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47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20년 12월) |

1947년형 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러시아어: Автомат Калашникова образца 1947; АК-47 압따마뜨 칼라시니코바 아브라즈짜 띠샤차 데뱌띠소뜨 소라크 셈; 아카 소라크 셈[*])은 미하일 칼라시니코프가 1947년에 발명한 돌격소총이다. 단순함과 높은 신뢰성, 저렴한 가격으로 유명하다.
47년형 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 | |
---|---|
![]() | |
종류 | 돌격소총 |
국가 | ![]() |
역사 | |
사용년도 | 1949년 ~ |
사용국가 | ![]() ![]()
|
사용된 전쟁 | 1949년 이후 대부분의 전쟁 |
개발년도 | 1947년 |
생산 | 이즈마시 |
생산년도 | 1949년 ~ 1959년 |
생산개수 | 2억정 (불법 복제판까지 포함) |
파생형 | AKM AK-74 AK-101 AK-103 AK-47S |
제원 | |
중량 | 4.3 kg |
길이 | 880 mm |
총열길이 | 415 mm |
탄약 | 7.62 x 39 mm |
작동방식 | 가스 피스톤, 회전 노리쇠 방식 |
구경 | 7.62 mm |
총열 | 4조 우선, 235 mm(9.3인치)에 1회전 |
장전방식 | 20/30/45발 들이 바나나형 탄창 75발 들이 드럼탄창 |
조준기 | 탄젠트식 가늠좌/가늠쇠 |
연사속도 | 분당 600발 |
총구속도 | 715 m/s |
유효사거리 | 300 m |
최대사거리 | 1500 m |
AK-47은 가장 많이 생산된 돌격소총이다. 정품과 불법 복제판까지 합치면 대략 2억정이 생산됐다. 그리고 총에 무지한 사람도 1시간 정도의 설명을 들으면 바로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고 총기 사용이 가능한 정도로 간단하다.[1] 또 진흙이나 사막 같은 곳에서도 잘 작동된다. AK-47을 만들 당시 M1 개런드 소총과 MP40을 참고해 만들었다고 한다. AK-47은 프레스 방식으로 총을 만들기 때문에 전시상황에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AK47은 노리쇠가 무거워 무언가가 껴도 발사할 수 있다. 그리고 총100개의 부품중 4개만 작동해도 발사가 된다. AK47의 사살 가능 사거리는 350m고 최대 사정거리는 1,500m이다.
대중 문화편집
영화편집
AK47은 동구권의 주력 총기이자 테러리스트의 3대 무기 중 하나이므로 소련군, 북한군, 중국군,그리고 중동 전쟁영화에서 대부분 나온다.
실미도 부대원들이 AKS-47을 사용함
게임편집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콜 오브 듀티 시리즈에서 총으로 등장한다.
- 많은 슈팅 게임에서 반동이 강한 7.62mm탄 총으로 등장한다.
종류 및 변형편집
여러 변형들이 있지만, 보통 7.62×39mm탄을 사용하는 변형들은 모두 AK-47로 불린다. 실제 가장 많이 생산된 변형은 개량형인 AKM이다. 접철식 개머리판을 가진 모델은 모델명 뒤에 S가 붙는다.
AK-47 type A편집
1948년 ~ 1951년사이에 생산된 AK-47이다. 철판 프레스로 몸통을 만들었으나, 이 당시 소련의 프레스 기술력이 부족해 내구성이 떨어졌다. 지금은 극히 드물다.
AK-47 type B편집
1952년부터 생산된 AK-47이다. 통쇠를 깎아서 몸통을 만들었으며, 이로 인하여 무게가 A형에 비해 무거워지는 결과를 내었다. 개머리판과 총열덮개는 나무로 만들어졌다. 부식을 막기 위해 총열과 약실을 크로뮴으로 도금했다.
AK-47 type C편집
1955년부터 생산된 AK-47이다. AK-47의 최종판으로, 기존의 type B를 개량한 것이다. 흔히 말하는 AK-47은 이 C형을 말한다.
AKM편집
AK47 type D로도 불리는 AK-47의 변형이다.
러시아 외편집
- 북한의 58식 보총(보병용 소총)은 절삭가공 리시버를 가진 AK-47의 복제품이고, 북한 68식 보총은 AKM의 복제품이다. 조정간에서 단발은 '단', 연발은 '련'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접절식 개머리판 버전도 있다.
- 중국 56식 돌격소총은 AK-47의 라이센스 복제품이다.
- 대한민국 특수전사령부의 전투원[2]들에게 추가적으로 편제된 화기로서 이는 적성화기이므로 적진에서 적의 무기를 노획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특수전 사령부는 다량의 AK계열 소총을 보유하고 있다.
사용된 전쟁편집
장점편집
|
단점편집
|
추가로 장착이 가능한 것들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이철재 (2019년 6월30일). “빈라덴 옆에도 있던 총···생닭 한마리 값 AK-47의 비밀”. 《중앙일보》. 2022년 7월 24일에 확인함.
- ↑ 대한민국의 특수전사령부에서 병사는 비전투원으로 분류되어 있다. 따라서 하사 이상의 계급을 가진 특전사 요원을 의미한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 현대사를 바꾸고 있는 소총 AK-47
- 조선인민군의 개인화기 (58식, 68식, 88식 보총) -- 링크소실
- AK-47 Museum Archived 2011년 7월 7일 - 웨이백 머신 virtual tour
- Modern Firearms - Assault rifles - AK47 Archived 2008년 3월 6일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