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10k/연습장

한국어 위키 API 편집

한국어 위키의 데이타를 불러올 수 있는 api는 https://ko.wikipedia.org/w/api.php 에서부터 시작된다. 해당 문서는 다양한 포맷으로 불러올 수 있는데, JSON 형식이 인기도 좋고 간결해서 사용하기가 편하다.

예를 들어 분류:물리학에 속한 문서들을 얻어오고 싶다면

https://ko.wikipedia.org/w/api.php?action=query&list=categorymembers&cmtitle=Category:물리학&format=json&cmlimit=500

이렇게 할 수 있다. 이런 것도 불러올 수 있다.

https://ko.wikipedia.org/w/api.php?action=query&prop=contributors&titles=Main_Page

위키백과 API를 이용하는 파이썬 모듈 편집

#앵커예제

개인 노트 편집

In 3D,

 

and in 2D,

 

Test 편집

Hello5--10k (토론) 2014년 3월 30일 (일) 02:33 (KST)

NNN 편집

기피신청

  • 제가 이해하기로는 라이딩 님의 요구 사항은 크게 두가지 입니다.
  1. 첫째는 “일베 문서 중재 처리 과정에서 있었던 의혹에 대한 중재위원회의 해명 및 공동체의 논의”인 것 같고, 이것은 이 자리에서 천리주단기 님이 2기 중재위원회를 대표해서 정리하신 해명과, 그 아래에 올라온 다른 분들의 논의를 통해서, 라이딩 님의 요구 사항은 해결되지 않았나 합니다.
  2. 둘째는 “중재위원회 관련 정책 개선”인데, 이것은 새로 출범한 3기 중재위원회+공동체가 함께 장기적으로 논의해 가야 할 사항이고, 이 점에 대해서는 아사달 님 등 2기 중재위원회와는 더 이상 논쟁을 벌일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제가 이해한 바로는 사용자:RidingW 님의 문제제기는 마무리지어도 될 것 같은데, 맞나요? 맞다면 문제제기 당사자가 라이딩 님인 만큼, 라이딩 님이 적절한 마무리 발언을 해 주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10k (토론) 2014년 5월 16일 (금) 09:17 (KST)

장황한 토론자에 대해 편집

반대 투표를 하는 것에 대해 고민을 조금 했습니다. 현재 추세로 봐서 Eggmoon님과 제가 같은 중재위원회에서 일하게 될 가능성이 아주 높은데, 굳이 반대 의견을 표시해서 앞으로 중재위원회 일을 껄끄럽게 만들 필요가 있나 하는 고민을 잠시 했었습니다. 하지만, Eggmoon님에게 많은 분들이 신뢰가 담긴 찬성 표를 던지는 것을 보고, 최소한 반대표 하나 때문에 중재위원회 일을 사사로이 처리하지는 않을 분이라는 확신이 들었고, 굳이 첫 중재에서 차이점을 발견하는 것보다, 여기서 차이점을 일찌감치 분명히 하면 앞으로 타협 방법도 빨리 찾아낼 수 있을 것이므로, 여기에 제 의견을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Eggmoon님을 중재위원으로 반대하는 이유는 중재위원회를 보는 관점 때문이 저와 다르기 때문입니다.

첫째, 제가 볼 때, Eggmoon님과 Sawol님의 중재는 실패한 중재인데, Eggmoon님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으시는 것 같습니다. 최초로 Eggmoon님과 다른 이용자가 Sawol님과의 분쟁을 중재위원회로 가져와 신청자와 피신청자의 의견을 들을 때, Sawol님의 의견은 “아직 해당 문서에서 토론이 진행중이므로 여기서 토론을 다시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Sawol님은 해당 문서에서 토론을 계속하기를 원했고, 이것은 다시 말해서 중재위원회에 가져 오기 전에 해볼 수 있는 모든 노력이 다 시도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제가 볼 때, 해당 분쟁은 Sawol님의 토론 회피가 명백히 아니고, 현재 RidingW님과 관련해 진행되고 있는 사건 처럼 쌍방의 의사소통이 잘 안되었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맨 마지막 “부록”에 잠깐 언급하겠습니다.) 이것은 중재위원회로 올 사안이 아닙니다. 이 분쟁에 대한 해결 노력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중재위원들은 이 문서에 대한 중재를 거절했어야 하고, 정말 분쟁을 해결하고 싶었다면 중재위원들이 그 문서로 가서, 그분들의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게 옳았다고 생각합니다.

둘째, Eggmoon님이 보는 중재위원회는 본인은 그 표현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으시지만, “최고권위 재판소”입니다. 저는 그와 같은 관점이 최선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제 중재위원 선거 문서에서 남겼듯이 저는 중재위원회는 고도의 중재능력을 갖춘 중재소이고, 이 “고도의 중재능력”이란, 신청인과 피신청인이 둘다 수용할 수 있는 타협안을 기가 막히게 잘 찾는 능력입니다. 이것은, 하나의 정해진 규칙으로 분쟁을 해석하고 정책에 어긋나는 행위를 찾아내는 “심판”과는 구별되는 능력입니다. 악의적인 어그로꾼은 중재위원회로 가져올 필요도 없이, 토론 문서에서 명백하게 드러나므로 사용자들의 총의를 모아 관리자가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중재위원회로 가져와야 하는 사안은, 두 사안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가운데, 양쪽이 서로를 잘 이해하지 못해 타협안을 만들 수 없는 경우입니다. 그런 경우, 중재위원들이 머리를 싸매고 함께 토론하면 분쟁 양측이 서로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고, 위키백과의 정책·지침에 대한 깊은 이해와 막강한 권한을 가진 중재위원들이 쌍방이 함께 받아들일 수 있는 타협안을 찾아내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물론 이와 같은 “중재소식 접근”은 “재판소식 접근”보다 머리를 많이 써야 하고, 문서를 많이 읽어야 하고, 시간이 더 걸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접근을 통해서 위키백과는 더욱 다양한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더 열린 공동체가 될 것입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Eggmoon님이 중재위원이 된다면 수용하겠지만, 제 의견을 묻는다면 반대입니다. --10k (토론) 2014년 5월 6일 (화) 01:34 (KST)

부록: 긴 글에 대한 거부감
위키백과에는 긴 글에 대한 거부감이 있습니다. 최근 라이딩 님이 긴 글로 사랑방을 폭격하는 바람에 그것 때문에 질타를 받았고, 긴글이 나타나면 꼭 제재되는 사람이 한둘씩 생기게 마련입니다. 위의 Sawol님의 경우나 라이딩 님의 경우, 혹은 제가 중재를 시도했지만 성공적이지 못했던 토론:낙랑군 문서, 위키백과에서 유일하게 영구보호된 탄금대 전투도 마찬가지입니다. 이것은 개인 사용자의 문제가 아니라 위키백과의 약점입니다. 긴 글이 나타나는 경우, 물론 참여자가 말을 장황하게 하는 습관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토론에서 다루는 사안이 복잡하기 때문인 경우도 있습니다. 복잡한 공부를 독학이든 수업으로든 배운 사람들이라고 해서, 자기 주장을 핵심을 간략하게 근거를 정확하게 제시하는 법은 따로 배우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어려운 주제를 다루는 토론에서, 쌍방이 자기 주장을 정리해서 전달하지 못해서 논란이 길어지는 것은 흔히 있는 일입니다. 그런 토론에는 제 3자가 개입하기는 커녕, 기존의 참여자들도 떨어져나가게 됩니다. 한국어 위키백과가 이와 같은 복잡한 토론을 처리할 능력을 배양한다면 위키백과에 훨씬 더 전문적이고 고도화된 문서들이 등장하리라 생각합니다. --10k (토론) 2014년 5월 6일 (화) 01:34 (KST)

2014년 5월 6일 (화) 01:34 (KST)

4 편집

위키백과:중재위원회_선거/2013년_12월/Hijin6908#반대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반대 투표에 의견을 다는 것은 반박할 수 없는 의견이 확대 재생산되는 패턴을 보여준다. 투표에는 정말 투표만 하고, 의견은 의견란에만 달도록 총의를 모아야 할 것이다.

Tsunami, 아드리앵, Jtm71, 콩가루

Galadrien, 라이딩, Asadal

가입하신지 한달도 안되셨는데, 편집 관련으로 큰 분쟁에 휩싸이셔서 불편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4년 제26주에서는 사람들이 새로 온 사람들의 기여에 대해 칭찬하자고 해 놓고는 실제 논쟁에서는 편의를 봐 주질 않는군요. 몇 가지 팁을 드리자면,

  1. 위키백과에서는 백:신뢰할만한 출처가 최고의 무기입니다.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믿을만하고 공신력있는 문헌만 제시하면 거의 모든 문제가 해결됩니다.
  2. 만일 현 논쟁으로 너무 시간을 많이 뺏긴다는 생각이 드시면, 잠깐 중단하셔도 됩니다. 갑자기 잠수를 타시라는 말은 아니고요, “현 상황에서 반대가 많으시니 일단 유보합시다” 정도로 해 두고, 나중에

5 편집

관리자 권한 회수 선거가 단지 관리자와의 분쟁이 있을 때 해결수단으로 이용되지 않도록, 그리고 관리자로 봉사하시는 분들이 봉사를 하면서 관리자 권한 회수 선거에 대해 걱정을 할 필요가 없도록, 관리자의 권한 회수 투표가 시행되는 이유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자 합니다.

한국어 위키는 위키백과:관리자#요구 사항 에서 관리자는 언제나

  1. 공정하고 세심한 판정을 내려 문제를 해결하고,
  2. 책임감 있게 역할을 수행하고,
  3. 보안을 중요시해야 합니다

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위키백과:관리자_권한_회수#권한을 회수해야 하는 경우에서 관리자가

  1. 권한을 오남용하여 위키백과에 해를 끼치는 경우,
  2. 위키백과의 정책과 지침을 중대하게 또는 지속적으로 위반하는 경우,
  3. 신임을 상실하는 경우

에 권한을 회수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1. 중재위원회의 결정 무시
    (경우 2) 중재위원회가 관리자의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은 위키백과:중재#중재위원회가 내릴 수 있는 결정 정책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중재위원회의 결정을 무시하는 것은 정책을 위반한 것입니다.
  2. 공동체의 총의 무시
    현재 정책·지침에서 관리자가 총의를 따라야 하고 총의 형성에 기여할 수 없다는 내용은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3. 중재 절차에서 허위 발언
    (경우 3) 거짓말을 하면 신임을 상실합니다.
  4. 사용자:Bonafide2004 차단 과정
    (경우 1, 경우 2) 위키백과:차단 정책#사유의 명백성에 명시된 차단의 명백한 사유 확보를 위해 노력한 흔적을 찾을 수 없습니다.
  5. 틀토론:인터위키 필요
    (경우 3) 거짓말을 하면 신임을 상실합니다.
  6. 총의 저지를 위한 허위 발언
    (경우 3) 거짓말을 하면 신임을 상실합니다.
  7. 반대자 차단 요청
    Hun99, 라노워엘프를 직접 차단하지 않았기 때문에 권한 남용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8. 지난 투표 종료 이후 한국어 위키백과 공동체에 대한 기만
    (이 부분은 해명 요구인 것 같습니다.)
  9. 관리자 알림판 부정 사용
    이 부분은 명백하게 관리자 권한을 회수하는 경우에 명시된 부분은 아닙니다. 관리자로서 압력을 행사한 것으로 비춰져 부적절할 수는 있지만, 명백하지는 않습니다.
  10. Lhrdrth 차단 과정
    (경우 2) 위키백과의 백:차단 정책#차단 사유가 아닌 경우는 과열된 토론을 중지시키기 위한 도구로 차단을 이용하지 말 것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11. 관리자 회수 토론에 불참
    (의무 2) 책임감은 관리자의 의무 사항 중의 하나입니다. 특별한 사유없이 위키백과 토론에만 불참하는 것은 책임을 저버리는 행위입니다.

6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