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조실록》(明太祖實錄), 전체 명칭 《대명태조성신문무흠명계운준덕성공통천대효고황제실록》(大明太祖聖神文武欽明啟運俊德成功統天大孝高皇帝實錄)은, 중국 명(明) 왕조의 창업자인 명 태조(明太祖) 홍무제 주원장과 그 아들 건문제(建文帝) 주윤문 이렇게 두 황제의 사적을 기록한 것으로 《명실록》의 하나이다.

명실록은 훗날 청 왕조에서 편찬된 명 왕조의 정사인 《명사》(明史)의 근거 자료가 되었는데, 《명사》예문지(艺文志)에는 《명태조실록》이 모두 257권이 있다고 전하고 있다.

개요 편집

홍무제가 사망하고 이듬해인 건문(建文) 원년(1399년) 동륜(董倫) 등이 처음으로 《명태조실록》을 편수하였으며, 해진(解缙) 등이 영락(永樂) 원년(1403년)에 칙지를 받들어 다시금 중수, 9년(1411년) 요광효(姚廣孝)와 하원길(夏原吉)의 감수 아래 호광(胡廣) 등이 또 다시 편수를 맡아 영락 16년(1418년)에 완성되었다.

《명태조실록》은 홍무제 주원장이 처음으로 백련교도의 난에 가담해 반원 봉기를 시작한 원 지정(至正) 신묘년(1351년)부터 홍무제가 사망하는 홍무(洪武) 31년 무인(1398년)까지 전후 48년에 이르는 시간을 다루고 있으며, 만력(萬曆) 때에 양천민(楊天民) 등의 청구로 건문제의 사적이 뒤에 부록으로 붙었다.

논쟁 편집

《명태조실록》은 홍무제 사망 뒤에 즉위한 건문제 때에 즉시 편수 및 개찬이 이루어졌고, 연왕(燕王) 주체(朱棣)가 정난의 변(靖難之變)이라는 쿠데타를 일으켜 즉위한 뒤에 《명태조실록》의 중수를 명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홍무제나 영락제에 대한 많은 부정적인 역사적 사실이 왜곡되거나 숨겨지게 되었다고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에 의해 여겨져 왔다.[1] 그 가운데 하나를 예로 들면 연왕 주체의 생모에 대한 문제로, 실록에는 연왕 주체가 홍무제의 정실인 효자고황후 마씨의 소생으로서 홍무제의 적자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명 말기 이래로 이 기록의 정확성에 대한 회의를 품는 사람들이 있어 왔고, 연왕 주체는 실제로는 효자고황후 마씨의 소생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각주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