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빈 이씨(昭嬪 李氏, 생몰년 미상)는 조선 중기의 왕실의 여인으로, 제14대 선조의 사친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유모이다.

생애 편집

조선 중기의 왕실의 여인으로 생몰년 미상, 본관은 함양(咸陽)이다. 제14대 선조의 사친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유모이다. 내명부 품계 빈(嬪)에 책봉된 것으로 보아 왕의 후궁으로 볼 수 있으나, 정확한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리고 소빈에 대한 사료는 조선왕조실록(광해군일기)을 통해 어디에 살았으며, 누구인지를 조금 파악할 수 있을 뿐이다. 광해군일기에 처음 등장하는데, 내용을 보면

1617년(광해 9) 6월 7일 영건 도감이 아뢰기를,

사직을 설치한 것은 제도가 아주 잘 갖추어져서, 동서 남북에 각각 보수(步數)가 있어 분명하게 「여지승람(輿地勝覽)」에 실려 있습니다. 그러니 비록 한 치의 땅이라도 침범해서는 안됨이 분명합니다. 현재 외간의 물의가 모두 ‘사직의 담장을 안쪽으로 들여 쌓는 것이나 사우를 이설하는 것이 모두 온당치 못하다.’고 하고 있습니다만, 그 사이에 어찌 경중이 없겠습니까. 지금 성상의 분부를 받들건대, 성상의 뜻이 지당하다는 것을 모르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반복해서 생각해 보건대, 사직의 담장을 들여 쌓는 것이 대원군의 사우(德興宮)를 옮기는 것보다 훨씬 더 온당치 못합니다. 더구나 소빈(昭嬪) 댁은 바로 대원군의 양댁(養宅)입니다. 임진년 난리 뒤에 대원군의 신주를 여러 해 동안 이곳에다 봉안(奉安)하였으며, 그 집의 동산은 넓고 툭 트였으며 높고 습기가 없어서 사우를 세우기에 아주 마땅합니다. 그리고 성지(性智) 역시 조용하고 평온하여서 옛 사우보다 더 나을 것이라고 하는 바, 대원군을 떠받드는 예에 있어서 조금도 흠이 없을 듯합니다. 성지와 시문용(施文用)은 비록 들여 쌓고자 하나, 풍수에 무방한데 어찌 이처럼 편리한 계책을 버려두고 억지로 침범해서는 안 될 지역에 들여 쌓겠습니까. 황공하게도 감히 아룁니다.”하니, 답하기를,“두 가지 일이 다 타당치 못한 듯하다. 널리 조정의 의견을 모아서 정하라.”하였다.[1]

그리고 덕흥대원군의 증손인 밀산군 이찬신도비에도 소빈에 대해 잠깐 나오는데, 신도비 내용은 이러하다.

“처음에 부군(밀산군)은 아버지(당은군 이인령)의 명으로 소빈(昭嬪)의 제사를 모시기로 하여 소빈의 옛 집에서 살았다. 광해군이 별궁(인경궁)을 영건할 때 터가 좁다고 걱정하자 존속 한 사람이 그 집을 헌납해버려 부군은 한 마디도 못하고 곧장 북쪽 산 아래 새로 집을 지었다.” 기록이 있다.[2]

현재 소빈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덕릉마을 내 도정궁 사손 당은군이인령묘 좌강에 있다.

각주 편집

  1. 광해 116권, 9년(1617 정사 / 명 만력(萬曆) 45년) 6월 7일(경자)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2. 종실밀산군정혜공이찬신도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