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리그 승격 플레이오프
J리그 승격 플레이오프(일본어: J1昇格プレーオフ)는 2012년부터 J리그 디비전 2의 규모가 22개 팀으로 확대되면서 도입한 방식으로, 잉글랜드의 풋볼 리그 챔피언십과 비슷하게 J리그 디비전 1으로 승격할 3개 팀 중 1개 팀을 가리는 플레이오프이다.
방식
편집기본 방식
편집- J리그 디비전 2의 우승 팀과 준우승 팀은 자동으로 J리그 디비전 1으로 승격된다.
- J리그 디비전 2의 3위~6위 팀은 다음과 같이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 1라운드는 정규 리그 3위 팀 대 6위 팀, 4위 팀 대 5위 팀으로 치르되, 상위 팀의 홈 구장에서 단판 승부로 치른다.
- 2라운드는 도쿄 국립경기장에서 단판 승부로 치른다.
- 1라운드와 2라운드 모두 전·후반 무승부시 연장전과 승부차기 없이 정규 리그 순위가 높은 팀을 승자로 처리한다.
J1 라이선스 관련
편집2012년부터 J1 라이선스 제도를 도입하여, J리그 디비전 1으로 승격할 수 있는 성적을 거두더라도 반드시 J1 라이선스를 취득하여야만 승격할 수 있게 되었다. J1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못한 팀이 승격권에 진입한 상태로 정규 리그가 종료될 경우 다음과 같이 처리된다.
- 3위~6위 팀 중 일부가 J1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못한 경우는 7위 이하의 팀이 J1 라이선스를 취득하였더라도 플레이오프 출전권이 승계되지 않고 그만큼 플레이오프 참가 팀 숫자가 줄어든다.
- 3위~6위 팀 중 1팀이 J1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못하여 나머지 3팀이 플레이오프에 참가하는 경우 3팀 중 순위가 가장 높은 팀이 부전승으로 2라운드에 진출하고 나머지 2팀이 1라운드를 치른다.
- 3위~6위 팀 중 2팀만 J1 라이선스를 취득한 경우에는 그 2팀 간의 플레이오프만으로 승격할 팀을 결정하게 된다.
- 3위~6위 팀 중 단 1팀만 J1 라이선스를 취득한 경우에는 플레이오프 없이 자동으로 승격된다.
- 3위~6위 팀 중 단 1팀도 J1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못한 경우에는 플레이오프가 열리지도 않고 J리그 디비전 1의 16위 팀도 강등되지 않는다.
- 우승 팀 또는 준우승 팀이 J1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못한 경우에도 자동 승격권이 승계되지 않는다. 또한, 그 팀의 수효만큼 J리그 디비전 1의 강등 팀 수효도 줄어든다.
라이선스
편집J1 라이선스 취득 (승격 가능)
편집클럽 라이선스 심사 결과 다음 팀들이 J1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이 있다. 만일 아래에 속하는 팀들이 J2에서 우승하거나 준우승하면 자동 승격, 6위 이내에 들면 승격 플레이오프에 참가한다. (2016년 기준, 굵은 글씨는 2015년 J1 참가 팀)
|
J1 라이선스 미취득 (승격 불가)
편집다음 팀들은 J1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못하여 J1로 승격할 수는 없는 팀들이다. 그 수가 매우 많은 관계로 J2에 참가하고 있거나 J2로 승격할 수 있는 팀에 한하여 기재한다.
역대 결과
편집팀명의 색상 구분 |
---|
J1 라이선스 취득 (승격 허가) |
J1 승격 조건부 허가 |
J1 라이선스 미취득 (승격 불허) |
2012년
편집자동 승격 | 1위 | 2위 | 승격 팀 수 |
---|---|---|---|
방포레 고후 | 쇼난 벨마레 | 2/2 | |
플레이 오프 |
3위 | 4위 | 참가 팀 수 |
교토 상가 | 요코하마 FC | 4/4 | |
5위 | 6위 | ||
제프 유나이티드 | 오이타 트리니타* |
- (*) 오이타 트리니타는 경영난으로 인해 JFA로부터 융자받은 3억엔을 완납하는 조건으로 승격 플레이오프 참가를 허가받았다.
|
오이타 트리니타가 2013 J리그 디비전 1으로 승격하였다. |
2013년
편집자동 승격 | 1위 | 2위 | 승격 팀 수 |
---|---|---|---|
감바 오사카 | 비셀 고베 | 2/2 | |
플레이 오프 |
3위 | 4위 | 참가 팀 수 |
교토 상가 | 도쿠시마 보르티스 | 4/4 | |
5위 | 6위 | ||
제프 유나이티드 | V-파렌 나가사키 |
|
도쿠시마 보르티스가 2014 J리그 디비전 1으로 승격하였다. |
2014년
편집자동 승격 | 1위 | 2위 | 승격 팀 수 |
---|---|---|---|
쇼난 벨마레 | 마쓰모토 야마가 | 2/2 | |
플레이 오프 |
3위 | 4위 | 참가 팀 수 |
제프 유나이티드 | 주빌로 이와타 | 3/4 | |
5위 | 6위 | ||
기라반츠 기타큐슈 | 몬테디오 야마가타 |
기라반츠 기타큐슈가 J1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못하여 승격할 수 없으므로 정규 리그 3위를 차지한 제프 유나이티드가 자동으로 2라운드에 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