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자핀

(Clozapine에서 넘어옴)

클로자핀조현병의 치료에 이용되는 비정형적 항정신병 약물로서, 가끔씩 오프라벨양극성 장애에도 처방된다. 1989년 FDA는 백혈구 수 검사 및 호중구 검사를 전제로 한 클로자핀의 처방을 승인했다.[1][2] 클로자핀은 과립구감소증의 위험이 있지만, 매우 효과적인 약이기도 하다.[3] 2002년에는 FDA가 조현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자살 행동의 위협을 줄이기 위한 용도로도 클로자핀의 처방을 승인했다.

클로자핀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8-Chloro-11-(4-methylpiperazin-1-yl)-5H-dibenzo[b,e][1,4]diazepine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5786-21-0
ATC 코드 N05AH02
PubChem 2818
드러그뱅크 DB00363
ChemSpider 10442628
화학적 성질
화학식 C18H19ClN4 
분자량 326.823 g/mol
SMILES eMolecules & PubChem
물리적 성질
녹는점 183 °C (361 °F)
물에 대한 용해도 0.1889 mg/mL (20 °C)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60 to 70%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에 있는 CYP 동질효소
생물학적 반감기 6 - 26 시간 (정상상태에서 평균 14.2시간)
배출 대사상태에서 80%. 30%는 이자, 50%는 신장
처방 주의사항
임부투여안전성 C(오스트레일리아) B(미국)
법적 상태
투여 방법 Oral

환자들은 처방 후 첫 6주간 1주에 한 번씩 검사를 받고, 검사 상 수치가 떨어지지 않는 경우 그 다음 6주간 2주에 한 번씩 검사를 받게 된다. 그 이후에도 이상이 없으면 환자는 1달에 한 번씩 검사를 받게 된다.[4] 클로자핀은 과립구 감소증, 장 폐색[5]뇌전증[6]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아직 그 연관성이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심근염[7]당뇨병[8]과도 연계되어 있다. 또한, 이 제제는 타액분비과다나 체중 증가와 같은 덜 심각한 부작용도 띠고 있다.

적응증 편집

  • 약제 내성 조현병 환자 또는 심한 추체 외로계 장애를 일으키는 조현병 환자의 치료
  • 병력과 최근 임상 상태로 미루어 보아, 자살 충동의 위험성이 높은 조현병 또는 분열정동장애 환자의 자살 행동 위험 감소

약동학 편집

및 위장관에서 일차통과효과의 개인차가 있어 경구 생체이용률은 60-70%이다. 생물학적 반감기는 항정 농도에서는 약 14시간이다. 배설되기 전에 다양한 대사산물로 되는데, 주 대사산물이자 약물학적 활성물질인 norcolzapine 이 정상 클로자핀 농도의 3~6배의 혈청 농도에서 조혈전구세포에 독성 작용을 나타내어 무과립구혈증의 주요 원인이 된다.[9] 주로 CYP1A2 에 의해 대사되며, CYP3A4 역시 주요한 대사 경로로 짐작된다.

참고 문헌 편집

  1. “From Clozapine Package Insert: Frequency of Monitoring based on Stage of Therapy or Results from WBC Count and ANC Monitoring Tests” (PDF). TEVA Clozapine Patient Registry. 2012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18일에 확인함. 
  2. Wallis C & Willwerth J (1992년 7월 6일). “Awakenings Schizophrenia a New Drug Brings Patients Back to Life”. 《Time》. 2008년 9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9일에 확인함. 
  3.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What medications are used to treat schizophrenia?”. 2012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18일에 확인함. 
  4. “From Clozapine Package Insert: Frequency of Monitoring based on Stage of Therapy or Results from WBC Count and ANC Monitoring Tests” (PDF). TEVA Clozapine Patient Registry. 2012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18일에 확인함. 
  5. Townsend, G.; Curtis, D. (2006). “Case report: Rapidly fatal bowel ischaemia on clozapine treatment”. 《BMC Psychiatry》 6: 43. doi:10.1186/1471-244X-6-43. PMC 1621059. PMID 17052340. 
  6. Devinsky, O.; Honigfeld, G.; Patin, J. (1991). “Clozapine-related seizures”. 《Neurology》 41 (3): 369–371. doi:10.1212/wnl.41.3.369. PMID 2006003. 
  7. De Berardis, D.; Serroni, N.; Campanella, D.; Olivieri, L.; Ferri, F.; Carano, A.; Cavuto, M.; Martinotti, G.; Cicconetti, A.; Piersanti, M.; Saverio Moschetta, F.; Di Giannantonio, M. (2012). “Update on the adverse effects of clozapine: Focus on myocarditis”. 《Current drug safety》 7 (1): 55–62. doi:10.2174/157488612800492681. PMID 22663959. 
  8. Hartling, L.; Abou-Setta, A. M.; Dursun, S.; Mousavi, S. S.; Pasichnyk, D.; Newton, A. S. (2012). “Antipsychotics in Adults with Schizophrenia: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First-Generation Versus Second-Generation Medication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7 (7): 498–511. doi:10.7326/0003-4819-157-7-201210020-00525. PMID 22893011. 
  9. Gerson, SL; Arce, C; Meltzer, HY (1994). “N‐desmethylclozapine: a clozapine metabolite that suppresses haemopoiesis”. 《British journal of haematology》 86 (3): 555–61. doi:10.1111/j.1365-2141.1994.tb04786.x. PMID 8043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