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는 명칭에서도 알 수 있다시피 형태가 없는(무형) 문화재를 가리킨다.

무형문화재에 대한 법률적 정의는 아래와 같다.

무형문화재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가. 전통적 공연ㆍ예술

나. 공예, 미술 등에 관한 전통기술

다. 한의약, 농경ㆍ어로 등에 관한 전통지식

라. 구전 전통 및 표현 마. 의식주 등 전통적 생활관습

바. 민간신앙 등 사회적 의식(儀式)

사. 전통적 놀이ㆍ축제 및 기예ㆍ무예

무형문화재의 전승, 교육 등 관련 내용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고 싶다면 이곳을 클릭하십시오.


역사적으로나 예술적으로 높은 가치와 문화적 기능을 지닌 사람을 인간문화재로 지정하여 그 기능을 후계자에게 전수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비용은 국가가 부담한다. 무형문화재의 종류로는 연극·음악·무용·공예·무예·의식·놀이 등이 있다.

종류 편집

연극 편집

연극에는 인형극인 「꼭두각시놀음」과 가면극이 지정되어 있다. 가면극은 양주별산대놀이·송파산대놀이·하회별신굿탈놀이·봉산탈춤·강령탈춤·북청사자놀음·통영오광대 등이 있다.

음악 및 무용 편집

음악으로는 종묘제례악을 비롯하여 판소리·가곡·가사·범패·대취타·산조 등, 무용으로는 진주검무를 비롯하여 처용무·승무·승전무·학무·살풀이춤 등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공예 편집

나전칠기장을 비롯하여 한산 모시짜기·옹기장 등이 있다. 또한 부채를 만드는 선자장으로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김동식을 비롯한 엄재수 선자장, 박계호 선자장 등이 있다.

의식 편집

의식은 의례 또는 제의라고도 하며, 신이 설정된 공간에서 일정한 예식을 갖추고 행하는 법식을 행사를 말한다. 음력 5월 5일 단오날 강릉 시내에서 제사를 모시고 굿을 하는 강릉단오제 등이 있다.

무예 편집

택견이 있다.

놀이 편집

남사당놀이, 추석을 전후로 달밤에 부녀자들이 뛰노는 강강술래, 안동 차전놀이, 고싸움놀이, 밀양 백중놀이, 줄타기 등이 있다.

음식 편집

조선왕조 궁중음식이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보유자는 한복려, 정길자이다.

활과 화살 편집

무형문화제 47호로 지정되어 있는데, 화살로 나뉘어 있다.

외부 링크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