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준

연구원

김은준(1964년 1월 20일~)은 대한민국의 신경생물학자이자, 교수이다.

김은준
출생 1964년 1월 20일(1964-01-20)(60세)
국적 대한민국
분야 신경생물학
소속 한국과학기술원, 기초과학연구원

생애 편집

현재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석좌교수/ 기초과학연구원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장으로 재직중이다. 또한 국외 다수의 주요학술지 (eLife/Molecules and Cells/NeuroSignals/Molecular Brain/ Frontiers in Molecular Neuroscience)의 편집장 및 부편집장을 맡고 있다. 1986년 부산대 약학과를 나와, 1988년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1994년 미국 Michigan State University(MSU)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Harvard Medical School에서 Postdoc으로 근무하였다. 귀국 후에는 1997년부터 교수로 재직하면서 연구와 교육에 열정을 쏟고 있다.

주요업적 편집

  • 2012. 7 - 현재 기초과학연구원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단장
  • 2011. 5 - 현재 한국과학기술원 석좌교수
  • 2010. 1 - 현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 2003. 7 - 2012. 5 한국과학기술원 시냅스 생성창의연구단 단장
  • 2000. 3 - 현재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
  • 1997. 3 - 2000. 2 부산대학교 전임강사, 조교수
  • 1991. 9 - 1994.12 미시간주립대학교(MSU) 연구조원 (RA)
  • 1988. 3 - 1991. 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연구원

주요논문 편집

  • Nature 게재 (2012)

Autistic-like social behavior in Shank2-mutant mice improved by restoring NMDA receptor function. Nature. 486:261-265. 2012.)Nature 지에 2012년에 게재한 "Autistic-like social behavior in Shank2-mutant mice improved by restoring NMDA receptor function. Nature. 486:261-265. 2012.)"의 연구결과는 생크2 유전자 결손으로 생기는 NMDA 수용체 기능 저하가 바로 자폐증을 일으키는 원인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동물실험 차원이지만, 반복행동뿐만 아니라 자폐증의 주요한 증상인 사회성 결핍도 약물을 통해 충분히 개선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증명했으며, 자폐 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세계 의학계와 과학계에 큰 주목을 받고 있다.

  • Nature Medicine 게재 (2011)

GIT1 is associated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ADHD-like behaviors in mice. Nature Medicine 17:566-572. 2011.Nature Medicine 지에 2011년에 게재한 "GIT1 is associated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ADHD-like behaviors in mice. Nature Medicine 17:566-572. 2011."의 연구결과는 ADHA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을 나타내는 흔한 뇌정신질환이다. 이 연구에서는 인간에서 GIT1와 ADHD 사이의 유전적인 상관관계를 밝혀냈고, 생쥐에서 GIT1 유전자를 결손시키자 흥분-억제 균형이 무너져 ADHD와 유사한 행동이 나타났다. GIT1 결손 생쥐는 ADHD 연구를 위한 새로운 생쥐모델로, GIT1 유전자 는 ADHD 진단 과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연구내용이다.

수상 편집

각주 편집

  1. “2008 - 2018 Laureates Asan Award in Medicine - Asan Medical Center”. 《Asan Award in Medicine》. Asan Foundation. 2018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5일에 확인함. 
  2. Kim, Hyoyeon (2018년 4월 11일). “The 11th Asan Award in Medicine Laureates”. 《KAIST Herald》. KAIST. 2018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5일에 확인함. 
  3. “Four Scientists to Receive 2018 ASAN Awards”. 《Asian Scientist》. 2018년 1월 30일. 2018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5일에 확인함. 
  4. Kim, Hyoyeon (2018년 4월 11일). “The 11th Asan Award in Medicine Laureates”. 《KAIST Herald》. KAIST. 2018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5일에 확인함. 
  5. 박, 민규 (2013년 2월 5일). “포스코 청암상에 김은준·윤병훈·서영남 씨 선정”. 《아시아경제》. 2018년 9월 5일에 확인함. 
  6. 박, 혜정 (2018년 1월 10일). “아산의학상에 김은준·방영주 교수 선정”. 《아시아경제》. 2018년 9월 5일에 확인함. 
  7. 이, 에스더 (2018년 1월 11일). “아산의학상에 김은준·방영주 교수”. 《JoongAng Ilbo》. 2018년 9월 5일에 확인함. 
  8. 황, 인찬 (2012년 8월 30일). “[제26회 인촌상 수상자]인촌상 영광의 얼굴들… 수상소감과 공적”. 《DongA》. 2018년 9월 5일에 확인함. 
  9. “인촌상 김은준 교수”. 《Naver》. Yonhap News. 2018년 8월 29일. 2018년 9월 5일에 확인함. 
  10. 김, 봉구 (2015년 1월 5일). 《한국경제》. 한국경제신문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501055447g?nv=o. 2018년 9월 5일에 확인함.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