덧띠토기, 혹은 점토대토기(粘土帶土器)는 청동기 후기에서 철기 초기에 한반도에서 발견되는 종류의 토기이다. 점토로 띠를 만들어 입구에 붙였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달렸다.

덧띠토기

개요 편집

덧띠의 단면에 따라 원형 덧띠토기와 삼각형 덧띠토기로 나눈다. 원형 덧띠토기는 기원전 21세기부터 2세기까지, 삼각형 덧띠토기는 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경까지 사용된 것으로 본다. 주로 출토되는 한강금강 유역[1][2][3]과 더불어 한반도 중부 이남 지역에서 초기철기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이다.[4]

각주 편집

  1. “덧띠토기”. 2021년 1월 18일에 확인함. 
  2. 박진일 "점토대토기, 그리고 청동기시대와 초기철기시대" IV. 절대연대의 검토, 안성 반제리, 장방형8호주거지 눈금맞춤연대(Cal BC), 기원전 1480년~1285년, 68.2% 확률 : 기원전 1490년~1470년(1.6%), 기원전 1450년~1120년(66.6%), 95.4% 확률 : 기원전 1650년~900년(95.4%)
  3. “보관된 사본”. 2021년 1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1일에 확인함. 
  4. “덧띠 토기”. 2021년 1월 18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