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Wikier/2005-2007년

마지막 의견: 16년 전 (Wikier님) - 주제: 바둑 기전

, 편집

한국어 위키백과에는 이 둘이 따로 존재합니다. 영어로는 둘 다 rice이긴 하지만요. 일본어 위키백과에도 따로 있고요. 편집할때 참고하세요. -- ChongDae 2005년 12월 9일 (금) 02:04 (KST)답변

을 분리했습니다. -- Wikier 2005년 12월 9일 (금) 20:26 (KST)답변

그림 옮기기. 편집

자유 라이센스를 따르는 그림이라면 commons:로 옮기는 게 좋습니다. 다른 언어 위키백과에서 함께 이용할 수 있으니깐요. -- ChongDae 2005년 12월 15일 (목) 17:23 (KST)답변

선거운동 편집

Wikier님, 저 관리자 선거 나왔어요. 한표만 찍어주세요오오오..^^ 위키백과:관리자 선거 --WonYong 2005년 12월 17일 (토) 11:42 (KST)답변

핵분열/핵융합 편집

원자핵 뿐 아니라 세포핵도 분열과 융합을 합니다. "원자핵 분열"과 "원자핵 융합"으로 옮기는게 어떨까요? -- ChongDae 2006년 1월 3일 (화) 01:14 (KST)답변

글쎄요. 일반적으로 핵분열/핵융합이라는 용어는 원자핵에서의 현상을 의미하지 않나요? 세포에서의 분열을 언급할때, 세포핵분열 혹은 세포분열 정도로 하는것이 나을 것 같은데요. 다른 뜻 연결로 충분하지 않을까 싶네요. 세포핵분열이 세포분열 혹은 감수분열 이외에도 아주 빈번하게 발생한다거나 마찬가지로 세포핵융합이 생식과정 이외에도 아주 빈번히 일어나서 언급되는 경우가 많은 경우라면 모르겠지만 말입니다. -- Wikier 2006년 1월 3일 (화) 08:55 (KST)답변

번역 요청 편집

en:Delayed nuclear radiation, en:Conversion electron. 비소의 동위 원소 붕괴시에 사용되고 있네요. 임시로 옮겨 놨는데, 제대로 된 용어로 바꿔주세요. -- ChongDae 2006년 2월 4일 (토) 22:21 (KST)답변

"지체 핵 복사"와 "전환 전자"라고 해두셨던데, 전환 전자는 물리학회 용어집에 의하면 맞고 그래서 영어 문서 자체도 번역을 해 두었습니다만, 지체 핵 복사는 표준 용어가 없네요. 하지만 영어 문서의 내용과 비교해보건데 지체 핵 복사란 말도 내용상 틀린 말은 아닌 듯 합니다. 지체되어 생성되는 핵으로부터의 복사이니까요. 그런데 nuclear radiation 역시도 표준 용어가 없지만, 일부 정부 기관, 일부 민간 기관, 일부 기업체에 따르면, "핵방사"로 자주 쓰는 듯 하군요. 핵 관련해서 radiation은 방사능, 방사선으로 주로 사용되니, "지체 핵 방사"로 바꾸겠습니다. "지체 핵 복사"는 리다이렉션하면 될 듯 하네요. 문제있으면 revert 하세요. :P -- Wikier 2006년 2월 5일 (일) 13:07 (KST)답변

관리자 권한을 드렸습니다. 편집

잘 사용해주세요. -- ChongDae 2006년 3월 10일 (금) 23:00 (KST)답변

네, 밀어주신 분들께 실망을 드리지 않기 위해서라도 노력해야겠네요. 최근 좀 많이 바빠서 원활한 활동을 못하기는 했지만, 앞으로는 짬나는대로라도 와서 봐야겠네요. :) -- Wikier 2006년 3월 10일 (금) 23:54 (KST)답변

공용 SYSOP선출을 위한 선거의 안내 편집

Tomomarusan이 입후보하고 있습니다. 공용에 계정이 있으면 투표를 부탁드립니다.--hyolee2♪/H.L.LEE2006년 3월 15일 (수) 12:49 (KST)답변

감사합니다. 편집

제가 집이 아니라서 대충 해놓고 집에와서 하려 했는데, 많은 부분을 손봐주셨네요. ^^; 감사하구요. 지적해주신 부분대로 하도록 해볼게요. -- Jeong Taek In 2006년 3월 19일 (일) 17:23 (KST)답변

수고 많으셨습니다. 편집

수고 많으셨습니다 ^^; 曹操孟德(寧我不人毋人不我)2006년 3월 31일 (금) 09:43 (KST)답변

충고 감사합니다 편집

에구 그것도 모르고 초보라서 바보짓을 했네요. 정말 죄송합니다. 그리고 조언 감사합니다.

조선 태종 편집

최근에 바뀐 내용을 돌려 놓으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Nichetas 2006년 4월 12일 (수) 22:11 (KST)답변

저작권 위반이기 때문이죠. 사용자토론:211.207.140.149을 참조하세요 -- Wikier 2006년 4월 12일 (수) 23:10 (KST)답변

Response 편집

Yes, I'm the only George McFinnigan. I receive assaults of this user from some months. Thank you. George McFinnigan 2006년 5월 9일 (화) 01:36 (KST)답변

영문 위키백과에서 한국어 위키백과로 번역시의 저작권 관련 문의 편집

일단 여러가지 조언을 해주시고 제 실수를 일일이 바로 잡아 주신것에 대해 깊은 감사의 뜻을 드립니다. 그런데 한가지 문의 하고 싶은게 있습니다. 제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를 영문으로 부터 번역을 해오면서 그림도 같이 옮겨오기 위하여 한국어 위키에 올렸습니다. 그러나 곧 저작권법 위반이라고 삭제되더군요. 제가 올린 사진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박스입니다. 그걸 찍은 사진을 저작권법 위반으로 삭제 되상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제가 앞으로 마리오 브라더스 시리즈 관련 글을 영문으로 부터 번역해오려고 합니다만, 이때도 포스터나 사진을 옮겨 올시에도 삭제 대상이 되는지요? 만약 그것 마져도 저작권법 위반으로 게시가 불가능 하다면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사진 보기가 참으로 어려운것 같습니다. 영문에서도 버젓이 존재하는 사진을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삭제 대상이 되는지 유감일 따름입니다. 혹 Fair use때문이라면... --;; 삭제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관련 사진도 Fair use를 근거로 영문에 올라가있는지요? 아직 초보라서 모르는 것이 많습니다. 앞으로 많은 도움 부탁 드리겟습니다. 가포임상옥 2006년 5월 10일 (수) 15:46 (KST)답변

영어판 위키백과의 해당 그림을 보시면, 미국 저작권법의 fair use에 해당한다라고 올라가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언어의 위키백과에는 fair use의 개념을 인정하지 않고, 한국어 위키백과도 마찬가지입니다. 영문판만 예외적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애니메이션의 TV 방영시의 사진, 저작권이 있는 프로그램의 캡쳐 화면 등 모두 역시 저작권의 제한을 받게됩니다. 그러다보니, 모든 회사 설명에는 해당 회사 로고조차 올라가지 못하고 있긴 합니다. 참고로 한국어 위키백과의 저작권 정책을 만족하는 그림을 올리고 싶으시다면, 한국어 위키백과 대신 위키공용에 올려주시면 다른 언어의 위키백과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Wikier 2006년 5월 10일 (수) 16:03 (KST)답변
FAIR USE의 그림은 공용에 올릴 수 없습니다--hyolee2♪/H.L.LEE2006년 5월 10일 (수) 16:11 (KST)답변

노무현의 보호를 부탁합니다 편집

아들과 딸은 명백히 일반인임에도 불구하고 실명을 쓰는 사용자가 있는데 보호를 부탁합니다.--hyolee2♪/H.L.LEE2006년 5월 12일 (금) 13:48 (KST)답변

해당문서의 이름 작성건에 관해서는 토론:노무현#가족이름에서 논의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무조건 보호요청할 것이 아니라 대화를 통해 설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어떨까요? -- Wikier 2006년 5월 12일 (금) 14:16 (KST)답변
이를 위해서 보호의 필용이 있습니다. 게다가 일반인은 삭제의 대상인데..--hyolee2♪/H.L.LEE2006년 5월 12일 (금) 14:32 (KST)답변

효리님의 되돌리지 못하도록 보호를 요청합니다. -_- --정안영민 2006년 5월 12일 (금) 14:34 (KST)답변

스타크래프트에서 줄을 왜 빼셧나요? ㅜㅜ;; 편집

줄을 넣으면 잘못된건가요? 좀더 깔끔하지 않나요? 지금 보니까 뭐가 뭔지 구분이 안갑니다. 스타일북과 맞지 않는겁니까? 가포임상옥 2006년 5월 16일 (화) 14:05 (KST)답변

전혀 구분 안 가는게 없는데요? 문단구분만으로 충분하지 않을까요? -- Wikier 2006년 5월 17일 (수) 10:28 (KST)답변

저작권 편집

GICT, APRICOT, APNG 등 문서는 http://int.nic.or.kr/info_book.jsp 에서의 문서와 임->이다 등의 어미변환을 빼고는 정확히 동일합니다. 제발 저작권 있는 인터넷문서를 가져오지 마세요 -- Wikier 2006년 7월 26일 (수) 09:03 (KST)

-- 저작권 문제 없는 문서입니다. 지우신 페이지 원복해 주십시오. 김재연 2006년 7월 26일 (수) 10:57 (KST)

저작권은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있습니다.--효리♪ (H.L.LEE) 2006년 7월 26일 (수) 12:25 (KST)답변

그에 관해서는 사용자토론:Jaeyounkim에서 의견을 적어두었습니다. 여러곳에 나뉘어서 보다는 한군데서 토론을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 같네요. -- Wikier 2006년 7월 26일 (수) 12:32 (KST)답변

찬성표 부탁합니다 편집

위키백과:총의를 강제성 없는 위키백과 사용자들의 자발적 규율인 지침으로 제안하였습니다. 위키백과내에서 사용자들의 다수결을 하는 절차에 대한 규정입니다. 토론란에 투표해주세요. 투표기간은 2006년 8월 18일 24:00 까지로 14일간 입니다. 찬성표 부탁합니다. 꾸벅~!! -- 멀뚱이 (토론 / 기여) 2006년 8월 3일 (금) 15:42 (KST)답변

순치제의 사망연도와 연개소문의 일생에 관한 고증 편집

순치제가 1669년에 사망했다는 것은 이월하의 강희대제에서 비롯된 겁니다. 그리고 연개소문은 594~662년까지 살았다고 유현종의 연개소문에 나와있어요. -- 모용방 2006년 9월 7일 (목) 20:37 (KST)

새로운 바벨색상 변경안에 대해 편집

기존의 바벨체계가 중간 여러 단계가 서로 구분되지 않았던 이유로 다시 바벨색상 변경에 대해 제안하고자 합니다.

이번에 제안하고자 하는 것은 제 독자적인 것이 아니라, 이미 에스파냐어 위키백과에서 사용중인 바벨 색상 체계입니다. 기존의 바벨 색상 체계와 크게 다르지 않을 뿐더러 이미 에스파냐어 위키백과에서 사용하고 있다는 전례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측면에서는 새로운 색상체계를 도입하는 데의 문제점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래 예들은 에스파냐어 위키백과에서 구체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예들입니다.

es-0 Este usuario no entiende español
(o lo entiende con dificultad).




es-1 Este usuario puede contribuir con un nivel básico de español.




es-2 Este usuario puede contribuir con un nivel intermedio de español.




es-3 Este usuario puede contribuir con un nivel avanzado de español.




es-4 El nivel de este usuario corresponde al de un hablante nativo del español.




es El nivel de este usuario corresponde al de un hablante nativo del español.




관련 내용에 대한 토론은 위키백과토론:바벨#새 바벨색상 변경 제안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 아이리디 2006년 10월 7일 (일) 21:32 (KST)답변

오랫만에 뵙네요 편집

위키백과에 돌아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정안영민 2007년 12월 20일 (목) 12:18 (KST)답변

오랜만이네요 :) -- Wikier 2007년 12월 20일 (목) 12:37 (KST)답변

위키백과:안내소의 번역 감사드립니다 편집

덕분에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성의껏 답변해주신 것에 대해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 올립니다. BongGon 2007년 12월 27일 (목) 01:13 (KST)답변

바둑 기전 편집

기전(棋戰/碁戰)이라는 단어 속에 바둑(棋/碁)이라는 뜻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바둑 기전"이라고 쓰는 것은 "역전앞"이라는 단어처럼 겹말이 아닐런지요? -- 리듬 2008년 1월 23일 (수) 09:59 (KST)답변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만, 그 바둑 기라는 한자는 일반적으로 둘이 앉아서 두는 놀이를 지칭하기도 합니다. 혹시나 해서 찾아보고 옮겼습니다만, 표준국어대사전에도 기전이 바둑 및 장기에 대한 대회라고 되어 있고, 쇼기 역시 장기의 일종이지만, 바둑 기자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쇼기대회역시 기전이라고 부르고요. 마잔가지로 바둑기사, 장기기사, 쇼기기사등을 구분하기 위해서라도 기전역시 바둑기전으로 옮기는게 어떨까 합니다. 그러고보니 이 토론 역시 차후를 위해 기전에 옮겨둬야겠네요 -- Wikier 2008년 1월 23일 (수) 10:05 (KST)답변
"Wikier/2005-2007년"의 사용자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