꺾인 현 정리

기하학에서, 꺾인 현 정리(영어: broken chord theorem)는 주어진 의 연이어진 두 으로 이루어진 경로의 중점을 찾는 정리이다.

정의

편집

주어진  의 중점을  라고 하고,  라고 하자. 또한  을 지나는 현    가운데 더 긴 하나의 수선의 발을  라고 하자. 꺾인 현 정리에 따르면,  는 두 현   로 이루어진 경로의 중점이다.[1]:1, §1.1, (a)

증명

편집

아르키메데스의 증명

편집

아르키메데스의 증명은 대략 다음과 같다. 편의상  라고 하자.  의 정의에 의하여  이다. 선분   에서   방향의 연장선이  을 중심으로 하고 선분   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과 점  에서 만난다고 하자. 그렇다면, 원래 원과 새로운 원이 공통으로 갖는 호  에 의하여

 

이며, 따라서  이다. 즉, 삼각형  에서  가 성립한다. 직선  는 원의 중심  을 지나는 현  의 수선이므로, 점  는 현  의 중점이다. 즉,

 

이다.

패트루노의 증명

편집

그레그 패트루노(영어: Gregg Patruno)의 증명은 대략 다음과 같다. 편의상  라고 하자.  의 정의에 의하여  이다. 선분   을 중심으로 하고 선분   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현이므로,  이다. 선분   위에서  인 점  을 잡자. 그렇다면 삼각형   는 서로 합동이며, 특히  이다. 또한 직선  는 직선  의 수선이므로,  이다. 따라서

 

이다.

각주

편집
  1. Honsberger, Ross (1995). 《Episodes in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y Euclidean Geometry》. New Mathematical Library. Vol. 37 (영어). Washington: Th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ISBN 0-88385-639-5.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