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칼륨혈증(高-血症, 문화어: 고칼리움혈증, hyperkalemia, hyperkalaemia)은 혈청칼륨(K+) 수준이 높은 상태이다.[1] 정상 칼륨 수준은 3.5에서 5.0 mmol/L(3.5 and 5.0 mEq/L) 사이이며, 5.5 mmol/L 이상을 고칼륨혈증으로 정의한다.[2][3] 일반적으로 증상은 발생하지 않는다.[1]

고칼륨혈증
진료과내분비학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정의 편집

혈청 내 정상 칼륨 수준은 일반적으로 3.5에서 5.3 mmol/L 사이이다.[2] 5.5 mmol/L 이상은 일반적으로 고칼륨혈증을 나타내며, 3.5 mmol/L 미만은 저칼륨혈증을 나타낸다.[1][2]

증상 편집

칼륨 수준이 높아지면 발생하는 증상은 비특이성이며 일반적으로 권태감, 심계항진, 근력저하를 포함한다.[4]

예방 편집

고칼륨혈증의 재발을 예방하려면 일반적으로 식사 내 칼륨 양을 줄이고 푸로세미드, 하이드로클로로티아자이드와 같은 이뇨제를 추가 복용하는 것이다.[5]

치료 편집

특정 수준의 혈중 칼륨에 도달 시 새로운 부정맥이 발생할 때나 칼륨 수준이 6.5 mmol/l을 초과할 때 긴급하게 칼륨 수준을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심근 자극 편집

칼슘(염화 칼슘, 글루콘산 칼슘)은 현재도 밝혀져 있지 않은 매커니즘을 통해 역치전위를 향상시키므로 고칼륨혈증에서 비정상적으로 상승된, 역차전위와 안정막전위 간의 정상 변화도를 회복시킨다.

일시적 수단 편집

제거 편집

정도가 극심한 경우 혈액 투석이나 혈액 여과가 필요하며 이는 몸에서 칼륨을 제거하는 가장 빠른 방식이다.[6]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Lehnhardt, A; Kemper, MJ (March 2011). “Pathogenesis,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yperkalemia.”. 《Pediatric nephrology (Berlin, Germany)》 26 (3): 377–84. doi:10.1007/s00467-010-1699-3. PMC 3061004. PMID 21181208. 
  2. Soar, J; Perkins, GD; Abbas, G; Alfonzo, A; Barelli, A; Bierens, JJ; Brugger, H; Deakin, CD; Dunning, J; Georgiou, M; Handley, AJ; Lockey, DJ; Paal, P; Sandroni, C; Thies, KC; Zideman, DA; Nolan, JP (October 2010).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Guidelines for Resuscitation 2010 Section 8. Cardiac arrest in special circumstances: Electrolyte abnormalities, poisoning, drowning, accidental hypothermia, hyperthermia, asthma, anaphylaxis, cardiac surgery, trauma, pregnancy, electrocution.”. 《Resuscitation》 81 (10): 1400–33. doi:10.1016/j.resuscitation.2010.08.015. PMID 20956045. 
  3. Pathy, M.S. John (2006). 《Principles and practice of geriatric medicine》 4.판. Chichester [u.a.]: Wiley. Appendix쪽. ISBN 9780470090558. 
  4. “High potassium (hyperkalemia) When to see a doctor - Symptoms”. Mayo Clinic. 2011년 11월 18일. 2014년 2월 28일에 확인함. 
  5. Kovesdy, CP (December 2015). “Management of Hyperkalemia: An Update for the Internist”.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28 (12): 1281–7. doi:10.1016/j.amjmed.2015.05.040. PMID 26093176. 
  6. Vanden Hoek TL, Morrison LJ, Shuster M, Donnino M, Sinz E, Lavonas EJ, Jeejeebhoy FM, Gabrielli A; Morrison; Shuster; Donnino; Sinz; Lavonas; Jeejeebhoy; Gabrielli (2010년 11월 2일). “Part 12: cardiac arrest in special situations: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Circulation》 122 (18 Suppl 3): S829–61. doi:10.1161/CIRCULATIONAHA.110.971069. PMID 20956228.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