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굴꽃꿀박쥐

동굴꽃꿀박쥐 또는 작은새벽박쥐 (Eonycteris spelaea)는 새벽박쥐속에 속하는 큰박쥐류 박쥐의 일종이다.[1] 학명은 1871년 돕슨(Dobson)이 처음 기술했다.

동굴꽃꿀박쥐
동굴꽃꿀박쥐
동굴꽃꿀박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하강: 진수하강
상목: 로라시아상목
목: 박쥐목
아목: 음박쥐아목
과: 큰박쥐과
아과: 긴혀과일박쥐아과
속: 새벽박쥐속
종: 동굴꽃꿀박쥐
(E. spelaea)
학명
Eonycteris spelaea
(Dobson, 1871)

학명이명

Eonycteris bernsteini Tate, 1942[1]
Macroglossus spelaeus Dobson, 1871

동굴꽃꿀박쥐의 분포

동굴꽃꿀박쥐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특징

편집

동굴꽃꿀박쥐의 상체는 회색빛 갈색부터 짙은 갈색까지의 색을 띤다. 상체는 좀더 연한 색을 보이며, 목은 누르스름한 갈색을 띠기도 한다. 주둥이는 가늘고 길며, 특히 꽃꿀을 잘 먹을 수 있도록 발달해 있다. 외부로 잘 발달한 꼬리를 갖고 있다. 몸길이는 8.5-11cm로 측정되며, 꼬리 길이는 약 1.5-1.8cm이고 팔 길이는 6-7cm 정도이다.[2]

서식 및 서식지

편집

동굴꽃꿀박쥐는 일차림과 교란림 그리고 경작지에서 발견된다. 동굴 속 보금자리에서 5만 마리 이상 넘게 큰 집단을 형성하기도 하며, 다른 박쥐 종들과 함께 머물기도 한다. 그러나 다른 장소에서는 잎이 무성한 장소, 준도시 서식지에 잘 적응한 것으로 보인다. 꽃나무와 관목 숲에서 꽃꿀을 찾기 위해서 매일 밤에 수 킬로미터를 이동한다. 이 때문에 동굴꽃꿀박쥐는 두리안과 같은 과일 나무의 수분(受粉, 가루받이)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2]

분포

편집

동굴꽃꿀박쥐는 브루나이캄보디아, 인도네시아(자와섬, 칼리만탄, 수마트라, 술라웨시 그리고 일부 작은 섬들),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중국, 인도 그리고 동티모르에서 발견된다.[2] 이전에는 사바주의 고만통, 수카우, 세가마, 마다이 그리고 사라왁의 니아, 순가이 틴자르, 쿠칭, 칼리만탄의 순가이 텡아와 쿠타이에서도 기록되었다.[3]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2016년 큰박쥐류의 계통 분류이다.[4][5]

큰박쥐과

큰박쥐아과

관코과일박쥐아과

짧은코과일박쥐아과

볏짚색과일박쥐아과

루세트박쥐아과

젠커과일박쥐족

보넷박쥐족

새벽박쥐족

루세트박쥐족

긴털루세트족

안치에타과일박쥐족

작은목도리과일박쥐족

견장과일박쥐족

각주

편집
  1. “Eonycteris spelae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9.1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10년 2월 2일에 확인함. 
  2. Shepherd, Chris R.; Shepherd, Loretta Ann (2012). 《A Naturalist's Guide to the Mammals of Southeast Asia》. Wiltshire, UK: John Beaufoy Publishing. 22쪽. ISBN 978-1-906780-71-5. 
  3. J. Payne; C. M. Francis; K. Phillipps (1985).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Borneo》. Kota Kinabalu, Sabah: The Sabah Society. ISBN 978-967-99947-1-1. 
  4. Almeida, F.; Giannini, N. P.; Simmons, N. B. (2016).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African Fruit Bats (Chiroptera: Pteropodidae)”. 《Acta Chiropterologica》 18: 73–90. doi:10.3161/15081109ACC2016.18.1.003. 
  5. Hassanin, A.; Nesi, N.; Marin, J.; Kadjo, B.; Pourrut, X.; Leroy, É.; Gembu, G.; Musaba Akawa, P.; Ngoagouni, C.; Nakouné, E.; Ruedi, M.; Tshikung, D.; Pongombo Shongo, C.; Bonillo, C. (2016). “Comparative phylogeography of African fruit bats (Chiroptera, Pteropodidae)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outbreak of Ebola virus disease in West Africa, 2014–2016”. 《Comptes Rendus Biologies》 339 (11–12): 517–528. doi:10.1016/j.crvi.2016.09.005. PMID 27746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