ) 진행자
  40. 오태훈 아나운서의 남성 MC의 65일(2개월 5일) 미만의 최단 진행자, 2021년까지는 아나운서실 아나운서1부장을 역임했다.
  41. 현재 아침마당 남자 재진행 MC
  42. 前 춘천방송총국 아나운서 근무, 제주방송총국 아나운서, 2022년 정년 퇴임
  43. 2019년 10월 28일부터 현재 KBS제주방송총국에서 지역의 순환근무하여 2022년 초 정년 퇴임
  44. 前 아나운서실 편성담당 부주간, 2022년 9월 퇴사 후 정년퇴임
  45. 1987년 11월 입사한 공채 14기 아나운서로, 남편은 17기 전직 아나운서의 부인 곽은주의 방송인이며, 서기철 前 아나운서실 편성담당 부주간의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중계 캐스터 관계로 출장을 간 사이 현재 최장기간 5년 4개월 넘게 남자MC로 진행중인 윤인구(42기)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2020년 10월 ~ 2021년 12월까지 아나운서실 편성본부 부주간을 역임했다, 2022년 9월 정년퇴직.
  46. 前 3라디오 《오늘의 신문》 진행자
  47. 2008년 11월 17일 KBS 1TV의 가을개편 지연으로 인하여 남자MC가 변경되었으나, 성세정 아나운서의 최장 4년의 진행자
  48. 남자MC 이름(재진행 포함에 한해서만 부른 것의 최후의 마지막 남자MC 및 현재 아침마당 남자 재진행 MC
  49. * 김재원 아나운서의 2013년 가을 휴가 ·출장으로 인하여 2013년 10월 22일 ~ 2013년 10월 29일, 2013년 11월 26일 ~ 2013년 11월 28일, 세월호 침몰 사고 및 참사 이후 관련 노조파업으로 인하여 2014년 5월 29일 ~ 6월 5일(6월 4일 결방일 제외) 방송분은 김솔희 아나운서 없이 8기 남성 진행자였던 (故)이성민(21기) 아나운서(前 사랑의 가족 MC)가 대신 단독으로 진행했다.
    • 김재원 아나운서의 남자 MC의 재진행에서만 휴가 출장으로 인하여 2014년 7월 21일부터 8월 1일까지 방송분은 장웅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現 사랑의 가족 남자 MC, 前 수요일 <전설의 내고향> 코너 내레이션)이 대신 진행했으며, 2014년 11월 26일부터 2014년 12월 2일까지 · 2015년 11월 23일부터 11월 28일까지, 2017년 7월 5일부터 7월 7일 방송분은 이영호 아나운서(前 KBS 뉴스 9 평일 남자 앵커(2023년 같은 해 9월 22일 까지))가 대신 진행했으며, 2017년 설날 직전 및 직후의 이후 설특집에서만 2017년 1월 23일부터 1월 27일까지 최동석 前 아나운서실 아나운서 1부 팀장이 대신 진행하였다.
    • KBS의 공영방송 총 파업과 노조 파업으로 인하여 같은 해 9월 4일 방송분은 19기 MC였던 성세정 아나운서(당시 우리말 겨루기 임시 MC - 엄지인 아나운서(前 MC)(現 아침마당 여자 재진행 MC) 등의 KBS 파업 관계로 인하여 2017년 9월 25일부터 2018년 2월 12일까지 대신 진행함) 2018년 1월 23일까지 대신 진행했으며, · 같은 해 10월 20일 임시 1호 방송분은 김성수 前 아나운서실 팀장 이 대신 진행했다.
    • 6535회 방송분 시장특집 편에서 김재원(재진행) 남자 아나운서 마지막 재진행 MC일 때 마지막 방송 고지의 작별 인사를 하지 않았으며, 이후 후속 진행자는 최장기간 5년 3개월 넘게 남자MC 진행했던 윤인구 아나운서의 진행자를 2명에게 넘겼다.
  50. 前 아침마당의 前 새 남자 MC 최후의 마지막 前 새 남자MC
  51. 첫 진행시 첫 멘트를 아쉽게 이름을 부르지 않았으며, 과거 10년 전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중계 캐스터 관계로 출장을 간 사이 임시 남자MC로 진행한 적이 있으며, 휴가로 인하여 2019년 1월 21일부터 2019년1월 25일까지 방송분은 초대 남자 MC 진행자였던 박용호 前 아나운서의 아들인 제주총국 시절 리포터로 활동한 박태원 아나운서(現 지구촌 뉴스 남자앵커)가 대신 진행했으며, 2019년 8월 5일부터 2019년 8월 16일까지, 2021년 8월 9일 방송분은 당시 前 KBS 아침뉴스타임 남자 앵커, 現 더 라이브 MC로 진행중인 오언종 아나운서가 2회 연속 대신 진행하였으며, 개인 사정으로 인하여 2020년 8월 24일부터 2020년 8월 28일까지 방송분은 공채 20기로 최승돈 아나운서(現 現 1라디오 주말 생방송 정보쇼)가 대신 진행했으며, 2021년 8월 10일, 2022년 6월 10일(최후의 마지막 임시 남자MC) 방송분은 노래가 좋아 남자MC와 금요일 코너인 [60초를 잡아라] 패널로 출연했던 공채 41기 김선근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21년 8월 11일 방송분은 오승원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다른 MC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기존 남자 MC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었으며, 2023년 1월 2일<7694회> 방송분은 2명 모두 1명 중 이상협 아나운서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취소로 현재의 MC를 유지하게 되었다. 같은 해 10월 5일<7885회>(전국 우수시장 박람회 특집) 방송분은 1년 4개월여만에 한상헌 아나운서가 아닌 이상호 아나운서가 대신 오랬만에 임시로 진행했다. 이 중에서 임시 남자mc가 정규편성에서 단독으로 스튜디오에서만 진행을 하지 않고 있다. 7486회(공사창립 48주년 및 방송 60년 기획 이후 주간 편성- ※ 긴급 특집 산불현장 방영 이후) 방송분에서 고향 정 가게 - <언제나 그 자리에 36년 즉석떡볶이> 편에서 잠시 패널로 특별 현지에 나왔으며 · 7694회<k문화의 중심- 종로 특집 편> 특집편 현지 생중계의 방송분에서 최장기간 진행 중인 남자mc의 이름(첫 진행시 최장기간 넘게 이름을 부르지 않았음)에서만 나왔으며, 서울 종로구의 한 중국집에서 탐방 · 서울 종로구 경복고 출신 동문의 졸업앨범에 최초로공개했다, 같은 해 10월 9일 방송분은 새 남자mc 변경할 예저이었으나 현재의 평상시 진행을 유지하게 되었다. "진행기간 중에는 "안녕하세요"가 아닌 및 "윤인구입니다" 의 이름을 부르지 않고 현재 최장기간 남자MC를 진행하고 있다.
  52. 과거 아침마당 여자MC 13년간 최장기간 진행자, 현재 KBS 2FM(쿨FM) <사랑하기 좋은날 이금희입니다> 진행자
  53. 이금희 방송인(前 아나운서)는 공채 34기 여자 前 아나운서 정다은(34기 )(2023년 3월 퇴사)과 얼굴이 닮았으며, 이후 인간극장 내레이션으로 활동했다. 2020년 9월 3일<(특집)> 방송분의 <방송의 날 - 시청자 주간 특집 - 우리함께)> 잠시 내레이션으로 함
  54. 2000년 7월 퇴사
  55. 방송인 및 前 아나운서 손범수의 부인이다.
  56. 2002년 퇴사
  57. 2004년 퇴사하여 프리랜서를 선언하여 방송인이다.
  58. 전주총국 소속 아나운서로 근무중인 김태은 아나운서의 언니
  59. 공채 19기로, 1994년 20기 KBS전주총국에 재직으로 근무중인 김태은 아나운서의 언니다.
  60. 연세대학교 초빙교수, 제6대 노무현시민학교 교장,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초빙연구위원, 한국IPTV방송협회장
  61. 유정아 前 아나운서는, 방송인 KBS 뉴스 9 여자앵커, 이후 2014년 3월은 노무현 시민학교 교장에 선임했다.
  62. 보도국 기자 조성원(26기)의 부인, 아나운서실 한국어사업팀장
  63. 6기의 여자MC였던 남편 조성원 보도본부 기자와 결혼했으며, 현재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사업팀장 재직 중이다.
  64. 2019년 아나운서실 아나운서2부장 2022년 4월 까지 했음, 현재 사랑의 가족 내레이션
  65. 2010년 KBS 노조 파업으로 인하여 다리 부상으로 깊스 부상을 입어 휴직했다.
  66. 보도국 기자 조성원(26기)의 부인, 현재 아나운서실 한국어사업팀장
  67. 6기의 여자MC였던 남편 조성원 보도본부 기자와 결혼했으며, 현재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사업팀장 재직 중이다.
  68. 2016년 토종 씨앗축제 편에서 잠시 출연했다.
  69. 과거 아나운서실 아나운서2부장, 現 역사저널 그날 여자MC, 보도국 기자 최영철의 부인
  70. 최원정 아나운서(前 도전! 골든벨 2대 여자MC, 前 KBS 뉴스 9 주말 여자앵커와 現 이웃집 찰스 메인 MC)의 첫 여자MC의 첫 진행시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 KBS 뉴스 9 주말 여자앵커 진행 중에도 당시 임신 8개월로 다음 달 출산을 앞두어 여자MC를 끝으로 진행 하차 후 후속 진행자로 넘겼다.
  71. 최원정 아나운서실 아나운서2부장의 휴가와 출장으로 인하여 2006년 3월 방송분은 공채 31기 위서현(29기)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72. 현재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여자MC, 1FM(Classic FM) 생생 클래식 MC
  73. 2007년 봄철 개편 1개월 직전 여자MC가 변경되었다.
  74. 2014년 퇴사
  75. 2008년 3월 31일 KBS 1TV의 봄개편으로 인하여 여자MC가 변경되었으나, 이지애 前 아나운서(前 舊 생생 정보통(이후 前 2TV 생생정보) MC)의 첫 여자MC의 진행시 이름을 부르지 않았으며, 2014년 1월 초 퇴사 후 프리랜서를 선언하여 현재 방송인이며, 남편은 현재 재직중인 MBC 아나운서 김정근이다.
  76. 2014년 3월 퇴사
  77. 공채 32기의 前 아나운서이며, 2021년 5월 20일 《시청자와 함께 30년》 특집으로 방송인/前 아나운서가 잠시 특별출연했다.
  78. * 가애란 아나운서의 여자MC 첫진행의 휴가 · 출장으로 인하여 2013년 11월 26일 방송분은 여성 MC 4기와 10기 MC였던 김성은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 첫 진행 이후 재진행으로 했다.
  79. KBS 15기 어린이 합창단 단원, 과거 아침마당의 6번째 새 여자 MC 최후의 마지막 前 새 여자MC, 현재 KBS 뉴스 7 여자 재진행 앵커
  80. * 김솔희 아나운서(前 아침마당의 6번째 새 여자 MC 최후의 마지막 前 새 여자MC, 現 KBS 뉴스 7 여자 재진행 앵커)의 파업으로 인하여 2014년 5월 29일~6월 5일(6월 4일 결방일 제외) 방송분은 김솔희 아나운서 없이 (故)이성민 아나운서가 단독으로 진행했으며, 휴가와 출장으로 인하여 같은 해 10월 13일부터 17일까지, 2015년 1월 26일부터 30일 · 7월 8일부터 10일까지 방송분은 박주아 아나운서(現. 제1라디오 라디오전국일주 진행자)가 대신 진행했으나 정식적인 여자 MC와 박씨 여자 아나운서 최초의 MC가 아니라 임시 여자 MC 진행자이며, 2016년 1월 18일부터 22일까지 방송분은 유지원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으며, 개인 사정으로 인하여 같은 해 3월 2일 · 2016년 8월 15일부터 23일까지, 같은 해 11월 7일부터 11일까지, 다음 해 2017년 1월 11일부터 20일까지 방송분은 2017년 설날 직전 및 직후의 이후 설특집에서만 전주리 아나운서(前. KBS 뉴스 5 여자앵커와 당시 前 남북의 창 여자앵커)가 대신 진행했다.*KBS의 공영방송 총 파업과 노조 파업으로 인하여 도전! 골든벨 885회 한글날특집 3회 임시 여자MC로 진행한 같은 해 8월 30일 ~ 다음 해 2018년 1월 23일 까지 5개월 까지 방송분은 여성 MC 4기와 10기 MC였던 김성은 아나운서 대신 진행했다.
    • 김솔희 아나운서의 평창 동계올림픽 중계방송 참여로 인하여 동년 2월 9일부터 2월 23일까지 방송분은 現 MC(재진행)인 가애란 아나운서(現 여자 재진행 MC)가 대신 진행했으며, 4년 만에 여자MC 하차하고, KBS 뉴스 9의 여자앵커 3년만에 여자앵커로 변경, 아침마당 진행을 마치고 동년 4개월만에 4년 후 KBS 뉴스 7 여자 재진행 앵커로 재진행중이다.
  81. 과거 KBS 뉴스 7 여자앵커(첫진행시 여자앵커 이름 부른 곳의 최후의 마지막 앵커), 현재 해 볼만한 아침 M&W 여자MC
  82. 여자MC ㄱ개월의 최단기간 여자MC
  83. 2019~2020~2021년이 아닌 다음 해 2022년 8월 19일로 변경, 출산휴가로 인하여 하차
  84. * 2013년 4월 8일부터 2014년 4월 4일까지 이후 4년만에 여자MC 재진행 및 3번째로 여자MC의 아나운서와 재진행 에서만 휴가로 인하여 2018년 11월 12~14일 방송분은 강서은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하였으며, 2019년 5월 20일(6777회 방송분은 이후 다시보기 불가) ~ 5월 24일 방송분은 공채 34기 여자 동기생 정다은(34기)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으며, 같은 해 9월 16일부터 2019년 9월 27일까지와 2020년 11월 23일부터 2020년 11월 27일까지 방송분은 방송분은 이선영 아나운서(現. 2TV 생생정보)가 대신 2회 진행, 7377회(경북 영주 풍기 인삼 축제 현지 특집), 코로나 19 확진 양성 판정으로 2022년 4월 1일부터 8일까지 방송분은 김지윤 아나운서(現. KBS 뉴스 5 여자 재진행 앵커)가 대신 진행했다. 방송분으로 임시 여자MC, 2022년 2월 18일 전주리 아나운서(前. KBS 뉴스 5 여자앵커)가 대신 진행했다.
    • 2020년 김지원 아나운서가 가애란 아나운서의 4월 3일까지 물러나고 4월 6일 진행자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교체되는 것은 아니며, 박씨 여자 아나운서가 최초로 박지현 아나운서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교체되는 것은 아니며, 가애란 아나운서의 재진행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재진행하고 있다.
    • 가애란 아나운서가 2번 이상 재진행으로 2020년 이후 얼굴 모습 차이로 달라짐 및 목소리가 닮아짐, 현재 시니어토크쇼 황금연못의 초대 여자MC로 진행중이며, 2019년부터 2020년까지 물러나지 않고 다른 MC로 예정되어 있으나 기존 여자 2번 이상 재진행 MC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었었다. 2022년 출산으로 인하여 4개월 동안 중단했다가 다시 MC로 복귀했다.
  85. 현재 KBS 930 뉴스 여자 앵커
  86. 김진희(30기) 아나운서의 7601회 방송분의 첫 여자MC의 진행시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 새 여자MC의 관련된 기사가 나오지 않았다. 거의 4개월 넘게 최단기간 진행자
  87. 이후 현재 시니어토크쇼 황금연못 여자 재진행MC(이상 2개의 프로그램 출산휴가 4개월 만에 이후 재개함)
  88. 지난 해 2022년 8월 19일 출산휴가로 인하여 4개월 동안 중단하다가, 여자MC 이후 첫,재진행 이후 3번 이상 재진행, <7694회> 방송분은 신년특집을 붙히지 않고 해당 방송분의 그냥 평상시 정규편성으로 변경과 새 여자MC가 아닌 여자 재진행 MC로 변경, 3번이상 여자MC 재진행인데도 시청자여러분 반갑습니다 이후 대본 아닌 "가애란입니다"를 부르지 않고 아쉽게 이름을 부르지 못했다. 3번 이상 재진행한 여자MC의 관련된 기사가 나오지 않았다. "진행기간 중에는 안녕하세요가 아닌 및 가애란입니다 부르지 않고 복귀하여 이후 재진행 중이다. 7694회 k문화의 중심- 종로 특집 장 이벤트<왕가의 보양식을 찾아서 참여 인터뷰> 방송분은 에서만 윤숙자 요리연구가와 함께 참여 했으며, 휴가로 인하여 같은 해 8월 3일<7844회> ~ 8월 9일 <7848회> · 8월 11일<7849회>· 11월 7일<7907회 2023 경북사과 홍보행사 특집> 방송분은 여자 임시진행 이후 1년 7개월 만에 대신 진행하여 7840회(2023 재난극복 우리함께 · 수해 현장 특집 2부) 특별 패널로 출연하여 前. KBS 스포츠 9 여자앵커로 진행했던 및 7840회(2023 재난극복 우리함께 · 수해 현장 특집 2부) 패널로 출연한 홍주연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으며, 같은 해 8월 14일<7849회> 이후 방송분은 새 여자MC 변경할 예정이었으나 아쉽게 변경하지 않고 현재의 진행을 유지하게 되었다. 같은 해 10월 9일 방송분은 새 여자mc 변경할 예저이었으나 현재의 평상시 진행을 유지하게 되었다.
  89. , 2020년 3월 30일부터 기준
  90. 구성 김은선/촬영 김정유,윤승한/연출 조수민
  91. 구성 김혜인,촬영 김한경, 안정호/조연출 정채린/연출 권인즈
  92. 성 박은주/촬영 강병오/조연출 황한수/연출 정인재
  93. 구성 박지영/촬영 노재윤,이강윤,최헌민/연출 이지효,오형석
  94. 7604회 방송분은 나상도 가수가 대신 임시 패널로 출연했다.
  95. 구성 송현진/촬영 이윤호,이승현,한진운/동시녹음 남승준/연출 김미래,김소미
  96. 구성 오빛나/촬영 유병운,김태룡/연출 김주일
  97. 구성 박정은/촬영 양성직/조연출 이계초/연출 김상규
  98. 구성 목련/촬영 김대종,윤진한/조연출 조아현/연출 홍성수
  99. 구성 박소영/촬영 허성억,김기민,조유성/보조셰프 손성용/연출 남재훈
  100. 프로듀서 김미해/ 촬영 김현우/VJ 이수환/구성 나예리/조연출 김소담/연출 조민성
  101. 구성 전현경/촬영 김태연/조연출 김수연/연출 이연주
  102. 프로듀서 염정원/촬영 유현진/VJ 노윤중(연출 변경)/구성 김선하/연출 황국찬 (※ 이하 제작진 인원 생략 축소)
  103. 연출 전보원/제작 모코미디어/구성 홍민혜
  104. <7603회>~<7617회> 까지 방송분은 송유현 리포터가 했으며, 이후 <7622회> ~ 부터 기준
  105. 제작진 프로듀서 김무성/구성 유승주/촬영 이성근/연출 박충원
  106. PD 윤진영/작가 김소희 /촬영 신병호/ 연출 곽철웅
  107. 외주제작 제작진 프로듀서 김광수 구성 정윤경 촬영 백윤호 제작 백민호
  108. 프로듀서 박정혁,구성 이선이 제작 오병석
  109. 프로듀서 김지훈 구성 정향림 외주제작 안춘추
  110. 외주제작 제작진 구성 오신정 촬영 조미영 연출 현상용
  111. 콩고, 오스트리아, 영국, 호주, 중국 등 전세계 동포들이 전하는 사랑의 메시지도 소개된다. 또 자유무역협정(FTA)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했음
  112. 6981회 (공사창립특집)[공사창립기획 지금 만나러 갑니다] 방소분은 특집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함
  113. 7,000회 특집 방송분의 부제 올리지 않았으며, 특집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함
  114. >※ '특집' 무표기로 7,000회 만 표기했으며, 상단 특집 표기를 올리지 않았음., 특집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함
  115. 7355회 '시청자 주간 특집 - 우리함께' 상단 로고 옆의 무표기., 특집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함
  116. 7232회 (공사창립특집)[공사창립기획 지금 만나러 갑니다] 방송분은 특집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함
  117. 30주년 특집 5일간 특집 방송분의 특집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함
  118. 7694회 방송분은 신년특집 상단 무표시로 여자 새mc가 아닌 재진행 mc로 변경했다.
  119. 공사창립 50주년 특집 5부 5일간 방송분의 '당신의 오랜 벗,공사창립 기획(1부~5부 포함)' 무표기, 특집 OP멘트가 아닌 평상시 기존 OP멘트를 함
  120. 7864회 시청자주간 기획 특집 방영분은 상단 '특집명'을 표기하지 않고 평상시 로고만 표시하여 그냥 방송했다
  121. 7864회 이후 방송분은 '시청자주간 기획' 무표시 없이 편성했다.
  122. 7865회 이후 방송분은 상단 방송 송출화면의 '고향 사랑의 날 특집' 특집을 표기하지 못했으며 특집편의 스튜디오에 중앙측의 고향 사랑의 날 특집의 '특집' 올리지 못함
  123. 7883회 추석특집 방송분은 '추석기획'을 표기하지 않았으나, 저작권 문제로 다시보기 불가
  124. 그외 남자 새MC의 예외 사항 1980년대 최초로 새 진행자가 아닌 경우 오늘부터 새롭게 진행하게 될 오승원입니다 이후 멘트 아님
  125. 現 KBS 뉴스 9 주말 남자 앵커
  126. 3월 16일 결방으로 인하여 다음 검색 프로그램 소개의 '결방:3.16' 무표기로 고지를 알리지 않았다.
  127. 과거 KBS 뉴스 12 남자앵커

외부 링크 편집

KBS 1TV 평일 프로그램
이전 6시 내고향 다음
동물의 왕국 KBS 뉴스 7
저녁 5시 30분 ~ 6시 저녁 6시 ~ 7시 저녁 7시 ~ 7시 40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