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식물명명규약

국제조류균류식물명명규약(國際藻類菌類植物命名規約, 영어: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ICN)은 식물, 균류 및 전통적으로 조류, 균류, 식물로 취급되는 모든 생물군에 부여되는 공식적인 식물 이름을 다루는 규칙들 및 권고사항들이다.[1] 이전에는 국제식물명명규약(國際植物命名規約, 영어: International Code of Botanical Nomenclature, ICBN)이라고 불렸다. 국제조류균류식물명명규약이란 이름은 2005년의 비엔나 코드를 대체한 멜버른 코드[2]의 일부로 2011년 7월에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서 열린 국제식물학회(International Botanical Congress)에서 변경되었다.

연혁

편집

국제조류균류식물명명규약이 제정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회의를 개최하면서 명명규약을 검토, 수정해오고 있다. 세계의 모든 식물의 학명은 이 명명규약에 따라 명명되며, 학명의 적용에 있어서의 논쟁도 이 규약에 따라 정리된다. 명명규약의 전문에 나타난 목적을 요약하면 식물분류군에 대해 명명하는 이유는 분류군의 계급을 정확히 지칭하고자 함이며 오류, 정확성의 부족 등 사용할 수 없는 식물명이 정해지는 것을 막고 확실한 절차에 따라 각 분류군에 대해 적용할 수 있는 규정을 정하는데 있다.

규약 내용

편집

명명규약은 1부에서는 원칙, 2부에서는 규약과 권고 사항, 3부에서는 규약수정에 관한 규정과 부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식물의 학명은 2명법을 적용하며 1753년 출판된 린네의 식물의 종(Species plantarum)을 기준으로 우선권을 규정하고 있고 한 식물에는 한 개의 정명만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Turland, N.J.; 외., 편집. (2018).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Shenzhen Code) adopted by the Nineteenth International Botanical Congress Shenzhen, China, July 2017》 electronic판. Glashütte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2015년 1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27일에 확인함. .
  2. McNeill, J.; 외., 편집. (2012).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Melbourne Code), Adopted by the Eighteenth International Botanical Congress Melbourne, Australia, July 2011》 electronic판. Bratislava: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2015년 1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20일에 확인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