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페라존

3세대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세포페라존(Cefoperazone)은 3세대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로, 화이자세포비드(Cefobid)라는 상품명으로 판매한다. 세프타지딤, 세페핌과 함께 슈도모나스에 효과가 있는 몇 안되는 세팔로스포린 약물 중 하나이다. 다른 세팔로스포린 계열 약물처럼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작용한다.

세포페라존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6R,7R)-7-[(2R)-2-{[(4-Ethyl-2,3-dioxopiperazin-1-yl)carbonyl]amino}-2-(4-hydroxyphenyl)acetamido]-3-{[(1-methyl-1H-1,2,3,4-tetrazol-5-yl)sulfanyl]methyl}-8-oxo-5-thia-1-azabicyclo[4.2.0]oct-2-ene-2-carboxylic acid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62893-19-0
ATC 코드 J01DD12 QJ51DD12
PubChem 44185
드러그뱅크 DB01329
ChemSpider 40206
화학적 성질
화학식 C25H27N9O8S2 
분자량 ?
SMILES eMolecules & PubChem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
생물학적 반감기 ?
배출 ?
처방 주의사항
임부투여안전성 ?
법적 상태
투여 방법 ?

특허가 출원된 것은 1974년, 의료용 사용이 승인된 것은 1981년이다.[1] 베타-락타메이스 억제제설박탐과 병합된 약제인 세포페라존/설박탐 (상품명: 설페라존)이 사용되기도 한다.

활성 범위 편집

세포페라존은 광범위 항생제에 속하며 호흡기, 비뇨기, 피부, 여성 생식기 등의 감염 원인균을 주로 표적으로 한다. 다음은 몇몇 주요 세균의 최소 저지 농도(MIC) 자료이다.

부작용 편집

세포페라존은 N-메틸싸이오테트라졸 (NMTT 또는 1-MTT) 곁사슬을 가지고 있다. 항생제 분자가 체내에서 분해되면 유리 NMTT가 방출되면서 저프로트롬빈혈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는 비타민 K 에폭사이드 환원효소가 억제되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또한 유리 NMTT가 디설피람과 유사하게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를 억제하여, 에탄올을 마실 시 숙취와 비슷한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3] 이러한 디설피람 유사 반응(disulfiram like reaction)은 세포페라존 외에도 세파만돌, 세포테탄, 세푸록심 등 다른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4][5]

각주 편집

  1. Fischer J, Ganellin CR (2006).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영어). John Wiley & Sons. 494쪽. ISBN 9783527607495. 
  2. “Cefoperazone (Cefobid) - The Antimicrobial Index Knowledgebase - TOKU-E”. 《antibiotics.toku-e.com》. 
  3. Stork CM (2006). 〈Antibiotics, antifungals, and antivirals〉. Nelson LH, Flomenbaum N, Goldfrank LR, Hoffman RL, Howland MD, Lewin NA. 《Goldfrank's toxicologic emergencies》. New York: McGraw-Hill. 847쪽. ISBN 0-07-143763-0. 2009년 7월 3일에 확인함. 
  4. Uri, J. V.; Parks, D. B. (1983년 6월). “Disulfiram-like reaction to certain cephalosporins”. 《Therapeutic Drug Monitoring》 5 (2): 219–224. doi:10.1097/00007691-198306000-00013. ISSN 0163-4356. PMID 6224316. 
  5. Dong, Hongmei; Zhang, Ji; Ren, Liang; Liu, Qian; Zhu, Shaohua (2013). “Unexpected death due to cefuroxime-induced disulfiram-like reaction”. 《Indian Journal of Pharmacology》 45 (4): 399–400. doi:10.4103/0253-7613.114991. ISSN 1998-3751. PMC 3757612. PMID 24014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