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흥 (국악인)

김천흥(金千興, 1909년 3월 30일 ~ 2007년 8월 18일[1])은 조선, 일제강점기, 대한민국해금, 아쟁, 양금 연주자이자 궁중무용의 명인으로, 조선의 마지막 무동이기도 하다. 호는 심소(心韶)이고, 1923년순종황제오순 탄신 경축진연때 무동으로 정재 출연했다. 1930.7.영친왕 내외분의 환국근친환영시 정재 <무고>,<봉래의>등 무동으로 출연했다 .[2]

김천흥
기본 정보
출생1909년 3월 30일(1909-03-30)
대한제국 대한제국 한성부
사망2007년 8월 18일(2007-08-18)(98세)
대한민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별남성
국적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장르한국 전통 음악
활동 시기1923년 ~ 2007년
악기해금, 아쟁, 양금
종교개신교

생애 편집

서울시 남대문 양동 출생이다.[3] 14세 때인 1922년 이왕직 아악부 아악생양성소(李王職雅樂部雅樂生養成所)에서 해금을 전공했으며, 아쟁과 양금도 배웠고, 이듬해인 1923년 제2기생으로 졸업하였다.[4] 같은 해에 순종황제 탄신 오순경축공연에 무동으로 출연했고, 1926년부터 이왕직아악부의 아악수보, 아악수, 아악수장을 지냈다.[5]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의 해금과 일무(佾舞, 여러 줄로 벌여 서서 추던 춤) 부문과 제39호 처용무의 무용과 가면 제작 부문의 보유자였다.[6]

1951년부터는 국립국악원에서 예술사, 연주원, 자문위원을 거쳐 원로사범을 지냈다.[5]

아악과 궁중무(宮中舞)의 재현·전승·보급에 힘썼고, 탈춤을 체계화시키고 보급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1958년부터 ‘김천흥 무용연구소’를 개설, 5회의 발표회를 가졌으며, 1962년에는 〈처용랑(處容郎)〉으로 서울시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1964년에 〈종묘제례악〉으로 기능보유자 제1호로 지정되었고,[4] 1968년에는 중요무형문화제 제1호 〈종묘제례악〉, 1971년에는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의 예능보유자로 인정받았다.[5]

국립국악원 이사, 국립국악원 국악사, 문교부 문화보존위원회 위원, 서울시 문화위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경희대·이화여대 강사 등을 역임했다.[4]

2018년 4월 우정사업본부는 국악인 3명의 모습을 담은 ‘한국의 소리’ 기념우표 3종을 발행했는데 이번 기념우표에는 전통무용가이자 해금 연주자인 김천흥씨의 모습이 담겼다. 우표 전지에 있는 QR코드를 휴대전화로 찍으면 연주를 들을 수 있다.[7]

경력 편집

  • 1922: 이왕직아악부원 양성소 2기생으로 입학
  • 1923: 순종황제 탄신 오순 경축공연에 무동으로 출연
  • 1926: 이왕직아악부원 양성소 2기 졸업(해금 전공,양금'아쟁 겸공)
  • 1926-1940: 이왕직아악부 아악수보'아악수'아악수장 역임
  • 1951-2007: 국립국악원 예술사'연주원'자문위원을 거쳐 원로사범으로 재직
  • 1968: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기능보유자 지정
  • 1971: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기능보유자
  • 1973-1993: (사) 대악회 이사장
  • 1978-2007: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
  • 1983-1993: 무형문화재예술단 단장
  • 2004: 심재 정악단 창단 고문
  • 2007: 국립국악원 원로사범,대한민국 예술원 회원
  • 2007.08.18: 98세 별세. 국립국악원 국악장.

상훈 편집

  • 1960년 서울시 문화상
  • 1968년 무형문화재 보존 공로상
  • 1969년 제2회 한국문화대상
  • 1970년 15회 대한민국 예술원상
  • 1973년 국민훈장 모란장
  • 1983년 한국국악협회 2회 한국국악대상
  • 1992년 KBS 국악대상 특별공로상
  • 1997년 1997년 4회 방일영국악상
  • 2002년 대한민국 금관문화훈장 외 다수

저서 편집

  • 1966: 《중요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종묘 일무》
  • 1969: 《한국무용의 기본무보》
  • 1982: 《정악양금보,대악회》
  • 1988: 《정악해금보》
  • 1995: 《심소 김천흥 무악 칠십년》(서울:민속원)
  • 2002: 《정재무동홀기 창사보 1》(서울:민속원)
  • 2003: 《정재무동홀기 창사보 2》(서울:민속원) 외 14편 집필.

각주 편집

  1. [삶과 추억] 한평생 우리 춤과 소리 지켜온 김천흥 선생 별세 Archived 2013년 10월 6일 - 웨이백 머신, 《중앙일보》, 2007.8.20
  2. 김천흥[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 예술·스포츠·취미/무용/한국의 무용/한국의 무용가/김천흥, 《글로벌 세계 대백과》
  5. 한국음악/한국음악/한국음악가/정악의 명인/김천흥, 《글로벌 세계 대백과》
  6. “우리문화신문 /음악과 무용의 명인, 김천흥을 기린다 / 2018.7.31. / 한성훈 기자”. 2018년 1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4일에 확인함. 
  7. “전파신문/ ‘우본, 국악인 기념우표 '한국의 소리' 3종 발행’ / 2018.04.30.”. 2018년 10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24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