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속고등학교

부속고등학교(附屬高等學校) 또는 부설고등학교(附設高等學校)는 독립적으로 세운 고등학교가 아니라, 어떤 기관, 특히 대학교에서 부가적으로 설립한 고등학교를 말한다. 단설고등학교와 대비되는 용어로,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 부설고등학교[1]전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를 제외하면 사립대학교에서 세운 고등학교는 '부속'을, 국립대학교에서 세운 고등학교는 '부설'을 붙인다. 대한민국 최초의 부설형 고등학교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이며,[2] 최초의 사대부고이기도 하다. 조선대학교 여자고등학교의 경우 '부속' 혹은 '부설'을 붙이지 않았지만, 조선대학교에서 설립하였으므로 부설형 학교로 분류된다.

목록

편집

부속고등학교

편집

부설고등학교

편집

각주

편집
  1. 다만,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전환 인가 전, 즉 외국어고등학교 시절에는 '부속'이라고 칭하였다.
  2. 개교 시기상으로는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자고등학교이지만, 원래 단설이었으며, 동국대학교로의 편입은 1967년에 이루어졌고, 2000년대 와서야 현재의 교명으로 바뀌었으므로 최초의 부설형 고등학교라 할 수 없다.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