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개념(構成槪念, construct)은 과학적 연구방법이나 논리적인 이론에 근거하여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조작적으로 만들어 낸 개념을 지칭한다. 직접 측정할 수는 없으나 측정할 수 있는 현상을 유발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구성개념에는 의식, 욕구, 지각, 자아, 동기 따위의 개념이 있다. 전통적인 텍스트(text)에 기반한 심리검사이외에도 기술의 발달로 현대에는 유전자에대한 DNA 마이크로어레이fMRI 등의 뇌 스캔등 물리적 현상을 제시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조작적 정의라는 용어도 있다. 조작적 정의와 비교해서 구성개념은 유사한 면도 있지만 차이점도 있다.

타당도 편집

구성 유효성 또는 구성개념 타당도(Construct validity)는 "테스트가 주장하는 것 또는 측정하고자하는 것을 측정하는 정도"이다.[1][2][3][4] 전형적인 검사 타당도의 모델에서 구성의 유효성은 세가지 주요 요소 중 하나이다.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및 기준타당도(criterion validity)와 함께 유효성 증거의 유형으로 제시된다.[5][6] 현대의 타당성 이론은 다른 모든 유형의 타당성 증거를 가정하여 타당성 조사의 주요 맥락으로 구성개념 타당도를 정의하고있다.[7][8]

같이 보기 편집

참고 편집

  1. Kelley, Truman Lee (1927). 《Interpretation of educational measurements》. New York: World Book. 
  2. Brown, J. D. (1996). 《Testing in language program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Regents. 
  3. Cronbach, L. J.; Meehl, P.E. (1955). “Construct Validity in Psychological Tests”. 《Psychological Bulletin》 52 (4): 281–302. doi:10.1037/h0040957. hdl:11299/184279. PMID 13245896. 
  4. Polit DF Beck CT (2012). Nursing Research: Generating and Assessing Evidence for Nursing Practice, 9th ed. Philadelphia, USA: Wolters Klower Health,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 Guion, R. M. (1980). “On trinitarian doctrines of validity”. 《Professional Psychology11 (3): 385–398. doi:10.1037/0735-7028.11.3.385. 
  6. Brown, J. D. (1996). 《Testing in language program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Regents. 
  7. Messick, S. (1995). “Validity of psychological assessment: Validation of inferences from persons' responses and performances as scientific inquiry into score meaning”. 《American Psychologist》 50 (9): 741–749. doi:10.1037/0003-066x.50.9.741. 
  8. Schotte, C. K. W.; Maes, M.; Cluydts, R.; De Doncker, D.; Cosyns, P. (1997). “Construct validity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a depressive populat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46 (2): 115–125. doi:10.1016/s0165-0327(97)000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