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 구단 수상 내역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K리그 구단 수상 기록에서 넘어옴)
시즌별 시상 항목
편집올해의 페어플레이상
편집올해의 유소년 클럽상
편집시즌 | 클럽 | 유소년 클럽 | 비고 |
---|---|---|---|
2009 | 전남 드래곤즈 | 광양제철고등학교 축구부 | |
2010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매탄고등학교 축구부 | |
2011 | 포항 스틸러스 |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축구부 | |
2012 | 성남 일화 천마 | 풍생고등학교 축구부 | |
2013 | 포항 스틸러스 | 포항제철고등학교 축구부 | |
2014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매탄중학교 축구부 | |
2015 | 울산 현대 | ||
2016 | 포항 스틸러스 | ||
2017 | |||
2018 | |||
2019 | |||
2021 | FC 서울 | ||
2022 | FC 서울 |
올해의 풀 스타디움상
편집최다 관중을 유치한 구단에게 주는 상으로 2012년에 신설되었으며[1]K리그1과 K리그2를 통합하여 시상한다.
시즌 | 클럽 | 비고 |
---|---|---|
2012 | FC 서울 | |
2013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2014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2015 | 전북 현대 모터스 | |
2016 | FC 서울 | |
2017 | FC 서울 | |
2018 | 전북 현대 모터스 | |
2019 | FC 서울 | |
2020 | 미시상 | 2020시즌과 2021시즌이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무관중과 제한적 유관중 경기로 진행되어 미시상 |
2021 | ||
2022 | FC 서울 |
올해의 플러스 스타디움상
편집작년 대비 최다 관중 증가를 기록한 구단에게 주는 상으로 2012년에 신설되었으며 K리그1과 K리그2를 통합하여 시상한다.
K리그1
편집시즌 | 클럽 | 비고 |
---|---|---|
2012 | 제주 유나이티드 | |
2013 | 경남 FC | |
2014 | 전남 드래곤즈 | |
2015 | 전북 현대 모터스 | |
2016 | 수원 FC | |
2017 | 안산 그리너스 | |
2018 | 경남 FC | |
2019 | 대구 FC | |
2020 | 미시상 | 2020시즌과 2021시즌이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무관중과 제한적 유관중 경기로 진행되어 비교대상이 없는 2023시즌까지 미시상 |
2021 | ||
2022 |
올해의 그린 스타디움상
편집홈구장 잔디 관리를 가장 잘한 구단에게 주는 상으로 2012년에 신설되었으며 K리그1과 K리그2를 통합하여 시상한다.
시즌 | 클럽 | 비고 |
---|---|---|
2012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2013 | 울산 현대 | |
2014 | 포항 스틸러스 | |
2015 | 포항 스틸러스 | |
2016 | 포항 스틸러스 | |
2017 | 포항 스틸러스 | |
2018 | 안산 그리너스 | |
2019 | 안산 그리너스 |
올해의 팬 프렌들리 클럽상
편집마케팅과 팬서비스 활동을 가장 잘한 구단에게 주는 상이다.
통합 시상
편집시즌 | 클럽 | 비고 |
---|---|---|
2013 | 경남 FC | |
2014 | 전북 현대 모터스 | |
2015 | 전북 현대 모터스 | |
2016 | 성남 FC | |
2017 | 제주 유나이티드 | |
2018 | 부산 아이파크 | |
2019 | 대구 FC | |
2020 | 대구 FC |
K리그1
편집시즌 | 클럽 | 비고 |
---|---|---|
2021 | 울산 현대 | |
2022 | 울산 현대 |
K리그2
편집시즌 | 클럽 | 비고 |
---|---|---|
2021 | 대전 하나 시티즌 | |
2022 | 대전 하나 시티즌 |
사랑 나눔상
편집K리그 22개 구단의 ▲사회공헌 활동 횟수, ▲수혜자 수, ▲ 재능기부 참가인원 등 사회공헌활동 관련 지표에서 높은 실적을 기록한 구단에 주어지는 상이다
시즌 | 클럽 | 비고 |
---|---|---|
2013 | 대구 FC | |
2014 | 전북 현대 모터스 | |
2017 | ||
2018 | 전남 드래곤즈 | |
안산 그리너스 | ||
2019 | 성남 FC | |
부천 FC 1995 | ||
2020 | 포항 스틸러스 | |
대전 하나 시티즌 | ||
안산 그리너스 | ||
2021 | 대전 하나 시티즌 | |
충남 아산 FC |
그린 위너스상
편집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펼친 구단에 수여된다.
시즌 | 클럽 | 비고 |
---|---|---|
2021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공로상
편집시즌 | 클럽 | 비고 |
---|---|---|
2009 | 포항 스틸러스 |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
2012 | 울산 현대 |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
시즌 | 클럽 | 비고 |
---|---|---|
2021 | 서울 이랜드 | |
인천 유나이티드 |
분기별 시상 항목
편집풀 스타디움상
편집K리그1
편집시즌 | 차수 | 클럽 | 비고 |
---|---|---|---|
2012 | 1차 | ||
2차 | |||
3차 | |||
2013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FC 서울 | ||
3차 (26~38라운드) | |||
2014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5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6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7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8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9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20 | N/A | 미시상 | 2020시즌과 2021시즌이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무관중과 제한적 유관중 경기로 진행되어 미시상 |
2021 | |||
2022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K리그2
편집시즌 | 차수 | 클럽 | 비고 |
---|---|---|---|
2014 | 1차 | ||
2차 | |||
3차 | |||
2015 | 1차 | ||
2차 | |||
3차 | |||
2016 | 1차 | ||
2차 | |||
3차 | |||
2017 | 1차 | ||
2차 | |||
3차 | |||
2018 | 1차 | ||
2차 | |||
3차 | |||
2019 | 1차 | ||
2차 | |||
3차 | |||
2020 | N/A | 미시상 | 2020시즌과 2021시즌이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무관중과 제한적 유관중 경기로 진행되어 미시상 |
2021 | |||
2022 | 1차 | ||
2차 | |||
3차 | |||
2023 | 1차 | ||
2차 | |||
3차 |
플러스 스타디움상
편집K리그1
편집시즌 | 차수 | 클럽 | 비고 |
---|---|---|---|
2012 | 1차 | ||
2차 | |||
3차 | |||
2013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FC 서울 | ||
3차 (26~38라운드) | |||
2014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5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6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7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8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9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20 | N/A | 미시상 | 2020시즌과 2021시즌이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무관중과 제한적 유관중 경기로 진행되어 미시상 |
2021 | |||
2022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K리그2
편집시즌 | 차수 | 클럽 | 비고 |
---|---|---|---|
2014 | 1차 | ||
2차 | |||
3차 | |||
2015 | 1차 | ||
2차 | |||
3차 | |||
2016 | 1차 | ||
2차 | |||
3차 | |||
2017 | 1차 | ||
2차 | |||
3차 | |||
2018 | 1차 | ||
2차 | |||
3차 | |||
2019 | 1차 | ||
2차 | |||
3차 | |||
2020 | N/A | 미시상 | 2020시즌과 2021시즌이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무관중과 제한적 유관중 경기로 진행되어 미시상 |
2021 | |||
2022 | 1차 | ||
2차 | |||
3차 | |||
2023 | 1차 | ||
2차 | |||
3차 |
그린 스타디움상
편집K리그1
편집시즌 | 차수 | 클럽 | 비고 |
---|---|---|---|
2012 | 1차 | 제주 유나이티드 | |
2차 | |||
3차 | |||
2013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4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5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6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7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8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9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20 | |||
2021 | |||
2022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K리그2
편집시즌 | 차수 | 클럽 | 비고 |
---|---|---|---|
2014 | 1차 | ||
2차 | |||
3차 | |||
2015 | 1차 | ||
2차 | |||
3차 | |||
2016 | 1차 | ||
2차 | |||
3차 | |||
2017 | 1차 | ||
2차 | |||
3차 | |||
2018 | 1차 | ||
2차 | |||
3차 | |||
2019 | 1차 | ||
2차 | |||
3차 | |||
2020 | |||
2021 | |||
2022 | 1차 | ||
2차 | |||
3차 | |||
2023 | 1차 | ||
2차 | |||
3차 |
팬 프렌들리 클럽상
편집K리그1
편집시즌 | 차수 | 클럽 | 비고 |
---|---|---|---|
2013 | 1차 (1~12라운드) | 제주 유나이티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4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5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6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7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8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19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
2020 | |||
2021 | |||
2022 | 1차 (1~12라운드) | ||
2차 (13~25라운드) | |||
3차 (26~38라운드) |
K리그2
편집시즌 | 차수 | 클럽 | 비고 |
---|---|---|---|
2014 | 1차 | ||
2차 | |||
3차 | |||
2015 | 1차 | ||
2차 | |||
3차 | |||
2016 | 1차 | ||
2차 | |||
3차 | |||
2017 | 1차 | ||
2차 | |||
3차 | |||
2018 | 1차 | ||
2차 | |||
3차 | |||
2019 | 1차 | ||
2차 | |||
3차 | |||
2020 | |||
2021 | |||
2022 | 1차 | ||
2차 | |||
3차 | |||
2023 | 1차 | ||
2차 | |||
3차 |
월별 시상 항목
편집2020년부터 팬 테이스티 팀 시상이 폐지되어 현재는 월별 시상 항목이 없다.
주별 시상 항목
편집라운드 베스트팀
편집2007년 공격축구 유도를 위해 신설되어 현재까지 시상되고 있다.[3]
라운드 베스트매치
편집2010년 신설되었다.[4]
폐지된 시상 항목
편집시즌별 시상 항목
편집올해의 베스트팀 상
편집시즌 | 클럽 | 비고 |
---|---|---|
2007 | 경남 FC | |
2008 | 성남 일화 천마 | |
2009 | 전북 현대 모터스 | 우승팀 |
2010 | FC 서울 | 우승팀 |
2011 | 전북 현대 모터스 | 우승팀 |
2012 | FC 서울 | 우승팀 |
- 매라운드별 베스트팀을 선정하고 시즌 종합 베스팀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2007년에 제정되었다.[5]
월별 시상 항목
편집팬 테이스티 팀
편집2017년에 신설되었고 2019년에 폐지되었다.
각주
편집- ↑ 울산 현대, 정규 리그서 가장 많은 관중 증가 기록
- ↑ ‘스페셜올림픽코리아 K리그 통합축구 Unified Cup‘은 K리그 10개 구단의 통합축구단이 참가한 대회로, 올해 8월과 10월 충북 제천에서 열렸다. 통합축구는 발달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한 팀을 이뤄 참가하는 축구경기다. 통합축구의 취지에 맞게 팀 성적은 1위, 2위가 아닌 ‘첫번째 승리자’, ‘두번째 승리자’ 등으로 표시한다.
- ↑ K리그, 공격 축구 위한 '베스트팀' 선정한다
- ↑ K리그 개막특집-새 시즌 앞둔 K리그, ‘환골탈태’를 외치다
- ↑ “경남 ‘돌풍’ 실속도 만점…K리그 하우젠 베스트팀 종합 1위”. 스포츠칸. 2007년 11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