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라우치 기증 고서화 일괄

데라우치 기증 고서화 일괄(寺內文庫 寄贈 古書畵 一括)은 조선총독부 제3대 통감과 초대 총독을 지내고 일본내각총리대신(內閣總理大臣)을 역임한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한국 재임 중에 수집한 자료를 일본으로 가져가 세운 데라우치문고(寺內文庫, 현 야마구치 현립 대학 소장)로부터 돌려받은 조선시대문헌이다.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영동, 경남대학교에 있다.

데라우치 기증 고서화 일괄
(寺內文庫 寄贈 古書畵 一括)
대한민국 경상남도유형문화재
데라우치 고서화
종목유형문화재 제509호
(2010년 10월 14일 지정)
수량135건
시대조선시대
참고기록유산 / 서간류 / 서예
위치
주소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 (월영동, 경남대학교)
좌표북위 35° 10′ 59.1″ 동경 128° 33′ 12.2″ / 북위 35.183083° 동경 128.553389°  / 35.183083; 128.553389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2010년 10월 14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509호 경남대학교 데라우치 기증 고서화 일괄로 지정되었다가,[1]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2]

지정 사유 편집

조선 초대 총독을 역임하였던 데라우치가 조선에서 수집한 것으로 신라시대의 金生에서부터 조선시대 후기의 李匡師, 金正喜 등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서화계의 알려진 인물은 거의 망라되었다 할 수 있을 정도로 다양한 인물들의 글씨와 그림이 포함되어 있어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으므로 도 유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관리하고자 함.[1]

현지 안내문 편집

경남대학교 박물관 소장 ‘데라우치문고’(寺內文庫)는 조선 제3대 통감(統監)과 초대 총독(總督)을 지내고 일본의 총리대신(總理大臣)을 역임한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 1852~1919)가 한국 재임 중에 수집한 자료를 일본으로 가져가 세운 데라우치문고(寺內文庫, 현 야마구치현립대학 소장)로부터 돌려받은 조선시대 문헌을 말한다.[3]

일본 야마구치현립대학의 데라우치문고에는 조선과 관계된 문헌이 약 1,000여종 1,500여점 소장되어 있다고 한다. 경남대학교 박물관은 이중 98종 135책 1축(1,959점)을 1996년 1월 24일에 일본 야마구치현립대학(山口縣立大學)으로부터 기증받아 전시, 보관하고 있다. 이들 유물은 경남대학교 당국의 적극적이며 지속적인 문화재 환수 의지와 데라우치 가문의 기증 의사, 그리고 한․일의원연명의 협력 등이 함께 어우러져 돌아올 수 있었던 것으로, 해외유출 문화재의 환수의 모범적인 사례로 꼽히고 있다.[3]

경남대학교 박물관 소장 유물들은 우리나라가 어려움에 처했던 시기에 해외로 유출(流出)된 문화재가 민, 관, 학의 협력에 의해 대량으로 환수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더해준다.[3]

지정조서 편집

지정번호 문화재명 수량 소유자 관리자 소재지 비고
509 데라우치 기증 고서화 일괄
(寺內文庫 寄贈 古書畵 一括)
135건 "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 (월영동, 경남대학교)
509-1 별장첩Ⅰ
(別章帖Ⅰ)
1첩 " " " [1]
509-2 강표암선생유묵(경산이한진전서첩)
(姜豹庵先生遺墨(京山李漢鎭篆書帖))
1첩 " " " [2]
509-3 무진조천별장첩 천
(戊辰朝天别章帖 天)
1첩 " " " [3]
509-4 무진조천별장첩 지
(戊辰朝天别章帖 地)
1첩 " " "
509-5 무진조천별장첩 인
(戊辰朝天别章帖 人)
1첩 " " "
509-6 죽천유묵
(竹泉遺墨)
1첩 " " " [4]
509-7 별장첩 Ⅱ
(別章帖 Ⅱ)
1첩 " " " [5]
509-8 정축입학도첩
(丁丑入學圖帖)
1첩 " " " [6]
509-9 정해부연장첩 건
(丁亥赴燕章帖 乾)
1첩 " " " [7]
509-10 정해부연장첩 곤
(丁亥赴燕章帖 坤)
1첩 " " "
509-11 조선진필
(朝鮮眞筆)
1첩 " " " [8]
509-12 조선명가진필
(朝鮮名家眞筆)
1첩 " " " [9]
509-13 조선명가친필
(朝鮮名家親筆)
1첩 " " " [10]
509-14 사찬첩
(賜饌帖)
1첩 " " " [11]
509-15 청송선생진필
(聽松先生眞筆)
1첩 " " "
509-16 동춘간첩
(同春簡帖)
1첩 " " "
509-17 동당첩(제4첩)
(同堂帖(第四帖))
1첩 " " "
509-18 익재월락첩
(益齋月落帖)
1첩 " " "
509-19 완당법첩조눌인병서
(阮堂法帖曹訥人幷書)
1첩 " " "
509-20 어제제명첩
(御製題名帖)
1첩 " " "
509-21 옥동서첩
(玉洞書帖)
1첩 " " "
509-22 백하첩 Ⅰ
(白下帖 Ⅰ)
1첩 " " "
509-23 백하첩 Ⅱ
(白下帖 Ⅱ)
1첩 " " "
509-24 백사수적
(白沙手蹟)
1첩 " " "
509-25 백월선사비
(白月禪師碑)
1첩 " " "
509-26 백화유묵 Ⅰ
(白華遺墨 Ⅰ)
1첩 " " "
509-27 백화유묵 Ⅱ
(白華遺墨 Ⅱ)
1첩 " " "
509-28 필총
(筆叢)
1첩 " " "
509-29 봉산별첩
(鳳山別帖)
1첩 " " "
509-30 조태억 유고
(趙泰億 遺稿)
1첩 " " "
509-31 수북첩
(壽北帖)
1첩 " " "
509-32 유근첩 건
(儒近帖 乾)
1첩 " " "
509-33 유근첩 곤
(儒近帖 坤)
1첩 " " "
509-34 유근첩 둔
(儒近帖 屯)
1첩 " " "
509-35 해동고간독
(海東古簡牘)
1첩 " " "
509-36 해동명필
(海東名筆)
1첩 " " "
509-37 해동명필-김생
(海東名筆-金生)
1첩 " " "
509-38 해동명적
(海東名蹟)
1첩 " " "
509-39 해동필수
(海東筆藪)
1첩 " " "
509-40 한묵청완 건
(翰墨淸玩 乾)
1첩 " " "
509-41 한묵처완 곤
(翰墨淸玩 坤)
1첩 " " "
509-42 한묵림 천
(翰墨林 天)
1첩 " " "
509-43 한묵림 지
(翰墨林 地)
1첩 " " "
509-44 한묵림 인
(翰墨林 人)
1첩 " " "
509-45 감모첩(제2첩)
(感慕帖(第二帖))
1첩 " " "
509-46 간첩
(簡帖)
1첩 " " "
509-47 함영별장첩
(咸營別章帖)
1첩 " " "
509-48 한호씨법첩
(韓濩氏法帖)
1첩 " " "
509-49 간독 Ⅰ
(簡牘 Ⅰ)
1첩 " " "
509-50 간독 Ⅱ
(簡牘 Ⅱ)
1첩 " " "
509-51 간독첩 1
(簡牘帖 一)
1첩 " " "
509-52 간독첩 2
(簡牘帖 二)
1첩 " " "
509-53 간독첩 3
(簡牘帖 三)
1첩 " " "
509-54 간독소집 1
(簡牘小集 一)
1첩 " " "
509-55 간독소집 2
(簡牘小集 二)
1첩 " " "
509-56 기원첩
(綺園帖)
1첩 " " "
509-57 금제농한
(金齌弄翰)
1첩 " " "
509-58 근유첩 1
(近儒帖 一)
1첩 " " "
509-59 근유첩 2
(近儒帖 二)
1첩 " " "
509-60 근유첩 3
(近儒帖 三)
1첩 " " "
509-61 근유첩 5
(近儒帖 五)
1첩 " " "
509-62 흥진첩
(興盡帖)
1첩 " " "
509-63 간첩(계묘사마동방계회첩)
(簡帖(癸卯司馬同榜契會帖))
1첩 " " "
509-64 고간첩 Ⅰ 제1
(古簡帖 Ⅰ 第一)
1첩 " " "
509-65 고간첩 Ⅰ 제2
(古簡帖 Ⅰ 第二)
1첩 " " "
509-66 고간첩 Ⅰ 제3
(古簡帖 Ⅰ 第三)
1첩 " " "
509-67 고간첩 Ⅱ
(古簡帖 Ⅱ)
1첩 " " "
509-68 고간첩 Ⅲ
(古簡帖 Ⅲ)
1첩 " " "
509-69 고간첩 Ⅳ
(古簡帖 Ⅳ)
1첩 " " "
509-70 고려자등탑비
(高麗慈燈塔碑)
1첩 " " "
509-71 갱재첩
(賡載帖)
1첩 " " "
509-72 고독
(古牘)
1첩 " " "
509-73 명현간독 Ⅰ 자
(名賢簡牘 Ⅰ 子)
1첩 " " " [12]
509-74 명현간독 Ⅰ 축
(名賢簡牘 Ⅰ 丑)
1첩 " " "
509-75 명현간독 Ⅰ 인
(名賢簡牘 Ⅰ 寅)
1첩 " " "
509-76 명현간독 Ⅰ 묘
(名賢簡牘 Ⅰ 卯)
1첩 " " "
509-77 명현간독 Ⅰ 진
(名賢簡牘 Ⅰ 辰)
1첩 " " "
509-78 명현간독 Ⅰ 사
(名賢簡牘 Ⅰ 巳)
1첩 " " "
509-79 명현간독 Ⅰ 오
(名賢簡牘 Ⅰ 午)
1첩 " " "
509-80 명현간독 Ⅰ 미
(名賢簡牘 Ⅰ 未)
1첩 " " "
509-81 명현간독 Ⅰ 신
(名賢簡牘 Ⅰ 申)
1첩 " " "
509-82 명현간독 Ⅰ 유
(名賢簡牘 Ⅰ 酉)
1첩 " " "
509-83 명현간독 Ⅰ 술
(名賢簡牘 Ⅰ 戌)
1첩 " " "
509-84 명현간독 Ⅰ 해
(名賢簡牘 Ⅰ 亥)
1첩 " " "
509-85 명현간독 Ⅱ 1
(名賢簡牘 Ⅱ 一)
1첩 " " " [13]
509-86 명현간독 Ⅱ 2
(名賢簡牘 Ⅱ 二)
1첩 " " "
509-87 명현간독 Ⅱ 3
(名賢簡牘 Ⅱ 三)
1첩 " " "
509-88 명현간독 Ⅱ 4
(名賢簡牘 Ⅱ 四)
1첩 " " "
509-89 명현간독 Ⅱ 5
(名賢簡牘 Ⅱ 五)
1첩 " " "
509-90 명현간독 Ⅱ 6
(名賢簡牘 Ⅱ 六)
1첩 " " "
509-91 명현간독 Ⅱ 7
(名賢簡牘 Ⅱ 七)
1첩 " " "
509-92 명현간독 Ⅱ 8
(名賢簡牘 Ⅱ 八)
1첩 " " "
509-93 명현간독 Ⅱ 9
(名賢簡牘 Ⅱ 九)
1첩 " " "
509-94 명현간독 Ⅱ 10
(名賢簡牘 Ⅱ 十)
1첩 " " "
509-95 명현간독 Ⅱ 11
(名賢簡牘 Ⅱ 十一)
1첩 " " "
509-96 홍운당첩
(烘雲堂帖)
1첩 " " "
509-97 구온팔진
(九醞八珍)
1첩 " " "
509-98 파사시
(波斯市)
1첩 " " "
509-99 서화첩
(書畵帖)
1첩 " " "
509-100 낙파필희
(駱坡筆戱)
1첩 " " "
509-101 견성암권호첩
(見聖庵勸護帖)
1첩 " " "
509-102 모하첩
(摸霞帖)
1첩 " " "
509-103 응제계첩
(應製稧帖)
1첩 " " " [14]
509-104 이광사법첩
(李匡師法帖)
1첩 " " " [15]
509-105 인각비
(麟角碑)
1첩 " " " [16]
509-106 육가묵
(六家墨)
1첩 " " " [17]
509-107 삼봉유묵
(三峯遺墨)
1첩 " " " [18]
509-108 성문정공필적
(成文貞公筆蹟)
1첩 " " " [19]
509-109 서담공서정록
(西譚公西征錄)
1첩 " " " [20]
509-110 석봉진묵
(石峰眞墨)
1첩 " " " [21]
509-111 석봉서
(石峰書)
1첩 " " " [22]
509-112 선현유묵
(先賢遺墨)
1첩 " " " [23]
509-113 선현간독
(先賢簡牘)
1첩 " " " [24]
509-114 선배시첩
(先輩詩帖)
1첩 " " " [25]
509-115 선배왕복
(先輩往復)
1첩 " " " [26]
509-116 선세첩(제1첩)
(先世帖(第一帖))
1첩 " " " [27]
509-117 사물잠
(四勿箴)
1첩 " " " [28]
509-118 진신필
(搢紳筆)
1첩 " " "
509-119 최유서
(最遺書)
1첩 " " "
509-120 제가서독
(諸家書牘)
1첩 " " "
509-121 제현간독
(諸賢簡牘)
1첩 " " "
509-122 제신제진
(諸臣製進)
1첩 " " "
509-123 제가서독
(諸家書牘)
1첩 " " "
509-124 집고첩
(集古帖)
1첩 " " "
509-125 창암진묵
(蒼巖眞墨)
1첩 " " "
509-126 존경첩
(尊敬帖)
1첩 " " "
509-127 신행선사탑비
(神行禪師塔碑)
1첩 " " "
509-128 퇴도유묵
(退陶遺墨)
1첩 " " "
509-129 정곡서발
(貞谷書跋)
1첩 " " "
509-130 동화필진
(東華筆眞)
1첩 " " "
509-131 동국제현유묵
(東國諸賢遺墨)
1첩 " " "
509-132 동궁저하수서
(東宮邸下手書)
1첩 " " "
509-133 동궁저하수유
(東宮邸下手諭)
1첩 " " "
509-134 약봉법첩 1
(藥峯法帖 一)
1첩 " " "
509-135 약봉법첩 2
(藥峯法帖 二)
1첩 " " "
509-136 화회문기(구당)
(和會文記(久堂))
1축 " " " [29]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경상남도 고시 제2010-551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고시》, 경상남도지사, 2010-10-14
  2. 경상남도 고시 제2018-485호,《경상남도 지정문화재(문화재자료) 명칭변경 고시》, 경상남도지사, 2018-12-20
  3. 현지 안내문 인용

같이 보기 편집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