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耿君/2009년 토론

댓글 남기자 마자 바로 생성해주셨네요.

편집

제가 방금 전에 경군님 홈페이지에 구로이타 가쓰미를 생성해달라는 요청글을 남겼었는데, 댓글 남기자 마자 바로 생성해주셨네요. 이야...대단하시네요. Ş.ßULLET. (토론) 2009년 2월 4일 (수) 16:36 (KST)

안 그래도 생성했다고 S.BULLET.님께 보고(?)드리려던 차에 글을 남겨주셨군요 ㅎㅎ 아직 풍부하지 못합니다. 차차 불려나가겠습니다. - 耿君 (토론) 2009년 2월 4일 (수) 16:41 (KST)
중요한 문서를 생성해주셔서 감사해요. 이마니시 류, 구로이타 가쓰미... 이제 3인방 중에 이나바 이와키치가 남았네요. Ş.ßULLET. (토론) 2009년 2월 4일 (수) 16:43 (KST)
까짓것 그것도 만들지요 ㅋㅋㅋ - 耿君 (토론) 2009년 2월 4일 (수) 16:53 (KST)

저기...

편집

In 1981, with inflation gaining pace, aluminium 1, 5 and 10 lira coins were introduced.

문장에서 "with inflation gaining pace"의 정확한 뜻을 잘 모르겠네요. '인플레이션이 한 걸음씩 증가하자' 라는 뜻인가요? 좀 이상해서...--A. W. ROLAND ː <RECENT> 2009년 4월 3일 (금) 23:02 (KST)

이형주님...제발 이런 행위는 그만두시지요. 이제 더 이상 말릴 사람도 없습니다. --Š.ßULLET. (토론) 2009년 4월 3일 (금) 23:08 (KST)
아니, 제가 매일 하는 것도 아닌데...--A. W. ROLAND ː <RECENT> 2009년 4월 3일 (금) 23:12 (KST)

죄송합니다

편집

제가 멋대로 틀을 올려 드렸네요. 죄송합니다.--위키백과당! (토론) 2009년 4월 26일 (일) 14:00 (KST)

삭제 토론

편집

작성하신 문서가 위키백과:삭제 토론에 올라와 있습니다. 의견을 남겨주세요. ∫ 積分 (토론) 2009년 5월 21일 (목) 00:20 (KST)답변

동명이인에 관해서.

편집

인물 문서를 생성하실때, 일본어 위키에 가나를 입력하여 한번 검색하신 후, 작성하시는 것을 어떨런지요? 그리고, 번주나 기타 동명인 분이 있을 때, 생년으로 구분하는 것이 좋치 않을까요? XXX (~ 번)으로 되어 있으면, 좀 위화감이 드는 것은 사실입니다. --Gwpei (토론) 2009년 5월 27일 (수) 11:22 (KST)답변

앞으로 주의하겠습니다. -- 耿君 (토론) 2009년 5월 27일 (수) 15:37 (KST)답변

장음관련

편집

桑折藩(こおりはん)에서 고오리 번이 고리 번으로 이동하셨던데, 이게 장음과 관련이 있을지 의문입니다. 桑"고" 折"오리"로 문자가 하나하나 다르게 읽어야 되지 않나요? 저도 아직 잘 몰라서요. 우선 그래서 고리 번을 고오리 번으로 옮겼습니다만, 만약 아니라면 다시 옮겨주십시오. 참, 그리고, 일본사 토론에 제시하신 글에 답변 올렸습니다. --Gwpei (토론) 2009년 6월 7일 (일) 22:02 (KST)답변

本居宣長/모토오리 노리나가/모토리 노리나가를 검색한 결과는 모토오리쪽이 많습니다만, 역시 모토리란 명으로도 검색되는 바, 장음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역시 언어란 어렵군요.--Gwpei (토론) 2009년 6월 7일 (일) 22:40 (KST)답변
고오리 번에 대해서는 옮기신 것에 충분히 동의합니다. 감사합니다. -- 耿君 (토론) 2009년 6월 9일 (화) 14:05 (KST)답변
그런데 또 생각해보니 원래 桑은 '구와'이지 않습니까? '구와'+'오리'가 합쳐져서 '고오리'로 바뀐 것이라면, 桑을 '고오', 折을 '리'로 볼 수도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일단은 고오리로 하겠습니다. -- 耿君 (토론) 2009년 6월 9일 (화) 14:09 (KST)답변

중복된 번에 관련해서

편집

제가 일본의 성에 대한 문서를 많이 다루어 일본의 번을 참고로 할 경우가 많습니다. 대충보니 일본의 성과 같이 번의 명칭도 같은 명의 번이 많이 있더군요. 그래서 말인데 표제어 명칭을 일관대게 도도부현으로 구분해 주면 어떨까요

예) 단바 가메야마 번 → 가메야마 번 (교토 부), 이세 가메야마 번 → 가메야마 번 (미에 현)

원채 번이 많다 보니 도도부현으로 하기엔 무리가 있다 하시면 구니를 뒤로 구분하시면 어떨까요

예) 단바 가메야마 번 → 가메야마 번 (단바노쿠니), 이세 가메야마 번 → 가메야마 번 (이세노쿠니)

이렇게 제안해 봅니다. 외람된 말씀이옵니다마는 /분류:일본의 성/가메야마 성/가메야마 성 (교토 부)/가메야마 성 (미에 현)/도 참조 하시면 좋을 줄 압니다. 그럼 좋은 기여 부탁드립니다. --Gwpei (토론) 2009년 6월 11일 (목) 06:48 (KST)답변

단바 가메야마 번, 이세 가메야마 번 하는 표기는 일본어 위키백과의 예를 따른 것이라 그랬습니다. 그런데 번이라고 해도 오늘날의 행정구역과 맞지 않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말씀하신 후자(구니에 따른 구분)를 택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耿君 (토론) 2009년 6월 11일 (목) 15:00 (KST)답변

일본 사람

편집

시대나 지역에 따른 분류가 있다면 일본 사람 분류를 넣는건 중복 아닐까요? 지금 분류:시대별 일본 사람으로 정리중인데 분류:일본 사람과도 많이 겹치네요. -- ChongDae (토론) 2009년 6월 17일 (수) 17:23 (KST)답변

분류 적용 당시에, 상위 분류로 '일본 사람', 그 하위 분류로 시대별 일본 사람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 耿君 (토론) 2009년 6월 17일 (수) 19:09 (KST)답변

시대별 사람 분류에서

편집

일본의 시대별 사람 분류에서 헤이세이 시대까지 분류를 해야되지 않나요. 명확히 구분할려면 말이죠. 그리고, 일본의 정치인이란 분류는 메이지 유신으로 내각이 생긴 이래의 인물에 한정해야되지 않을까 싶네요. 어찌 생각하시는 지요?--Gwpei (토론) 2009년 6월 18일 (목) 00:32 (KST)답변

구분에는 헤이세이까지 해야 된다에 한표입니다. 정치인이 꼭 근대 이후에만 있는 건 아니니 그건 잘 모르겠습니다. 그보다 지금 분류:에도 시대 사람과 분류:에도 시대의 인물이 함께 있는데, 이를 어떻게 하려는지 모르겠군요. -- 耿君 (토론) 2009년 6월 18일 (목) 20:53 (KST)답변
역시 헤이세이 시대까지 해야 되겠군요. 분류:일본 사람이란 분류가 너무 포괄적이다 보니말이죠. 제 정치인 이야기를 왜 메이지 시대 내각이 생긴 이래로 한정했냐고 하면, 에도 시대의 번주 가문 및 가신단들 모두 정치인입니다. 막부의 막신과 조정에 국한되지 않고 사농공상에서 사 계층이 모두 정치인이 되니 메이지 시대에 내각이 생긴 이래로 한 것입니다. --Gwpei (토론) 2009년 6월 18일 (목) 21:10 (KST)답변
아, 분류:에도 시대 사람이 主가 되고, 분류:에도 시대의 인물은 부차적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분류:에도 시대의 인물 분류로 되어 있다면, 분류:에도 시대 사람으로 옮기십시오.라는 표식판 같은 거겠죠. 여기에 관해서는 종대님에게 물어보시기 바랍니다. 저도 잘 몰라서요.--Gwpei (토론) 2009년 6월 18일 (목) 22:44 (KST)답변
참, 분류:에도 시대의 다이묘와 도자마 다이묘, 후다이 다이묘, 신판 다이묘, 이렇게 같이 있는 경우가 일본어 위키백과에 있습니다. 이를 같이 놓아야 되는 지 의문이 드네요. 왜냐하면, 에도 시대의 다이묘와 신판, 후다이, 도자마 다미요의 경우 그 하위분류에 있기 때문에 에도 시대의 다이묘는 필요없는 것으로 생각합니다만, 어떠신지요?--Gwpei (토론) 2009년 6월 26일 (금) 05:29 (KST)답변
아무래도 괜찮습니다 ^^ --耿君 (토론) 2009년 6월 28일 (일) 23:12 (KST)답변

컨퍼런스 관련

편집

컨퍼런스에서 자기 소개 잘 들었습니다^^ 다만, 근처에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인사를 못 드린 게 아쉽네요. --Š.ßULLET. (토론) 2009년 6월 28일 (일) 23:21 (KST)답변

아, 예 ㅎ 감사합니다. 수고 많으십니다. -- 耿君 (토론) 2009년 6월 29일 (월) 10:47 (KST)답변

한자 병기에 관해서

편집

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일본사에 한자 병기에 대해 의견을 교환합시다. 이에 대해 찬반이 갈릴 것 같아 논하고자 합니다. 그럼 좋은 의견 주십시오.--Gwpei (토론) 2009년 6월 29일 (월) 07:48 (KST)답변

토론 보긴 했는데요, 찬반이 갈릴 것 같지는 않군요. 한자표기는 지양하는 것으로 결론이 나있는 것 아닙니까? -- 耿君 (토론) 2009년 6월 29일 (월) 10:47 (KST)답변
아직 모든 분? 프로젝트 참가자의 의견을 다 듣지 못했고, 어느 한도 내에서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조차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경군님은 어느 한도내에서 사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지요? 프로젝트 토론에 의견을 주시기 바랍니다. 강요라고는 생각하시지 말고, 자신의 기준을 말씀하시면 됩니다. --Gwpei (토론) 2009년 6월 29일 (월) 16:04 (KST)답변
경군님 토론방 보다가 우연히 발견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영어 알파벳이나 한자의 병기는 필요하다면 꼭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한글 표기만 가지고는 정확히 알 수 없는 경우가 간혹 있을 수 있고, 정보 전달의 차원에서도 유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사에는 큰 관심은 없으나 일본사 프로젝트에만 한정될만한 사안은 아닌 것 같아 의견을 남깁니다. adidas (토론) 2009년 6월 30일 (화) 23:14 (KST)답변
아, 네... 수고하세요 -- 耿君 (토론) 2009년 7월 1일 (수) 17:04 (KST)답변

문서 제목 변경에 대해서

편집

제가 독음을 잘못 읽어서 '오스가 다다마사(大須賀忠政)'를 '오스카 다다마사'로 생성했습니다;; 혹시 제목을 변경하는 방법을 알고 계신지요? 알고 계시다면 가르쳐 주셨으면 합니다~. 굽신굽신--사쿠라바 (토론) 2009년 7월 7일 (화) 11:45 (KST)답변

문서 위쪽 탭의 '이동'을 누르셔서 원하는 문서 제목으로 변경하시면, 이전에 쓴 제목은 넘겨주기 항목이 되고, 내용은 새 제목으로 고쳐집니다. 이번에는 제가 해드렸습니다. 아, 그리고 기여하실 때 한자 병기가 좀 많은 것 아닌가 싶습니다. -- 耿君 (토론) 2009년 7월 7일 (화) 19:23 (KST)답변
감사합니다. 한자 병기는 어느 정도 선에서 해야 되는 건가요?? 링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하지 않는 것이 좋은 것인가요? 전 좀 지저분한게 보기 좋아 보여서 덕지덕지 붙은 것을 좋아하긴 하지만^^;; 많은 분들이 말씀하시니깐 고치긴 해야 겠는데, 어느 선에서 해야 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일단은 링크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또다른 조언이 있으시다면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쿠라바 (토론) 2009년 7월 7일 (화) 21:02 (KST)답변

반스타

편집
  오리지널 반스타
일본관련문서를 작성해주신 耿君님께 반스타를 드립니다. 늦은 밤 수고 많으십니다. --hun99 (토론) 2009년 7월 22일 (수) 00:51 (KST)답변
하앗, 감사합니다~~ -- 耿君 (토론) 2009년 7월 23일 (목) 15:32 (KST)답변

독음 표기와 틀:일본 무사에 대해서

편집

저는 어제 에도 시대 전기의 다이묘로 센고쿠 무장 혼다 다다카쓰의 후손인 혼다 다다토시, 혼다 다다모치, 혼다 다다하루 등의 기사에 한자 병기와 틀:일본 무사를 적용한 사용자입니다. 한 달 전에 후지이 번이나가키 시게쓰나의 기사에 한자 표기 및 틀:일본 무사를 적용하기도 했고요.

제가 요새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 관련 기사에 한자 표기와 틀:일본 무사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혹시 耿君님께서 다이묘 관련 기사를 올리실 때 틀:일본 무사를 한번 적용이라도 해 보시면 향후 님이 다이묘 관련 기사를 올리실 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저는 믿습니다.

그리고 독음 관련 문제입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앞으로 耿君님의 조언을 많이 받아야 할 것 같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제가 어제 가필했던 혼다 다다토시의 기사에서 그의 양자인 혼다 다다쓰구(本多忠次)의 본명이 毛利匡英이라고 혼다 다다쓰구의 일본어판 기사에 나와 있습니다. 저는 匡英을 마사히데라고 표기했습니다만, 英의 독음이 '히데' 이외에도 '후사'로도 표기된 사례(예:오오카 다다후사(大岡忠英))가 많아서 과연 정확한지 저도 모르겠습니다. 혹시, 이 匡英이 마사후사가 맞나요?--SUPER REXTON (토론) 2009년 12월 12일 (토) 15:52 (KST)답변

독음 부분에 있어서는 그 이름을 쓴 사람에 따라 경우가 다르기 때문에 어느 것이 맞다고 제가 판단할 수 없음은 아마도 SUPER REXTON님께서도 잘 아시리라 믿습니다. 저는 일단 일본어 위키백과에 나와있는 대로 따르는 편이며, 이상하다 느껴질 경우에는 야후!저팬을 참조하거나, 『번사사전』, 『번사대사전』 및 번주 사전 등을 참고하는 편입니다. 의문이 생기신다면 다른 참고자료를 통해 해결하시는 것이 방법일 듯 싶습니다. 따라서 결론은, 일본어 위키백과에 '마사후사'라고 되어 있다면 특별한 사유나 반대 근거가 없는 경우에는 그냥 '마사후사'라고 표기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 耿君 (토론) 2009년 12월 13일 (일) 11:12 (KST)답변
그런데 독음과 관련된 참고 자료 말인데요, 야후!저팬을 참조한다고 하셨는데 그곳에서는 어떻게 독음을 찾을 수 있나요? 구체적으로 알려 주십시오. 그리고, 번사사전』, 『번사대사전』 및 번주 사전 등은 어디서 구할 수 있나요?--SUPER REXTON (토론) 2009년 12월 14일 (월) 19:42 (KST)답변
아, 별건 아니고요, 그 해당 인물의 인명을 야후!저팬에 검색어로 입력해서, 다른 사이트에서는 어떻게 읽는지, 그리고 비슷한 이름의 독법은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것이지요. 책을 어디서 구할 수 있을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현재 제가 가지고 있는 『번사사전』의 서지사항과 기타 『번사대사전』 등의 서지사항을 아래에 적어놓도록 하겠습니다.
  • 藩史硏究會 編, 『藩史事典』, 秋田書店, 1976. (1982년판도 있음)
  • 藩主人名事典編纂委員會 編, 『三百藩藩主人名事典』, 新人物往來社. (일본에서 구매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 내에는 없는 듯 싶군요.)
  • 『藩史大辭典』(전8권), 雄山閣出版社. (서울대 국제대학원 도서관에서 본 적이 있습니다.)

--耿君 (토론) 2009년 12월 15일 (화) 01:04 (KST)답변

"耿君/2009년 토론"의 사용자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