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rial Ballet
《Aerial Ballet》은 1968년 7월에 발매된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해리 닐슨의 세 번째 스튜디오 음반이다.
![]() | ||||
---|---|---|---|---|
![]() | ||||
해리 닐슨의 정규 음반 | ||||
발매일 | 1968년 7월 | |||
녹음 | 1967년 9월~1968년 3월 | |||
장르 | 소프트 록[1], 포크 팝[1] | |||
길이 | 29:02 | |||
언어 | 영어 | |||
레이블 | RCA 빅터 | |||
프로듀서 | 해리 닐슨 | |||
해리 닐슨 연표 | ||||
|
전문가 평가 | |
---|---|
평가 점수 | |
출처 | 점수 |
AllMusic | ![]() ![]() ![]() ![]() ![]() |
The Essential Rock Discography | 6/10[3] |
Rolling Stone | (mixed)[4] |
배경 편집
《Aerial Ballet》은 RCA 빅터를 위한 해리 닐슨의 두 번째 음반이었고, 그의 조부모의 줄타기 서커스 행동을 따라 제목이 붙여졌다. 그것은 나중에 스리 도그 나이트의 넘버 파이브 히트가 된 〈One〉을 포함하여, 거의 전적으로 그가 쓴 노래들로 구성되어 있다.[5] 음반의 제목은 조이 크레이머에 의해 에어로스미스의 이름과 날개 모티브의 영감으로 인용되었다.[6]
《Aerial Ballet》의 가장 친숙한 트랙은 프레드 닐의 〈Everybody's Talkin'〉이라는 커버곡이다. 이 곡은 1968년 북미에서 싱글로 발매되었고, 캐나다에서는 40위 안에 들었지만, 처음에는 미국에서 실패했다. 그러나, 이 곡은 그 후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영화 《미드나잇 카우보이》에 사용되도록 선택되었고, 1969년 미국 톱 10을 강타하며 닐슨의 공연자로서 가장 큰 히트곡들 중 하나가 되었다.[7] 나중에 《더 코트쉽 오브 에디스 파더》에 수록된 또 다른 곡 〈Little Cowboy〉는 닐슨의 어머니에 의해 쓰여졌다.
원래 《Aerial Ballet》의 오프닝 넘버는 〈Daddy's Song〉였지만, 첫 번째 카피가 발행된 후 (닐슨의 인지도 없이) 이 트랙은 삭제되었다. 몽키스가 그들의 영화 《헤드》에 수록될 커버 버전을 녹음했고, 그 노래에 대한 독점적인 권리를 위해 3만 5천 달러를 지불했기 때문이다. 최근 재발행은 (몽키스의 계약이 오래 전에 만료된) 〈Daddy's Song〉를 라인업의 적절한 위치로 복구한다.
1968년 런던에서 닐슨이 비틀즈를 방문했을 때, 존 레논은 닐슨의 〈Revolution〉과 화이트 앨범에 수록된 곡들을 연주했고, 닐슨은 이 음반의 데모 컷인 《Pandemonium Shadow Show》를 36시간 동안 들었다.
곡 목록 편집
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해리 닐슨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 | 제목 | 재생 시간 |
---|---|---|
1. | Daddy's Song | 2:41 |
2. | Good Old Desk | 2:22 |
3. | Don't Leave Me | 2:18 |
4. | Mr. Richland's Favorite Song | 2:12 |
5. | Little Cowboy | 1:22 |
6. | Together | 2:08 |
#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7. | Everybody's Talkin' | 프레드 닐 | 2:41 |
8. | I Said Goodbye to Me | 2:13 | |
9. | Little Cowboy (Reprise) | 0:52 | |
10. | Mr. Tinker | 2:41 | |
11. | One | 2:50 | |
12. | The Wailing of the Willow | 닐슨, 이언 프리번스미스 | 2:00 |
13. | Bath | 2:24 |
각주 편집
- ↑ 가 나 Pitchfork Staff (2017년 8월 22일). “The 200 Best Albums of the 1960s”. 《Pitchfork》. 2023년 4월 15일에 확인함.
But the more low-key aspects of Aerial Ballet reflect the soft rock that would become increasingly popular in the next few years...Nilsson’s unusual yet direct approach to making music: embedding lyrical gut-punches into catchy folk-pop riffs...
- ↑ Stephen Thomas Erlewine. “Aerial Ballet – Harry Nilsson |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AllMusic. 2014년 3월 25일에 확인함.
- ↑ Strong, Martin C. (2006). 《The Essential Rock Discography》. Edinburgh, UK: Canongate. 758쪽. ISBN 978-1-84195-827-9.
- ↑ Hansen, Barret (1968년 9월 14일). “Records”. 《Rolling Stone》 (San Francisco).
- ↑ Staff. “Chart History”. 《Billboard》 (Prometheus Global Media, LLC). 2019년 6월 16일에 확인함.
- ↑ “Interview with Steven Tyler”. AeroNewsDaily. 2008년 3월 13일. 2008년 5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2일에 확인함.
- ↑ “Harry Nilsson Chart History”. 《Billboard》 (Prometheus Global Media, LLC). 2019년 6월 1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