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환경처

환경처(環境處)는 대기 보전·수질 보전·기타 환경 보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다. 1990년 1월 3일 환경청을 개편하여 발족하였으며 1994년 12월 22일 환경부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환경처
環境處
설립일 1990년 1월 3일
해산일 1994년 12월 22일
전신 환경청
후신 환경부
상급기관 국무총리 (90.01 ~ 94.1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편집
  • 정부조직법 [법률 제4183호, 1989.12.30 일부개정] 제26조[1]
  • 환경처 직제 [대통령령 제12899호, 1990.01.03 제정] 제1조[2]

연혁

편집
  • 1990년 1월 3일 - 환경청을 폐지하고 환경처를 신설.[3]
  • 1994년 12월 22일 - 환경처를 폐지하고 환경부를 신설.

조직

편집

역대 장·차관

편집

환경처 장관

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학교 비고
노태우 정부 초대 조경식(曺京植) 1990년 1월 3일 ~ 1990년 9월 19일 경남 밀양 서울대 한국해양대 총장&해운항만청장&경제기획원 경제협력국장&농림수산부 장관&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2대 허남훈(許南薰) 1990년 9월 19일 ~ 1991년 4월 26일 경기 평택 서울대 공업진흥청장&동력자원부 자원정책실장&상공부 차관&제15대 국회의원
3대 권이혁(權彛赫) 1991년 4월 26일 ~ 1992년 6월 26일 경기 김포 서울대 서울대 총장&한국교원대 총장&문교부 장관&보건사회부 장관&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
4대 이재창(李在昌) 1992년 6월 26일 ~ 1993년 2월 26일 경기 파주 서울대 인천직할시장&경기도지사&내무부 행정국장&교통부 차관&제15·16·17대 국회의원&새마을운동중앙회장
문민 정부 5대 황산성(黃山城) 1993년 2월 26일 ~ 1993년 12월 22일 경남 진주 서울대 제11대 국회의원&한국여성법률연구소 회장&방송문화진흥회 이사&한국여성변호사회장
6대 박윤흔(朴鈗炘) 1993년 12월 22일 ~ 1994년 12월 21일 전남 보성 서울대 경희대 교수&대구대 총장&한국환경법학회장&한국토지보상법연구회장

환경처 차관

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출신지 출신학교 비고
노태우 정부 초대 한수생(韓壽生) 1990년 1월 3일 ~ 1991년 4월 26일 경남 부산
(현 경남과 분리)
서울대 서울지방환경청장&환경청 기획관리관·차장
2대 한갑수(韓甲洙) 1991년 4월 26일 ~ 1992년 1월 9일 전남 나주 서울대 경제기획원 차관&농림부 장관&제10대 국회의원&한국가스공사 사장&한국산업경제연구원 회장&한국산업경제연구원 회장
3대 이진(李進) 1992년 1월 9일 ~ 1992년 6월 30일 충남 공주 서울대 국무총리비서실장&제12대 국회의원&국정교과서 이사장
4대 김인호(金仁浩) 1992년 6월 30일 ~ 1993년 3월 4일 경남 밀양 서울대 경제기획원 대외경제조정실장&시장경제연구원 이사장&중소기업연구원장
문민 정부 5대 김형철(金亨徹) 1993년 3월 4일 ~ 1994년 12월 26일 평남 평양
(현 평남과 분리)
서울대 환경청 계획조정국장·대기보전국장·기획관리관&환경처 기획관리실장&한국환경기술진흥원 이사장

각주

편집
  1. ①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의 보전과 환경오염방지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게 하기 위하여 국무총리소속하에 환경처를 둔다. ③ 환경처장관은 환경보전정책의 기획·운영에 관하여 국무총리의 명을 받아 관계각부를 통괄·조정한다.
  2. 환경처는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의 보전과 환경오염방지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3. 양철훈 기자 (1990년 1월 4일). “환경처 승격, 환경처가 풀어나가야 할 과제”. 《MBC뉴스데스크》.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