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원자력 기구

(IAEA에서 넘어옴)

국제원자력기구(國際原子力機構, 영어: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는 원자력을 군사적인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막고 평화적인 목적의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 1957년 7월 29일에 설립된 국제 연합 산하 독립기구이다. 본부는 오스트리아 에 있다.

Picto infobox UN.png
국제원자력기구
國際原子力機構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기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Logo.svg
조직형태 전문 기구
수장 아르헨티나 라파엘 그로시
지위 활동중
설립 1957년 7월 29일
본부위치 오스트리아
http://www.iaea.org

2005년 무함마드 엘바라데이 사무총장과 함께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2021년 9월 27일 한국이 사상 최초로 국제원자력기구(IAEA) 이사회 의장국으로 선출됐다. 한국이 IAEA 의장직을 맡은 것은 지난 1957년 IAEA 창설 회원국으로 가입한 이후 처음이며, 임기는 2022년 9월까지 1년이다.</ref>[https://news.v.daum.net/v/20210927182404104?f=p 가입 64년만에 처

개요편집

1953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의 유엔 총회 연설 “평화를 위한 원자력”(Atoms for Peace)를 계기로 1957년유엔 본부의 국제회의에서 채택되어 설립되었다. 이후 1956년 10월에 82개국이 참석한 UN 총회에서 설립 헌장이 승인됐다. 헌장에 기록된 IAEA 주요 활동은 원자력 검증과 안보, 안전, 기술이전 등이었다. 1957년 2월부터 IAEA 준비위원회가 활동을 시작, 같은 해 7월 29일 헌장이 발효되면서 IAEA가 유엔의 독립 전문기구로 창설됐다.

대한민국1956년 창설 회원국으로 가입하였고, 북한1974년에 가입했다가, 1993년 2월 IAEA가 특별핵사찰을 요구한 데 대해 1993년에 NPT(핵확산금지조약) 탈퇴를 선언하고, 1994년 6월에 IAEA 탈퇴를 선언했다. 같은 해 10월 북한과 미국 사이에 제네바 합의로 복귀를 선언했다. 그러다가 고농축우라늄 프로그램 문제가 불거져 제네바 합의가 파기되면서, 2003년 다시 NPT 탈퇴를 선언했다. 북한은 IAEA 및 NPT 탈퇴를 선언한 첫 번째이자 유일한 국가이다. 2016년 2월 기준, 168개국이 가입되어 있다.[1]

국제원자력기구는 다른 국제연합기구와는 달리 자체의 헌장과 이사회를 갖는 자치기구이다. 국제연합의 다른 전문기구가 국제연합 헌장에 의거, 경제사회이사회만을 통하여 국제연합과 1개의 제휴협정을 체결하고 있는 반면, 국제원자력기구는 국제연합 총회와 안전보장이사회(UN Security Council) 및 경제사회이사회(Economic and Social Council)와 중복의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형식상으로 국제연합의 전문기구는 아니다.

국제원자력기구는

  1. 전 세계에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연구개발 실용화를 장려하고 이에 필요한 물자, 서비스 설비를 제공하고,
  2. 과학적 기술적인 정보 교환을 촉진하며,
  3. 핵분열 물질이 군사적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보장조치를 강구한다.

1970년에 발효된 NPT(핵확산금지조약)에 기초하여 핵무기 비보유국은 IAEA와 평화적 핵이용활동을 위한 안전협정(safeguards agreement)을 체결해야 하며, IAEA는 핵무기 비보유국이 핵연료를 군사적으로 전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핵무기 비보유국의 핵물질 관리실태를 점검하고 현지에서 직접 사찰할 수 있다.

조직편집

주요 조직으로는 총회, 이사회, 사무국이 있다.

총회는 모든 회원국 대표로 구성되며, 이사국 선출, 회원국으로서의 특권 및 권리 정지, 신규 회원국 가입 승인과 예산 승인, 국제연합에 제출한 보고서 승인, 국제원자력기구와 국제연합 간 또는 기타 기구와의 협정 승인, 헌장 개정, 사무총장의 임명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사회는 35개국의 이사국으로 구성되며, 국제원자력기구의 임무를 수행하는 권한을 갖는 의사 결정체로서 국제원자력기구 직무 수행과 정책 결정의 전권을 보유하고 있다. 이사국 선정은 전임위원회가 원자력 관련 기술의 진보에 따라 13개국을 지정(이사회 지정 이사국 또는 지정 이사국이라는)하며, 기타 22개국을 지역적인 구성을 고려하여 총회가 선출한다.

사무국은 총회의 승인을 얻어 이사회가 임명한 사무총장 아래에 다음과 같은 6개의 부서가 있다. 주요 정책과 예산은 이사회와 총회를 거쳐 수립된다. 사무총장은 1981년부터 1997년까지 한스 블릭스 사무총장이 그 이후에는 무함마드 엘바라데이, 2009년 12월부터는 아마노 유키야가 취임했다. 임기는 4년이다. 사무 총장 아래에 각 국장은 사무 차장을 거느린다.

  • 관리국(Department of Management)
  • 기술협력국(Department of Technical Cooperation)
  • 원자력 에너지국(Department of Nuclear Energy)
  • 원자력 안전보안국(Department of Nuclear Safety and Security)
  • 원자력 과학응용국 (Department of Nuclear Science and Applications)
  • 안전보장국(Department of Safeguards)

국가편집

지정이사국편집

  미국,   스페인, 아르헨티나, 영국, 인도,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캐나다, 프랑스, 호주

회원국(총 186개 국가)편집

 
IAEA 회원국

(기울임체 나라는 IAWA 이사회에서 승인되었으며, 필요한 법적 장치가 갖추어지면 효력을 갖게 된다.)

비회원국편집

사무총장편집

국적 이름 임기
1   미국 스털링 폰 1957 - 1961
2   스웨덴 시그바르드 에클룬드 1961 - 1981
3   스웨덴 한스 브릭스 1981 - 1997
4   이집트 무함마드 엘바라데이 1997 - 2009
5   일본 아마노 유키야 2009 - 2019
6 아르헨티나 라파엘 그로시 2019 - 현재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Member States of the IAEA”. 2012년 4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