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Ginipigs/연습장

정보격차 편집

위키피디아

정보격차는 사회, 지리적 또는 지정학적 기준에 기초하여 정의할 수 있는 다수의 구별되는 그룹들 간에 정보통신기술(ICT)에 대한 접근, 이용 또는 영향을 불균등하게 분배하는 것이다.[1]

디지털 격차라는 용어는 Lloyd Morrisett이 Markle 재단(Hoffman, et al., 2001) 이사장으로 있을 때 처음 만들었다. 전통적으로 접근성이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로 여겨지던 세계 휴대전화 보급률이 95%를 넘는 것은 점점 더 많은 대역폭과 더 적은 기술자 사이의 상대적 불평등이 되고 있었다.[2][3][4][5][6][7][8]

  • 연결 대상 : 개인, 단체, 기업, 학교, 병원, 국가 등.
  •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구별되는 특성 또는 속성 : 소득, 교육, 나이, 지역, 동기, 사용하지 않는 이유 등
  • 사용법이 얼마나 정교한가 : 간단한 접근, 검색, 상호작용성, 집중적이고 광범위한 사용, 혁신적인 기여 등
  • 주제가 연결시키는 것에 : 유선 또는 모바일, 인터넷 또는 전화, 디지털 TV, 광대역 등[9]

다른 저자는 다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정보격차의 다양한 정의를 이끌어낸다. "예를 들어, 3가지 다른 주제(개인, 조직 또는 국가)로만 계산하고, 각각 4가지 특성(연령, 부, 지리, 부문)을 가지고 있으며, 3가지 수준의 디지털 채택(접근, 실제 사용 및 효과적인 채택), 6가지 유형의 기술(고정 전화, 모바일...인터넷...)을 구별하고 있으며, 이미 3x4x3x6 = 216개의 다른 방법으로 정보격차를 정의하고 있다. 이들 각각은 똑같이 합리적으로 보이며 분석가가 추구하는 목표에 따라 달라진다. "정보 격차"는 유사한 의미를 가진 다양한 다른 용어로도 언급되며, 디지털 포괄, 디지털 참여, 기본 디지털 기술, 미디어 리터러시 및 디지털 접근성 등의 강조점이 약간 다를 수 있다.[10][11][12][13][14][15]

미국에 본사를 둔 비영리 단체인 National Digital Enclusion Alliance는 "정보 격차"라는 용어가 여러 가지 분열이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신에, 그들은 다음과 같은 정의를 제공하는 "디지털 포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선택했다. 디지털포용은 가장 불리한 개인과 커뮤니티가 정보통신기술(ICT)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활동을 말한다. 여기에는 1) 저렴하고 강력한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 2)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인터넷 사용 가능 장치, 3) 디지털 사용능력 교육에 대한 접근성, 4) 품질 기술 지원, 5) 자급성, 참여 및 협업을 가능하게 하고 장려하기 위해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 및 온라인 콘텐츠의 5가지 요소가 포함된다.[16]

일부 사람들은 인터넷과 다른 정보통신 기술에 접근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온라인 쇼핑, 온라인에서 정보를 검색하거나 기술 직업에 필요한 기술을 배울 수 없기 때문에 불이익을 받을 것이라고 우려한다. 이로 인해 접근성이 없는 사람들에게 컴퓨터와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생겨났다. 하지만 가난하고 혜택 받지 못한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오락에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부유한 가정의 어린이와 청소년들에 비해 사람들과 직접 대면하는 데 더 적은 시간을 보내면서 역격차도 일어나고 있다.[17]

세계의 다른 국가 또는 지역 간의 분열을 글로벌 정보격차라고 하며,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의 기술격차를 국제적 규모로 조사한다. 국가 간의 격차(미국의 정보격차 등)는 개인, 가구, 기업 또는 지리적 영역 간의 격차(일반적으로 다른 사회경제적 수준 또는 다른 인구통계학적 범주)를 나타낼 수 있다.[1][18][19]

연결 수단 편집

사회 기반 시설 편집

 
대역폭 측면에서 측정한 정보격차는 좁혀지지 않고 위아래로 요동치고 있다. 전 세계 개인 간 통신 용량(kbit/s)에 대한 지니 계수

개인, 가정, 기업 및 지역사회가 인터넷에 연결하는 인프라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기본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 아이팟 또는 기타 MP3 플레이어, Xbox 또는 PlayStation과 같은 게임 콘솔, 전자 책 리더, 아이패드와 같은 태블릿과 같이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리적 매체를 다룬다.[20]

전통적으로 격차의 특성은 기존 가입 건수와 디지털 기기로 측정해 왔다. 그러한 기기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일부 사람들은 자연적이고 거의 자동적인 과정의 결과로 개인들 간의 정보 격차가 점점 더 좁혀지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다른 이들은 미디어에 대한 접근과 사용의 격차를 해소하는 데 시간이 경과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이 요구된다는 증거로 여성, 인종 및 소수민족, 저소득층, 농촌 거주자,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들 사이의 지속적인 연결 수준을 지적한다. 최근의 연구는 디지털 격차를 기술적 장치가 아닌 개인별 기존 대역폭 측면에서 측정했다.[21][22][23]

측면의 그림에서 보듯이, kbit/s의 정보격차는 단조롭게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새로운 혁신으로 다시 상승하고 있다. 예를 들어, "90년대 후반에 인터넷과 휴대전화의 대규모 보급"은 정보격차를 증가시켰고, "2003~2004년 광대역 DSL케이블 모뎀의 초기 도입은 불평등 수준을 증가시켰다." 새로운 종류의 연결성이 사회 전체에 한 번에 즉각적이고 균일하게 도입되는 경우는 결코 없지만,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서서히 확산되기 때문이다. 도표에서 알 수 있듯이 2000년대 중반에는 유선전화만 존재하던 1980년대 후반보다 통신능력이 더 뚜렷하게 분배되었다. 가장 최근의 디지털 평등 증가는 최신 디지털 혁신(예: 고정 및 모바일 광대역 인프라, 3G, 광섬유 FTTH)의 대규모 확산에 기여한다. 디지털 격차의 측정 방법론,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통합 반복적 접근 일반 프레임워크와 측정 모델 DDG(디지털 격차 간격)에 따른 디지털 격차 모델링 이론을 사용하여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에 존재하는 격차를 분석한다. 이것은 유럽연합의 27개 회원국들 사이의 격차다.[24][25][26]

통합 변수로서의 비트 편집

참조 편집

  1. U.S. Department of Commerce, National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 (NTIA). (1995). Falling through the net: A survey of thehave nots in rural and urban America. Retrieved from, http://www.ntia.doc.gov/ntiahome/fallingthru.html.
  2. Compaine, B.M. (2001). The digital divide: Facing a crisis or creating a myth? Cambridge, Massachusetts: MIT Press
  3. "Percentage of Individuals using the Internet 2000–2012",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Geneva), June 2013, retrieved June 22, 2013
  4. Hilbert, Martin (2013). "Technological information inequality as an incessantly moving target: The redistribu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apacities between 1986 and 2010" .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5 (4): 821–835. doi:10.1002/asi.23020.
  5. Eszter Hargittai. The Digital Divide and What to Do About It. New Economy Handbook, p. 824, 2003.
  6. Karen Mossberger (2003). Virtual Inequality: Beyond the Digital Divide. Georgetown University Press
  7. Blau, A (2002). "Access isn't enough: Merely connecting people and computers won't close the digital divide". American Libraries. 33 (6): 50–52.
  8. Graham, Mark (2014). "The Knowledge Based Economy and Digital Divisions of Labour". Pages 189–195 in Companion to Development Studies, 3rd edition, V. Desai, and R. Potter (eds).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ISBN 978-1-44-416724-5 (paperback). ISBN 978-0-415-82665-5(hardcover).
  9. "Digital Divide and Global Inequalities in Education"
  10. Hilbert, Martin (2011). "The end justifies the definition: The manifold outlooks on the digital divide and their practical usefulness for policy-making" (PDF). Telecommunications Policy. 35 (8): 715–736. doi:10.1016/j.telpol.2011.06.012.
  11. "Dashboard – Digital inclusion". GOV.UK. Retrieved October 26, 2018.
  12. https://digitalparticipation.scot/
  13. "Tech Partnership Legacy". Thetechpartnership.com. Retrieved October 26, 2018.
  14. "Media literacy". Ofcom. Retrieved October 26, 2018.
  15. Rouse, Margaret. "What is digital accessibility? - Definition from WhatIs.com". Whatis.techtarget.com. Retrieved October 26, 2018.
  16. "NDIA". 2017. Retrieved June 25, 2018.
  17. Bowles, Nellie (October 26, 2018). "The Digital Gap Between Rich and Poor Kids Is Not What We Expected".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July 8, 2019.
  18. Norris, P. (2001). Digital Divide: Civic Engagement, Information Poverty and the Internet Worldwide Archived October 24, 2009, at the Wayback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Chinn, Menzie D. and Robert W. Fairlie. (2004). The Determinants of the Global Digital Divide: A Cross-Country Analysis of Computer and Internet Penetration. Economic Growth Center. Retrieved from [1]
  20. Zickuher, Kathryn. 2011. Generations and their gadgets.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21. Hilbert, Martin (2016). "The bad news is that the digital access divide is here to stay: Domestically installed bandwidths among 172 countries for 1986–2014". Telecommunications Policy. 40 (6): 567–581. doi:10.1016/j.telpol.2016.01.006.
  22. Dutton, W.H.; Gillett, S.E.; McKnight, L.W.; Peltu, M. (2004). "Bridging broadband internet divide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9 (1): 28–38. doi:10.1057/palgrave.jit.2000007. S2CID 11827716.
  23. Kathryn zickuhr. Who's not online and why? Pew Research Center, 2013.
  24. SciDevNet (2014) How mobile phones increased the digital divide; http://www.scidev.net/global/data/scidev-net-at-large/how-mobile-phones-increased-the-digital-divide.html
  25. Abdalhakim, Hawaf., (2009). An innovated objective digital divide measure,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Computer, Volume 6, No.12 (Serial No.61), USA.
  26. Paschalidou, Georgia, (2011), Digital divide and disparities in the use of new technologies, https://dspace.lib.uom.gr/bitstream/2159/14899/6/PaschalidouGeorgiaMsc2011.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