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 우호협력조약

동남아시아 우호협력조약(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in Southeast Asia[1], TAC, 문화어: 동남아시아 친선 및 협조 조약)은 동남아시아 국가들 간 강화 조약으로서,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을 조직한 동남아시아의 10개국 지정학적 단체들이 체결하였다.

역사 편집

1976년 2월 24일, 이 조약은 ASEAN을 조직한 구성원들의 리더들에 의해 발효되었으며[2] 이 구성원들의 이름은 리콴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다툭 후세인 온, 큭릿 쁘라못, 수하르토이다.[3]

이 조약은 유엔 총회에 의해 승인되었다.[4]

원칙 편집

조약의 목적은 동남아시아 사람들 간의 지속적인 평화우정, 협력을 제고하여 관계를 증진시키고 굳건하게 하며 가깝게 하는 것이다.

국가 간 관계에서 조약 체결국들은 다음의 기초적인 원칙들을 준수해야 한다.[3]

a. 모든 국가의 주권, 영토 보존, 평등 등을 상호 존중
b. 외압으로부터 자유롭게 국가로서 존재할 권리
c. 당사자 상호 내정 불간섭
d. 분쟁을 평화적 수단으로 해결
e. 무력에 의한 위협, 행사의 포기
f. 당사국 간의 효율적인 협력

가맹국 편집

 
조약에 가맹한 국가들 (연대별)

다음의 표는 조약에 가맹한 국가들의 목록으로, 시간순으로 나열한다:

나라 날짜
인도네시아 1976년 2월 24일
말레이시아 1976년 2월 24일
필리핀 1976년 2월 24일
싱가포르 1976년 2월 24일
태국 1976년 2월 24일
브루나이 1984년 1월 7일[5]
파푸아뉴기니 1989년 7월 5일[4]
라오스 1992년 6월 29일[6]
베트남 1992년 7월 22일[7]
캄보디아 1995년 1월 23일[8]
미얀마 1995년 7월 27일[9]
중화인민공화국 2003년 10월 8일[10]
인도 2003년 10월 8일[11]
일본 2004년 7월 2일[12]
파키스탄 2004년 7월 2일[13]
대한민국 2004년 11월 27일[14]
러시아 2004년 11월 29일[15]
뉴질랜드 2005년 7월 25일[16]
몽골 2005년 7월 28일[17]
오스트레일리아 2005년 12월 10일[18]
프랑스 2006년 7월 20일[19]
동티모르 2007년 1월 13일[20]
방글라데시 2007년 8월 1일[21]
스리랑카 2007년 8월 1일[2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08년 7월 24일[23]
미국 2009년 7월 23일[24]
터키 2010년 7월 23일[25]
유럽 연합 2012년 6월 12일[26]
브라질 2012년 11월 17일[27]
노르웨이 2013년 7월 1일[28]

각주 편집

  1. Treaty of Amity & Cooperation in Southeast Asia
  2. “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in Southeast Asia”. 2016년 1월 24일에 확인함. 
  3. Forty-seventh session of the Geeral Assembly A/C.1/47/L.24 30 October 1992 [1] Archived 2015년 2월 19일 - 웨이백 머신
  4. “Review and implementation of the Concluding Document of the Twelfth Special Session of the General Assembly”.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5. “Instrument of Accession to the 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in Southeast Asia”.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6. “Declaration on the Admission of the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into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2011년 10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However, a United Nations document states that Laos acceded to the treaty on the same day as Vietnam, 22 July 1992. The reason for the discrepancy is not apparent.
  7. “Declaration of the Admission of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 Nam into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2011년 10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8. “Declaration on the Admission of the Kingdom of Cambodia into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2011년 10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9. “Declaration on the Admission of the Union of Myanmar into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2011년 10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10. “Instrument of Accession to the 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in Southeast Asia”. 2008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11. “Instrument of Accession to the 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in Southeast Asia”. 2008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12. “Japan Instrument of Accession to the 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in Southeast Asia”. 2011년 9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13. “The Islamic Republic of Pakistan Instrument of Accession to the 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in Southeast Asia”. 2011년 9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14. “Instrument of Accession to the 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in Southeast Asia by Republic of Korea”. 2008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15. “Instrument of Accession to the 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in Southeast Asia by Russian Federation”. 2008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16. “Instrument of Accession to the 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in Southeast Asia by New Zealand”. 2011년 5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17. “Instrument of Accession to the 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in Southeast Asia by Mongolia”. 2012년 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18. “Instrument of Accession to the 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in Southeast Asia by Australia”. 2008년 6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19. “Declaration on the Deposit of the Instrument of Accession of the French Republic to the 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in Southeast Asia”. 2008년 6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The instrument of accession was deposited half a year after it was signed.
  20. “Instrument of Accession to the 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in Southeast Asia”. 2008년 6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21. “Instrument of Accession to the 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in Southeast Asia”. 2012년 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22. “Instrument of Accession to the 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in Southeast Asia by Sri Lanka”. 2012년 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23. “Instrument of Accession to the 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in Southeast”. 2011년 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23일에 확인함. 
  24. “U.S. Accession to ASEAN's Treaty of Amity and Cooperation (TAC)” (PDF). 2009년 7월 21일에 확인함. 
  25. “Information regarding Republic of Turkey's partnership on Turkish MFA's website”. 2015년 9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5일에 확인함. 
  26. (PDF) EU in Asia http://eeas.europa.eu/asia/docs/2012_eu_in_asia_year_facts_figures_en.pdf=The EU in Asia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2013년 10월 16일에 확인함.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27. “보관된 사본”. 2015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16일에 확인함. 
  28. https://www.regjeringen.no/en/aktuelt/treaty_asean/id731986/. 2013년 10월 16일에 확인함.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