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大邱 寶聖禪院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 腹藏佛書)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송현동,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에 봉안되어 있는 불서이다. 2016년 3월 10일 대구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77호로 지정되었다.[1]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
(大邱 寶聖禪院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
腹藏佛書)
대한민국 대구광역시유형문화재
종목유형문화재 제77호
(2016년 3월 10일 지정)
수량55종 550점
시대조선시대
소유(재)선학원 보성선원
위치
대구 보성선원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대구 보성선원
대구 보성선원
대구 보성선원(대한민국)
주소대구광역시 달서구 송현로8안길 35 (송현동)
좌표북위 35° 49′ 18″ 동경 128° 33′ 2″ / 북위 35.82167° 동경 128.55056°  / 35.82167; 128.55056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는 보성선원에 봉안되어 있는 본존불인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보물 제1801호)에 납입되었던 서적 55종 550점으로 필사본 5종, 목판인쇄본 50종으로 모두 불상조성(1647)보다 앞서 병자호란(1636) 이전에 인출되었으므로 일괄해서 대구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해 보존할 가치가 있다. 당시 같이 봉안되었던 전적 중 4종은 2013년 보물 제1802호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으로 지정되어 보존관리되고 있다.[1]

지정 내역

편집
지정
번호
명칭 재료 구조·형식·
형태
규격 수량 기타특징
77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
삼존좌상 복장불서
大邱 寶聖禪院 木造釋迦如來
三尊坐像 腹藏佛書
55종 550점
-1 금강반야바라밀경 권상,하
金剛般若波羅密經 卷上,下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8.7×24.5cm 3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2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0.0×16.5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3 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 권상,하
金剛般若波羅蜜經(五家解) 卷上,下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8.0×23.8cm 2권2책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4 금강반야바라밀경석보상절
金剛般若波羅蜜經釋普詳節
지(紙) 필사본(筆寫本) 25.0×14.5cm 1책 제작연대:
16세기
-5 대방광불화엄경 권58
大方廣佛華嚴經 卷58
지(紙) 필사본(筆寫本)
백지묵서사경
(白紙墨書寫經)
27.8×563.2cm 1축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6 대방광불화엄경소 권1­2
大方廣佛華嚴經䟽 卷1-2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1.8×22.1cm 1책
(零本)
제작연대:
1635년
-7 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 권1­6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卷1-6
지(紙) 목판본(木板本) 38.5×25.1cm 6권5책 제작연대:
1611년
-8 대불정수릉엄신주
大佛頂首楞嚴神呪
지(紙) 목판본(木板本)
주쇄(朱刷)
29.3×49.7cm 445매 제작연대:
1647년이전
-9 몽산화상육도보설
蒙山和尙六道普說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8×15.2cm 1책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0 몽산화상육도보설
蒙山和尙六道普說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8.6×17.3cm 1책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1 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8.5×16.7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2 묘법연화경 권1­3
妙法蓮華經 卷1-3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7×15.8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3 묘법연화경 권1­3
妙法蓮華經 卷1-3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8.1×16.0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4 묘법연화경 권1­2
妙法蓮華經 卷1-2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6.2×15.5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5 묘법연화경 권1­2
妙法蓮華經 卷1-2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8×17.4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6 묘법연화경 권1­3
妙法蓮華經 卷1-3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0×16.0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7 묘법연화경 권6­7
妙法蓮華經 卷6-7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9.7×18.3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8 묘법연화경 권3­4
妙法蓮華經 卷3-4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1.4×18.5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19 묘법연화경 권4
妙法蓮華經 卷4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4×16.9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20 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7×17.0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21 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3×16.4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22 묘법연화경 권3­4
妙法蓮華經 卷3-4
지(紙) 목판본(木板本)
대자본(大字本)
35.0×22.0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성종연간
-23 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1×16.5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24 묘법연화경 권1­3
妙法蓮華經 卷1-3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5×16.5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25 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8.5×18.3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26 묘법연화경 권2­3
妙法蓮華經 卷2-3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2.5×21.0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27 묘법연화경 권5­7
妙法蓮華經 卷5-7
지(紙) 목판본(木板本)
대자본,후쇄
(大字本,後刷)
34.0×20.0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28 묘법연화경 권2, 3­4, 5­7
妙法蓮華經 卷2, 3-4, 5-7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5.8×24.0cm 3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29 묘법연화경 권2­7
妙法蓮華經 卷2-7
지(紙) 목판본(木板本) 35.8×24.0cm 6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30 묘법연화경 권4­7
妙法蓮華經 卷4-7
지(紙) 목판본(木板本) 36.5×24.5cm 4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31 묘법연화경 권4
妙法蓮華經 卷4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7.0×25.0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32 묘법연화경 권1
妙法蓮華經 卷1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1.0×17.0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33 묘법연화경 권1­2
妙法蓮華經 卷1-2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2×15.3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34 묘법연화경 권2­3
妙法蓮華經 卷2-3
지(紙) 목판본(木板本) 30.5×17.5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35 묘법연화경 권3­4
妙法蓮華經 卷3-4
지(紙) 목판본(木板本) 29.3×18.1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36 묘법연화경 권5­7
妙法蓮華經 卷5-7
지(紙) 목판본(木板本) 32.6×17.6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37 묘법연화경 권5­7
妙法蓮華經 卷5-7
지(紙) 목판본(木板本) 29.2×18.3cm 1책
(零本)
제작연대:
1604년
-38 묘법연화경 권3, 5­7
妙法蓮華經 卷3, 5-7
지(紙) 목판본(木板本) 29.1×18.0cm 2책
(零本)
제작연대:
1604년
-39 묘법연화경 권1
妙法蓮華經 卷1
지(紙) 목판본(木板本) 36.8×21.7cm 1책
(零本)
제작연대:
1615년
-40 묘법연화경 권1
妙法蓮華經 卷1
지(紙) 목판본(木板本) 33.0×20.0cm 1책
(零本)
제작연대:
1615년
-41 묘법연화경 권5­7
妙法蓮華經 卷5-7
지(紙) 목판본(木板本) 28.2×17.1cm 1책
(零本)
제작연대:
16세기
-42 묘법연화경
妙法蓮華經
지(紙) 필사본(筆寫本) 16.0×28.2cm 1장 제작연대:
조선중기
-43 백의대비오인심다라니경
白衣大悲五印心陀羅尼經
지(紙) 목판본(木板本) 30.5×17.5cm 1책
(10장)
제작연대:
임란전후
-44 백의대비오인심다라니경
白衣大悲五印心陀羅尼經
지(紙) 목판본(木板本) 48.9×36.2cm 10장 제작연대:
임란전후
-45 부모은중경(언해)
父母恩重經(諺解)
지(紙) 목판본(木板本) 27.0×17.0cm 1책 제작연대:
1580년
-46 불설아미타경
佛說阿彌陀經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9.0×15.5cm 1책 제작연대:
선조연간
-47 불정심관세음보살모다라니
佛頂心觀世音菩薩姥陀羅尼
지(紙) 목판본(木板本)
주쇄(朱刷)
28.0×48.5cm 25장 제작연대:
1647년
-48 불조삼경
佛祖三經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4.5×17.5cm 1책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49 선가귀감
禪家龜鑑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0×17.0cm 1책 제작연대:
선조연간
-50 예념미타도량참법 권2­3
禮念彌陀道場懺法 卷2-3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30.0×22.0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
-51 육경합부
六經合部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8.0×17.0cm 1책 제작연대:
선조연간
-52 육경합부
六經合部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6.5×16.0cm 1책 제작연대:
선조연간
-53 육경합부
六經合部
지(紙) 목판본(木板本)
후쇄(後刷)
27.0×15.5cm 1책
(零本)
제작연대:
선조연간전후
-54 의라수진언
宜螺手眞言
지(紙) 필사본(筆寫本) 15.0×77.3cm 1장 제작연대:
미상
-55 정상불수진언
頂上佛手眞言
지(紙) 필사본(筆寫本) 15.3×78.4cm 1장 제작연대:
미상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대구광역시 고시 제2016-39호, 《대구광역시 문화재 지정 및 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 고시》, 대구광역시장, 2016-03-10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