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루츠키 방정식

슬루츠키 방정식(영어: Slutsky equation)은 경제학에서 한 재화의 가격 변화로 인한 수요의 변화가 대체 효과와 소득 효과의 결과로 이루어진 것임을 나타내는 공식이다. 수학자이자 경제학자인 예브게니 슬루츠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방정식

편집

상품 수요량의 증가는 대체 효과와 소득 효과 두 부분으로 분해할 수 있다. 그림이 다음과 같을 때 수요량  가 증가하면 대체 효과가 일어났다고 하며 이는 증가한 수요량에 기존 수요량을 빼준 값과 같다. 이 식은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도 있다.[1]

 

이렇게 변형한 식의 양변을 가격 변화폭  로 나눈다. 그러면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1]

 

이 식의 좌변인  은 명목 소득인  이 일정할 때 어떤 상품의 가격에 변화가 있을 때 이 상품의 수요의 변화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 다음과 같은 표현으로 바꿀 수 있다.  은 실질 소득으로  는 쌀 가격 하락에 따른 실질 소득의 증가를 나타내며,  는 실질 소득의 증가에 따른 그 상품 수요량의 증가를 나타낸다.[1]

 

만약 소비자가 상품 150단위를 소비하고 있는 중이라면 상품 가격이 1 내렸을 때 소비자가 절약할 수 있는 지출은 150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품 가격 하락에 따른 실질 소득의 증가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품 수요량   가 붙는 이유는 상품 가격이 내려가 음의 값을 갖게 되면 실질 소득은 증가해 양의 값을 가지게 되고 상품 가격이 올라 양의 값을 가지게 되면 수요는 감소해 음의 값을 가지기 때문이다.[2]

 

소득 효과는 한 상품의 가격이 변하여 실질 소득의 변화가 생길 때 그 상품의 수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측정하고자 한다. 이때 실질 소득과 명목 소득을 서로 구분하지 않는다고 하면 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게 된다. 이 식을 슬루츠키 방정식이라 부르며 가격 효과가 대체 효과와 소득 효과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식이 된다.[2]

 

각주

편집
  1. 이준구 2007, 64쪽
  2. 이준구 2007, 65쪽

참고 자료

편집
  • 이준구 (2008년 7월 20일). 《미시경제학》. 법문사.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