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PT(English Speaking Proficiency Test←영어 말하기 능력 시험)는 한국 최초의 국가공인 영어 말하기 자격시험이다. 2001년 처음으로 시험을 실시하였고, 2004년 교육인적자원부, 2009년 교육 과학 기술부 국가공인을 취득하였다.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식의 영어 말하기 능력 평가로 특허 제 03858902에 등록되어 있다. [1]

시험방식 편집

  • 인터넷 기반 시험(Internet Based Test) : 세계 최초의 iBT 방식[2]으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동영상을 통해 직접 수행 평가를 실시한다.
  • 실전 말하기 시험(Practical Speaking Test) : 듣고 읽는 이해기능의 단순평가방식이 아닌 개인의 창의적인 생각을 말할 줄 아는 표현기능 위주의 평가방식이다. 생활의 전반에 걸친 분야에서 문제가 출제된다.
  • 멀티미디어 시험(Mutimedia Test) : 멀티미디어 기술을 이용한 동영상 문제 출제 등 쌍방향 동영상 대화 방식으로 진행된다. 화상을 통해 질문자와 응시자 간의 간접 인터뷰 환경을 조성, 질문과 응답으로 시험이 진행되므로 응시자가 실제 외국인을 대면했을 때와 유사한 상황에서 시험을 본다.

시험유형 편집

  • 출제문항 : 일반적인 내용 및 관심사들로 구성, 영어사용 환경의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겪을 수 있는 여러 가지 다양한 상황들에 대한 언어 대처능력 중심으로 출제
  • 시험유형: 언어가 사회화되어가는 과정에 있어 인간이 말을 익혀가는 순서(Linguistic Social Function)에 따라 개발
  • ESPT General 9개 파트로 나뉘어 있다.
  • Part 1 Yes/No Question
  • Part 2 Choics Question
  • Part 3 Personal information
  • Part 4 Picture identification
  • Part 5 Giving Direction
  • Part 6 Basic Surivival Situation
  • Part 7 Persuading
  • Part 8 Situation Response
  • Part 9 Reading Passage
  • 어휘 : 3000어휘 이내

종류 편집

  • ESPT General : 중학생 이상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다. ESPT General은 총 9개 파트, 14개 문항으로 구성되며, 난이도가 낮은 문제부터 점차 난이도가 높은 문제로 구성되어 있다. 시험 시간은 총 40분(오리엔테이션 포함)이 소요되며, 1000점 만점, 10개 등급으로 평가된다.
  • ESPT Teens :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ESPT Teens는 총 8개 파트, 17개 문항으로 구성되며, 난이도가 낮은 문제부터 점차 난이도가 높은 문제로 구성되어 있다. 시험 시간은 총 40분(오리엔테이션 포함)이 소요되며, 1000점 만점, 10개 등급으로 평가된다.
  • ESPT Junior 1,2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ESPT Junior는 한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교육과정의 영어 성취 기준을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의사소통의 바탕이 되는 듣기와 말하기 능력을 정확하고 공정하게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시험이다. 이 시험 개발을 위해 ESPT R&D Center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교과서와 부교재를 수집/조사하여 평가의 범위(주제, 어휘, 문법구조, 언어기능)를 정하고, 상세한 기준을 세워 문항을 개발했다.

평가방식 편집

1000점 만점, 10개 등급으로 구성된 절대평가방식으로, 인터뷰 평가의 주관적 편견을 배제한 객관적 평가방식이다.

  • 절대평가

단순한 Level별 등급만을 측정하는 시험이 아닌 응시자의 답변을 수치화할 수 있는 점수제를 병행하며, 평가자(Rater)들의 공통된 절대적 기준을 시스템화하여 평가하므로 평가자의 주관적 개입을 최소화한 방식.

  • 평가영역

주관적 채점의 개연성을 최소화하여 공정하고 신뢰성 있는 평가를 진행하기 위해 분석적 방식(Analytical Scoring)을 활용하여 이해력(Comprehension), 유창성(Fluency), 정확성(Accuracy), 발음(Pronunciation)의 4가지 영역을 측정.

평가 영역 편집

주관적 채점의 개연성을 최소화하여 공정하고 신뢰성 있는 평가를 진행하기 위해 분석적 방식(Analytical Scoring)을 활용하여 이해력(Comprehension), 유창성(Fluency), 정확성(Accuracy), 발음(Pronunciation)의 4가지 영역을 측정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