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필수 의약품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WHO 필수 약물 목록(영어: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EML)은 세계 보건 기구가 지정한 필수 약물의 목록이다. 이 내용은 2013년 3월 제정되고 2013년 9월 개정된 제18판이다.[1]
마취제
편집전신마취제 및 산소
편집흡입제
편집주사제
편집국소마취제
편집수술 전 치료 및 단기 치료를 위한 진정제
편집통증 완화 및 완화 치료 제제
편집비 아편계 및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SAIDs)
편집아편 진통제
편집완화치료에 쓰이는 기타 일반 증상 제제
편집해독제 및 중독에 쓰이는 다른 물질
편집천연물
편집제제
편집항경련제
편집항감염제
편집구충제
편집장 구충제
편집항필라리아제
편집항주혈흡충제 및 기타 항흡충제 치료제
편집항균제
편집- 아목시실린
-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 (아목시실린 + 클라불란산)
- 암피실린
- 벤자틴벤질페니실린
- 벤질페니실린
- 세팔렉신
- 세파졸린[주석 6]
- 세픽심[주석 7]
- 세프트리악손[주석 8]
- 클록사실린
- 페녹시메틸페니실린
- 프로카인 벤질페니실린[주석 9]
- 세포탁심†[주석 10]
- 세프타지딤 †
- 이미페넴/실라스타틴 (이미페넴 + 실라스타틴) †[주석 11]
기타 항균제
편집- 아지트로마이신[주석 12]
- 클로람페니콜
- 시프로플록사신
- 클래리스로마이신[주석 13]
- 독시사이클린
- 에리트로마이신
- 젠타마이신
- 메트로니다졸
- 니트로푸란토인
- 스펙티노마이신
- 설파메톡사졸 + 트리메토프림
- 트리메토프림
- 클린다마이신 †
- 반코마이신 †
항결핵제
편집- 에탐부톨
- 에탐부톨 + 이소니아지드
- 에탐부톨 + 이소니아지드 + 피라진아미드 + 리팜피신
- 에탐부톨 + 이소니아지드 + 리팜피신
- 이소니아지드
- 이소니아지드 + 피라진아미드 + 리팜피신
- 이소니아지드 + 리팜피신
- 피라진아미드
- 리파부틴
- 리팜피신
- 스트렙토마이신
- 아미카신 †
- 카프레오마이신 †
- 시클로세린 †
- 에티온아미드 †[주석 14]
- 카나마이신 †
- 레보플록사신 †
- p-아미노살리실산 †
항진균제
편집항바이러스제
편집항헤르페스제
편집항레트로바이러스제
편집뉴클레오시드/뉴클레오티드 역전사 효소 억제제
편집- 아바카비르 (ABC)
- 디다노신 (ddI)
- 엠트리시타빈 (FTC)[주석 15]
- 라미부딘 (3TC)
- 스타부딘 (d4T)
- 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 푸마르산염 (TDF)
- 지도부딘 (ZDV or AZT)
비-뉴클레오시드 역전사 효소 억제제
편집프로테아제 억제제
편집고정 용량 복합제
편집- 에파비렌즈 + 엠트리시타빈[주석 16] + 테노포비르
- 엠트리시타빈[주석 17] + 테노포비르
- 라미부딘 + 네비라핀 + 스타부딘
- 라미부딘 + 네비라핀 + 지도부딘
- 라미부딘 + 지도부딘
기타 항바이러스제
편집항원충제
편집항아메바제 및 항편모충증 약물
편집항-리슈마니아증 약물
편집항말라리아제
편집치료 목적
편집- 아모디아퀸[주석 21]
- 아르테메터[주석 22]
- 아르테메터 + 루메판트린[주석 23]
- 아르테수네이트[주석 24]
- 아르테수네이트 + 아모디아퀸[주석 25]
- 아르테수네이트 + 메플로퀸
- 클로로퀸[주석 26]
- 독시사이클린[주석 27]
- 메플로퀸[주석 28]
- 프리마퀸[주석 29]
- 퀴닌[주석 30]
- 설파독신 + 피리메타민[주석 31]
예방 목적
편집항뉴모시스티스제 및 항톡소플라스마제
편집항트리파노소마제
편집아프리카 트리파노소마증
편집1기 아프리카 트리파노소마증 치료제
편집2기 아프리카 트리파노소마증 치료제
편집아메리카 트리파노소마증
편집항편두통제
편집급성발작의 치료
편집예방
편집항종양제 및 면역억제제
편집면역억제제
편집세포독성 및 보조제
편집- 알로푸리놀 †
- 아스파라기나아제 †
- 블레오마이신 †
- 칼슘폴리네이트 †
- 카보플라틴 †
- 클로람부칠 †
- 시클로포스파미드 †
- 시타라빈 †
- 다카르바진 †
- 닥티노마이신 †
- 다우노루비신 †
- 도세탁셀 †
- 독소루비신 †
- 에토포시드 †
- 플루오로우라실 †
- 히드록시카바미드 †
- 이포스파마이드 †
- 메르캅토푸린 †
- 메스나 †
- 메토트렉세이트 †
- 파클리탁셀 †
- 프로카르바진 †
- 치오구아닌 †
- 빈블라스틴 †
- 빈크리스틴 †
호르몬 및 항호르몬
편집항파킨슨제제
편집혈액에 영향을 끼치는 의약품
편집항빈혈제
편집항응고제
편집기타 이상혈색소 치료제
편집혈액 생산물 및 혈장 대체제
편집혈장 유래 의약품
편집인간 면역글로불린
편집- Rho(D) 면역글로불린 (항-D 면역글로불린)
- 광견병 면역글로불린
- 파상풍 면역글로불린
보충제:
- 일반 면역글로불린
혈액 응고인자
편집보충제:
- 응고인자 VIII
- 응고인자 IX
혈장 대체재
편집- 덱스트란 70
혈액 및 혈액 구성요소
편집혈장에서 추출된 약제
편집인간면역글로불린
편집혈액 응고 인자
편집혈장 대체제
편집심혈관계 제제
편집항협심증제
편집항부정맥제
편집항고혈압제
편집심장마비에 쓰이는 제제
편집항혈전증제
편집지질농도 저하제
편집피부과 약물 (국소)
편집항진균제
편집항감염제
편집항염증제 및 항소양제
편집피부 변화 및 증식을 일으키는 약물
편집옴 살충제 및 이 박멸제
편집진단제
편집안과
편집조영제
편집소독제 및 살균제
편집살균제
편집소독제
편집이뇨제
편집위장관계 약물
편집항궤양제
편집항구토제
편집항염증제
편집하제
편집설사에 쓰는 약
편집경구 수분 공급
편집아동 설사 치료제
편집호르몬, 기타 내분비 약물 및 피임약
편집부신 호르몬 및 합성 대체제
편집남성 호르몬
편집피임약
편집경구 호르몬 피임약
편집삽입 호르몬 피임약
편집차단식 피임법
편집삽입용 피임기구
편집에스트로겐
편집해당 사항 없음
인슐린 및 기타 당뇨에 쓰이는 약물
편집배란 유도제
편집프로게스토젠
편집갑상선 호르몬 및 항갑상선제
편집면역학
편집진단제
편집혈청 및 면역글로불린
편집백신
편집근이완제 (국소 작용) 및 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편집안과 준비
편집항감염제
편집항염증제
편집국소마취제
편집동공축소제 및 항녹내장제
편집산동제
편집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VEGF)
편집자궁수축제 및 항자궁수축제
편집자궁수축제
편집항자궁수축제
편집복막 투석 용액
편집정신 및 행동 장애 치료제
편집정신 장애에 쓰이는 제제
편집기분 장애에 쓰이는 제제
편집우울 장애에 쓰이는 제제
편집양극성 장애에 쓰이는 제제
편집불안장애에 쓰이는 제제
편집강박장애에 쓰이는 제제
편집정신 활성 약물의 사용으로 인한 장애 치료제
편집기도에 작용하는 제제
편집항천식제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쓰이는 제제
편집- 베클로메타손
- 부데소니드
- 에피네프린 (아드레날린)
- 브롬화이프라트로피움
- 살브타몰
체액, 전해질, 산염기 불균형을 교정하는 용액
편집경구
편집주사제
편집기타
편집- 주사용 물
비타민 및 미네랄
편집아동이비인후과 제제
편집신생아 간호를 위한 특정 제제
편집신생아에 처방되는 제제
편집임신부에게 처방되는 제제
편집관절 질환에 처방되는 제제
편집통풍에 처방되는 제제
편집항 류마티스계 약물 (DMARDs)
편집연소성 류마티스 관절염
편집각주
편집내용주
편집- ^ 칼표가 붙어있는 곳은 제제가 특별한 진단 혹은 모니터링, 혹은 전문적 훈련이 필요한 보조제를 의미한다. 높은 가격이나 비용/이득 비율이 덜 매력적인 비율을 나타내는지에 따라서 보조제로 등재되어 있기도 하다.
- ↑ 지역적 가용성과 비용에 따라 티오펜탈을 쓸 수도 있다.
- ↑ 항염증에 효과가 있다는 증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항염증제로는 추천되지 않는다.
- ↑ 대체제는 히드로모르폰과 옥시코돈으로 제한된다.
- ↑ 한정된 지시 내에서 항히스타민제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기도 한다. (EMLc)
- ↑ 다른 항경련질환에 쓰이는 것이 아니라 자간증 및 심각한 전자간증에 쓰인다.
- ↑ 외과적 예방 용도로만 쓰인다.
- ↑ 합병증이 없는 직장 임질에 대한 1회 요법으로만 쓰인다.
- ↑ 칼슘과 같이 처방되어서는 안 되며 고빌리루빈혈증이 있는 유아에게 투여할 수 없다.
- ↑ 프로카인 벤질페니실린을 잘 훈련된 의료인이 있는 병원간호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신생아 사망률이 매우 높을 때 신생아패혈증에 1차 치료제로 사용하는 것은 추천되지 않는다.
- ↑ 입원한 신생아에는 3세대 세팔로스포린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 ↑ 삶이 위험한 의증 혹은 증명된 다제내성감염-원내감염 환자의 치료에만 사용하도록 등재되어 있다.
- ↑ 질 클라미디아 감염 및 트라코마 치료의 1회 요법으로만 등재되어 있다.
- ↑ 성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박멸을 위해 결합 처방된다.
- ↑ 프로치온아미드가 대체약물이 될 수 있다.
- ↑ FTC는 약학적 근거 및 저항 패턴과 항바이러스제 임상패턴으로 볼 때 3TC의 수용 가능한 대체제이다.
- ↑ FTC는 약학적 근거 및 저항 패턴과 항바이러스제 임상패턴으로 볼 때 3TC의 수용 가능한 대체제이다.
- ↑ FTC는 약학적 근거 및 저항 패턴과 항바이러스제 임상패턴으로 볼 때 3TC의 수용 가능한 대체제이다.
- ↑ 의심되거나 확정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잠재적으로 심각하거나 합병증이 있는 경우 WHO 가이드라인에 따라 처방된다.
- ↑ 바이러스성 출혈열의 치료 및 페그인터페론과 혼합시켜 C형 간염의 치료에 처방된다.
- ↑ 리바비린과 혼합시켜 사용한다.
- ↑ 아르테수네이트 50 mg과 복합처방된다.
- ↑ 심각한 말라리아 관리에 쓰인다.
- ↑ 임신 첫 3개월 및 5 kg미만의 어린이에게는 권장되지 않는다.
- ↑ 아모디아퀸, 메플로퀸 또는 피리메타민 + 설파독신으로 복합처방된다.
- ↑ 염산염 153 mg·200 mg + 50 mg 아르테수네이트같은 적정용량을 충족하는 기타 혼합처방이 대체제로 쓰일 수 있다.
- ↑ 삼일열 말라리아 검사 용도로만 사용된다.
- ↑ 퀴닌 복합처방으로만 사용된다.
- ↑ 아르테수네이트 50 mg와 복합처방된다.
- ↑ 급성 삼일열 말라리아 및 14일 내 난형 말라리아 치료에만 쓰인다.
- ↑ 심각한 말라리아 관리에 쓰이며, 독시사이클린과 복합처방해야 한다.
- ↑ 아르테수네이트 50 mg과 복합처방되어서만 쓰인다.
- ↑ 중남미에서만 삼일열 말라리아 예방 목적으로 쓰인다.
- ↑ 클로로퀸과 복합처방으로만 쓰인다.
- ↑ 감비아파동편모충 감염 치료에 쓰인다.
- ↑ 로데시아부루스파동편모충 감염 치료의 초기에 쓰인다.
- ↑ 감비아파동편모충 감염 치료에 쓰인다.
- ↑ 에플로르니틴과 복합처방되어 감비아파동편모충 치료 용도로만 쓰인다.
- ↑ 비용 및 가용성을 고려해 데페라시록스 경구 제제를 대체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 ↑ 폴리겔린 3.5% 주사제도 이와 동등한 효능을 띤다.
- ↑ 메토프로롤과 카르베딜롤이 대체제이다.
- ↑ 메토프로롤과 카르베딜롤이 대체제이다.
- ↑ 메토프로롤과 카르베딜롤이 대체제이다.
- ↑ 히드랄라진은 심각한 임신성 고혈압 치료 용도로만 등재되었다. 다른 제제가 더 효과적이고 안전하다는 증거가 있는 경우 본태성 고혈압에 이 약을 쓰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 ↑ 메틸도파는 심각한 임신성 고혈압 치료 용도로만 등재되었다. 다른 제제가 더 효과적이고 안전하다는 증거가 있는 경우 본태성 고혈압에 이 약을 쓰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 ↑ 메토프로롤과 카르베딜롤이 대체제이다.
- ↑ 고위험 환자에 사용한다.
- ↑ 급성 설사에 황산아연을 쓰는 경우 경구보수액을 같이 처방한다.
- ↑ 60세 이상 환자에게 글리벤클라미드를 적용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 ↑ 정확한 종류가 지역적으로 정해져야 한다.
- ↑ 또는 브롬화수소산호마트로핀, 염산싸이크로펜톨레이트
- ↑ 면밀한 감독이 필요함
- ↑ 에르고칼시페롤을 대체제로 쓸 수 있다.
- ↑ 류마티스열, 연소성 관절염, 가와사키병에 쓰인다.
참조주
편집- ↑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18th list (April 2013), (Final Amendments – October 2013)”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년 10월. 2014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5일에 확인함.
- ↑ WHO Model Lists of Essential Medicines
- ↑ 16 판은 2009년 3월에 출판되었다.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16th edition (March 2009)”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년 3월. 2009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for Children, second edition (March 2009)”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년 3월. 2009년 12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