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기(朴鍾基, 1879년 ~ 1939년 또는 1880년 ~ 1947년[1])는 조선 고종, 일제강점기 때의 대금 산조 명인이다. 전라남도 진도(珍島)에서 출생하였다.

대금 연주에서, 정악(正樂)에 김계선(金桂善), 민속악(民俗樂)에 박종기로 쌍벽을 이루었다. 일제 때 삼남지방(三南地方)에서는 ‘박젓대’라면 모르는 이가 없을 만큼 이름을 날렸다. 어려서부터 젓대의 학습에 열심이었고, 뛰어난 재주로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그는 재래의 심방곡(心房曲)·봉장취 같은 곡에도 능하였을 뿐 아니라 판소리 음악에도 조예가 깊어서 산조에 판소리 기법을 많이 활용하여 대금산조의 체계를 세운 공이 크다.

부모의 중병에 살을 도려 약에 쓴 효행을 비롯한 여러 가지 일화를 남긴 기인(奇人)이었다.

조선성악연구회(朝鮮聲樂硏究會)에서 기악 부문의 연주와 교육에 활약하였다. 그의 제자로 한주환(韓周煥)이 있다. 왜정 때 취입한 산조 음반과 많은 기악반주 음반이 남아 있다.

각주 편집

  1. “<화제> 옛 소리 되살려 내는 연주회 잇따라”. 연합뉴스. 1994년 12월 8일. 2015년 8월 16일에 확인함. 1879년에 태어나 1939년에 죽었다는 기록과 1880년에 나서 1947년에 사망했다는 학설이 엇갈리는 朴鐘基는 `朴젓대'라는 애칭으로도 통하는 대금산조의 창시자. 

참고 자료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