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산

화합물

리포산(영어: lipoic acid, LA)은 카프릴산(옥탄산)으로부터 파생된 유기 황 화합물이다.[3] α-리포산(영어: α-lipoic acid, ALA), 싸이옥트산(영어: thioctic acid)이라고도 한다. 리포산은 동물에서 정상적으로 만들어지며, 호기성 대사에 필수적이다. 또한 제조되어 항산화제로 판매되는 일부 국가에서는 식이 보충제로 사용되며, 다른 국가에서는 의약품으로도 사용된다.[3]

리포산
이름
IUPAC 이름
(R)-5-(1,2-dithiolan-3-yl)pentanoic acid
별칭
α-lipoic acid,
alpha lipoic acid,
thioctic acid,
6,8-dithiooctanoic acid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BI
ChEMBL
ChemSpider
DrugBank
ECHA InfoCard 100.012.793
KEGG
MeSH Lipoic+acid
UNII
  • InChI=1S/C8H14O2S2/c9-8(10)4-2-1-3-7-5-6-11-12-7/h7H,1-6H2,(H,9,10)/t7-/m1/s1 예
    Key: AGBQKNBQESQNJD-SSDOTTSWSA-N 예
  • InChI=1/C8H14O2S2/c9-8(10)4-2-1-3-7-5-6-11-12-7/h7H,1-6H2,(H,9,10)/t7-/m1/s1
    Key: AGBQKNBQESQNJD-SSDOTTSWBZ
  • O=C(O)CCCC[C@H]1SSCC1
성질
C8H14O2S2
몰 질량 206.32 g·mol−1
겉보기 노란색 바늘 모양의 결정
녹는점 60–62 °C (140–144 °F; 333–335 K)
아주 약간 용해됨(0.24 g/L)[1]
ethanol 50 mg/mL에서의 용해도 용해됨
약리학
A16AX01 (WHO)
약물동태학:
30% (oral)[2]
관련 화합물
관련 화합물
리포아마이드,
아스파라거스산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질병 편집

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CMAMMA) 편집

ACSF3 결핍으로 인한 대사성 질환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CMAMMA)에서는 리포산 생합성의 전구체 반응인 미토콘드리아 지방산 합성(mtFASII)이 손상됩니다.[4][5] 그 결과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PDC) 및 α-케토글루타레이트 탈수소효소 복합체(α-KGDH)와 같은 중요한 미토콘드리아 효소의 리포일화 정도가 감소합니다.[5] 리포산을 보충한다고 해서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회복되지는 않습니다.[6][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Lipoic Acid”. 《Pubmed》. NCBI. 2018년 10월 18일에 확인함. 
  2. Teichert, J; Hermann, R; Ruus, P; Preiss, R (November 2003). “Plasma kinetics, metabolism, and urinary excretion of alpha-lipoic acid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in healthy volunteers”. 《The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43 (11): 1257–67. doi:10.1177/0091270003258654. PMID 14551180. S2CID 30589232. 
  3. “Lipoic acid”. Micronutrient Information Center, Linus Pauling Institute, Oregon State University, Corvallis. 2019년 1월 1일. 2019년 11월 5일에 확인함. 
  4. Levtova, Alina; Waters, Paula J.; Buhas, Daniela; Lévesque, Sébastien; Auray‐Blais, Christiane; Clarke, Joe T.R.; Laframboise, Rachel; Maranda, Bruno; Mitchell, Grant A. (2019년 1월).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due to ACSF3 mutations: Benign clinical course in an unselected cohort”. 《Journal of Inherited Metabolic Disease》 (영어) 42 (1): 107–116. doi:10.1002/jimd.12032. ISSN 0141-8955. 
  5. Wehbe, Zeinab; Behringer, Sidney; Alatibi, Khaled; Watkins, David; Rosenblatt, David; Spiekerkoetter, Ute; Tucci, Sara (2019년 11월). “The emerging role of the mitochondrial fatty-acid synthase (mtFASII) in the regulation of energy metabolism”.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Molecular and Cell Biology of Lipids》 (영어) 1864 (11): 1629–1643. doi:10.1016/j.bbalip.2019.07.012. 
  6. Hiltunen, J. Kalervo; Autio, Kaija J.; Schonauer, Melissa S.; Kursu, V.A. Samuli; Dieckmann, Carol L.; Kastaniotis, Alexander J. (2010년 6월). “Mitochondrial fatty acid synthesis and respiration”.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Bioenergetics》 (영어) 1797 (6-7): 1195–1202. doi:10.1016/j.bbabio.2010.03.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