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록훈(光祿勳)은 고대 중국의 관직이다. 진나라전한 때에는 구경 중 하나였다. 진나라 때 황궁 문의 수위를 관할하던 낭중령(郞中令)을 기원으로 한다. 부하 관직으로 대부, 낭, 알령을 두었다.

전한 편집

전한 때도 계속 설치되어 무제의 태초 1년(기원전 104년) 낭중령을 광록훈으로 개칭했다. 부하 직원으로는 진나라 때의 대부, 낭, 알령에 기문, 우림을 더하였다. 부하 직원들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일을 했다.

  • 대부(大夫): 조정에서의 정책 건의 등을 관할. 태중대부, 간대부, 중대부가 있다. 정원은 따로 없으며 많을 때는 수십명이 있었다.
  • (郞): 궁문의 수위를 관할하고, 황제의 순행 때는 거기(車騎)에 탔다. 의랑, 중랑, 시랑, 낭중이 있다. 정원은 따로 없으며 많게는 천여 명이 있었다.
    • 중랑장(中郞將): 오관중랑장, 좌중랑장, 우중랑장의 3장이 있었다.
    • 낭중장(郞中將): 차랑중장, 호랑중장, 기랑중장의 3장이 있었다.
  • 알령(謁者): 영빈(迎賓) 등을 관할. 정원은 70명.
  • 기문(期門): 무제가 건원 3년(기원전 138년)에 설치. 호위병을 총괄. 정원은 따로 없으며, 많게는 천여 명이 있었다. 위상은 낭과 동격이었다. 평제 원시 1년(기원후 1년)에 호분랑(虎賁郞)으로 개칭되었다.
  • 우림(羽林): 무제가 태초 1년에 설치. 기문보다 하위이다. 황제의 경호를 담당. 처음에는 건장영기(建章營騎)라고 불렀는데 나중에 우림기로 개칭되었다. 종군했다가 전사한 자의 자손을 우림으로 양성해 5종류의 무기를 훈련시켰는데 이를 우림고아(羽林孤兒)라고 불렀다.
    • 우림중랑장(羽林中郎将) 및 우림기도위(羽林騎都尉): 선제 때 설치. 우림들을 감독했다.

편집

사중(司中)이라 하였다.

후한 편집

광록훈이라 하였다. 후한때 광록훈의 부하 직원들은 다음과 같다. 낭관은 궁중을 관리하며 황제가 순행할 때 차기에 탑승했다. 대부, 의랑은 고문(顧問)과 응대를 담당했다.

  • 오관중랑장 - 오관중랑 - 오관시랑 - 오관낭중
  • 좌중랑장 - 중랑 - 시랑 - 낭중
  • 우중랑장 - 중랑 - 시랑 - 낭중
  • 호분중랑장 - 좌우복사 각1인, 좌우폐장 각1인, 호분중랑 - 호분시랑 - 호분낭중 - 절종호분
  • 우림중랑장 - 우림랑
  • 우림좌감 - 우림좌감승
  • 우림우감 - 우림우감승
  • 봉차도위
  • 부마도위
  • 기도위
  • 광록대부
  • 태중대부
  • 중산대부
  • 동의대부
  • 의랑
  • 알자복사 - 상시알자 - 급사알자, 관알자

이는 삼국시대 및 서진에서도 유지되었다.

참고 자료 편집

  • 한서》 제7상 백관공경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