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사이어(Maasai, Masai) 또는 마어(Maa)는 케냐 남부와 탄자니아 북부의 마사이족이 사용하는 나일어족 언어이다. 케냐 중부의 삼부루족이 사용하는 삼부루어와 가까운 관계로, 두 언어는 함께 마어군을 이룬다. 마사이족, 삼부루족, 차무스족, 파라쿠유족은 모두 역사적으로 가까운 관계이며 스스로의 언어를 ɔl Maa라고 부른다.

마사이어
ɔl Maa
사용 국가 케냐, 탄자니아
사용 지역 케냐 중남부, 탄자니아 북부
사용 민족 마사이족
언어 인구 150만 명 (2009 ~ 2016년)[1]
언어 계통 (나일사하라어족?)
 (동수단어족?)
  나일어족
   동나일어파
    테소·로투호·마어군
     로투호·마어군
      마어군
       마사이어
언어 부호
ISO 639-2 mas
ISO 639-3 mas 마사이어
글로톨로그 masa1300[2]

음운론 편집

마사이어에는 30개의 음소가 있다. 마사이어는 성조 언어이다.

자음 편집

마사이어에는 다음과 같은 자음 음소가 있다. 마사이어 정서법에 따른 철자가 국제 음성 기호와 다른 경우 각괄호 안에 나타내었다.

순음 치경음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비음 m n ɲ ny ŋ ŋ ~ ng
파열음 무성음 p t k ʔ ' ~ ʔ
내파음 ɓ ɗ ʄ ɠ g
마찰음 s ʃ h
탄음 ɾ r
전동음 r rr
설측음 l
접근음 연음 w j y
경음 ww wu jj yi

몇몇 방언에서 유성 파열음은 내파음의 성질이 그다지 강하지 않다. 아루샤 방언에서 /p/는 일반적으로 무성 마찰음 [ɸ]로 소리나지만, 어떤 단어에서는 유성 전동음 [[ʙ]]로 소리나기도 한다.[출처 필요] 마사이어 고유어에서 []와 [ʃ]는 상보적 분포를 보여 전자는 자음 뒤에만 나타나고 후자는 그 밖의 환경에 나타난다.

모음 편집

다른 마어군 언어와 마찬가지로 마사이어는 설근 전진 모음 조화 체계를 지녔다. 마사이어에는 아홉 개의 모음 음소가 있으며 그 가운데 /a/는 모음 조화에 있어 중립적이다.[3]

전설 중설 후설
고모음 i u
ɪ ɨ ʊ ʉ
중모음 e o
ɛ ɛ ɔ ɔ
저모음 a

성조 편집

마사이어에는 기본적으로 고조(H)와 저조(L)의 성조가 있으며, 같은 모음에 고조와 저조가 연속해서 오는 경우 하강조(F)가 된다.

문법 편집

마사이어의 어순은 대체로 VSO형이지만, 주어와 목적어를 구분하는 주된 수단은 어순이 아니라 성조를 통한 격 표시이다. 어순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주제성(topicality)으로, 대부분의 단순절에서 어순은 [동사 - 높은 주제성 - 낮은 주제성]의 순서이다. 따라서 목적어가 담화에서 주제성이 높고(예: 1인칭 대명사) 주어가 주제성이 낮다면 VOS형 어순도 가능하다.

마사이어에는 진정한 의미의 전치사가 두 개밖에 없지만, 전치사와 “관계명사”를 사용해 다양한 위치 개념을 나타낼 수 있다. 명사구의 맨 앞에는 지시사 접두사 또는 성-수 접두사가 붙고 그 뒤에 핵어 명사가 나온다. 소유자 등 다른 수식어는 핵어 명사 뒤에 나온다.

마사이어에서는 여러 문법 기능이 성조 패턴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명사의 이나 동사의 등이 그렇다. 다음 예문은 성조에 따라 문장의 의미가 달라지는 것을 보여준다.

표면형 ɛ́yɛ́tá ɛmʊtí
형태소 ɛ̀-ɛ́t-á ɛn-mʊtí(LH)
해석: 3P-remove.one.by.one-PF.SG DEF.FEM.SG-pot(ACC)
번역: “그녀는 냄비를 비웠다.”
표면형 ɛyɛ́ta ɛmʊ́ti
형태소 ɛ̀-ɛ́t-a ɛn-mʊ́ti(HL)
해석: 3P-remove.one.by.one-IMPF.MID DEF.FEM.SG-pot(NOM)
번역: “냄비가 비워졌다.”[4][5]

마사이어 명사는 남성, 여성, 장소의 세 가지 중 하나를 지닌다. 성은 자음 앞에 붙는 접두사로 표시된다.

각주 편집

  1. Maasai, 에스놀로그 (21판, 2018년)
  2.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Masai〉.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3. Payne, Doris L. “The Maasai (Maa) Language”. 2017년 8월 2일에 확인함. 
  4. Payne, Thomas E. (1997). Describing morphosyntax: A guide for field linguist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0–21
  5. “English - Maa”. 《darkwing.uoregon.edu》. 2020년 3월 26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 Andrason, A. and Karani, M. 2019. Dative applicative elements in Arusa (Maa) – A canonical approach to the argument-adjunct distinction. Stellenbosch Papers in Linguistics Plus. Vol. 58, 177-204. doi: 10.5842/58-0-842.
  • Andrason, A. and Karani, M. 2017. The perfective form in Arusa – A cognitive-grammaticalization model. Asian and African Studies, 26:1, pp. 69-101.
  • Andrason, A. and Karani, M. 2017. Radial Categories in Syntax: Non-Resumptive Left Dislocation in Arusa. Studia Linguistica Universitatis Iagellonicae Cracoviensis, 134(2), pp. 205-218. https://doi.org/10.4467/20834624sl.17.014.7088.
  • Karani, M. Kotikash, L. and Sentero, P. 2014. A Unified Standard Orthography for Maa Languages, Kenya and Tanzania: Arusa, Ilchamus, Maasai/Kisongo, Parakuyu, Samburu, Monograph series No. 257. Cape Town, CASAS.
  • Karani, M. (2018) "Syntactic categories and the verb-argument complex in Parakuyo Maasai". PhD Thesis, Stellenbosch University.
  • Mol, Frans (1995) Lessons in Maa: a grammar of Maasai language. Lemek: Maasai Center.
  • Mol, Frans (1996) Maasai dictionary: language & culture (Maasai Centre Lemek). Narok: Mill Hill Missionary.
  • Tucker, Archibald N. & Mpaayei, J. Tompo Ole (1955) A Maasai grammar with vocabulary. London/New York/Toronto: Longmans, Green & Co.
  • Vossen, Rainer (1982) The Eastern Nilotes. Linguistic and historical reconstructions (Kölner Beiträge zur Afrikanistik 9). Berlin: Dietrich Reimer.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