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병자리 3은 천구 적도 근처의 물병자리 방향에 있는 항성이다. ‘3’ 표기는 플램스티드 명명법에 따른 것이다. 바이어 명명법으로는 물병자리 k, 변광성 표기법으로는 물병자리 EN으로 표기한다.

물병자리 3
명칭
다른 이름 물병자리 EN, 물병자리 3, 물병자리 k, BD–05 5378, FK5 1543, HD 198026, HIP 102624, HR 7951, SAO 144814.[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물병자리
적경(α) 20h 47m 44.23898s[2]
적위(δ) –05° 01′ 39.7220″[2]
겉보기등급(m) 4.429[3]
위치천문학
연주시차 5.57 ± 0.28 밀리초각[2]
성질
분광형 M3 III[4]
추가 사항
표면온도 3,933 켈빈[5]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특징 편집

평균 겉보기 등급은 4.429로 밤하늘에서 맨눈으로 볼 수 있다.[3] 오차범위 5퍼센트 이내에서 이 별의 시차는 5.57 밀리초각으로[2] 별까지의 거리는 약 590광년이다. 물병자리 3의 각지름은 주연감광 효과를 보정하여 5.60 ± 0.70 밀리초각이다.[6] 별까지의 거리로부터 구한 물병자리 3의 반지름은 태양의 108배나 된다.[7] 외곽 대기의 유효온도는 3,933 켈빈으로 우리 눈에 붉게 보인다.[5]

물병자리 3의 분광형은 M3 III으로[4] 적색 거성에 해당하는데, 이는 중심핵에 있던 수소를 모두 태운 뒤 주계열성 단계에서 벗어나 죽어가는 단계에 있다는 뜻이다.

변광성 편집

맥동 주기[8]
주기(일) 진폭(등급)
20.2 0.020
24.9 0.038
27.2 0.027
35.0 0.021
36.9 0.024
143.9 0.022
197.2 0.027

물병자리 3은 변광성인데 표와 같이 변광 주기가 여럿 있다.[8]

각주 편집

  1. “EN Aqr -- Pulsating variable Star”, 《SIMBAD Astronomical Object Database》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2년 7월 16일에 확인함 
  2. van Leeuwen, F. (2007년 11월),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3. Gutierrez-Moreno, Adelina; 외. (1966). “A System of photometric standards” 1. Publicaciones Universidad de Chile, Department de Astronomy: 1–17. Bibcode:1966PDAUC...1....1G. 
  4. Morgan, W. W.; Keenan, P. C. (1973). “Spectral Classification”. 《Annual Review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11: 29. Bibcode:1973ARA&A..11...29M. doi:10.1146/annurev.aa.11.090173.000333. 
  5. Soubiran, C.; 외. (2010년 6월), “The PASTEL catalogue of stellar paramete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15: A111, arXiv:1004.1069, Bibcode:2010A&A...515A.111S, doi:10.1051/0004-6361/201014247. 
  6. Richichi, A.; Percheron, I.; Khristoforova, M. (2005년 2월), “CHARM2: An updated Catalog of High Angular Resolution Measuremen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1: 773–777, Bibcode:2005A&A...431..773R, doi:10.1051/0004-6361:20042039. 
  7. Lang, Kenneth R. (2006), 《Astrophysical formulae》, Astronomy and astrophysics library 1 3판, Birkhäuser, ISBN 3-540-29692-1. . 항성의 반지름(R*)은 다음과 같다.
     
  8. Tabur, V.; 외. (2009년 12월), “Long-term photometry and periods for 261 nearby pulsating M giant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00 (4): 1945–1961, arXiv:0908.3228, Bibcode:2009MNRAS.400.1945T, doi:10.1111/j.1365-2966.2009.15588.x.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