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팔리어: mohamūlacittāni, moha-mūla citta, 영어: consciousness rooted in delusion),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해로운 마음, 미혹에 뿌리박은 마음 또는 미혹에 뿌리박은 해로운 마음은 특히 상좌부의 교학과 아비담마 그리고 수행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  · 3불선근(癡, 어리석음, 미혹)를 직접적 원인 또는 주 원인으로 하여 일어나는 다음의 2가지 마음을 말한다.[1]

  1. 평온이 함께한, 의심과 결합한 마음
  2. 평온이 함께한, 들뜸과 결합한 마음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은 다음의 분류 또는 체계에 속한다.

편집

1. 평온이 함께한, 의심과 결합한 마음 편집

예를 들어,

  • 인과(업과 업의 과보)에 대해 의심하고 있어서 도둑질을 하는 것이 나쁜 과보를 가져올 것이니 그 물건을 훔치지 않아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그 물건을 내가 가지게 되는 것이니 그냥 나의 이익이 될 것인지 판단[慧]을 못내리고 있을 때
  • 인과(업과 업의 과보)에 대해 의심하고 있어서 10악 중 살생(殺生, 살아있는 중생을 죽이는 행동), 투도(偸盜, 도둑질 · 사기 · 횡령), 사음(邪婬, 애인·배우자 이외의 사람과 부정한 성교행위), 망어(妄語, 속일 목적으로 행해지는 거짓말), 양설(兩舌, 이간질 · 고자질 · 불필요한 참견), 악구(惡口, 괴롭힘·따돌림 · 욕설·비방·모욕 · 악성댓글), 기어(綺語, 진실과는 거리가 먼 교묘하게 날조된·꾸며진 말)와 10선 중 불살생 · 불투도 · 불사음 · 불망어 · 불양설 · 불악구 · 불기어 중 지금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할지 결정[慧]을 못내리고 있을 때
  • 인과(업과 업의 과보)에 대해 의심하고 있어서 보시를 하고 를 지키고 수행을 하는 실제 행동을 행하지[慧, 如實正行] 못하고 있을 때

2. 평온이 함께한, 들뜸과 결합한 마음 편집

예를 들어,

  • 강의를 듣고 있지만 마음이 들떠 있어서 한 마디도 귀에 들어오지 않을 때
  • 오늘 미팅에서 만난 상대가 자꾸 생각이 나고 마음이 들떠 곧 닥쳐온 시험 공부가 되지 않을 때
  • 오늘 있었던 괴로운 일 때문에 자꾸 생각이 나고 마음이 안정되지 못해 매일 하던 고요명상 수행을 할 수 없을 때

용어 편집

평온 편집

평온(平穩, 팔리어: upekkhā, 팔리어: upekṣā)은 5수 가운데 사수(捨受)를 말한다. 사수에는 크게 나누어 두 가지 수준이 있는데, 하나는 균형 · 평형 · 평정 · 좌로도 우로도 치우지치 않음 · 편견과 선호에 휩쓸리지 않음 · 좋음과 싫음에 휘둘리지 않음의 느낌의 뛰어난 상태 혹은 선한 상태의 (捨)의 마음작용을 말한다. 이 마음작용은 수염(修厭) · 4무량심(四無量心) 등의 수행을 통해 개발하여야 하는 마음작용이다. 다른 하나는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 좋지도 싫지도 않은 느낌, 그저 그런 느낌, 무덤덤한 느낌을 말한다. 이 마음작용은 자연히 존재하는 마음작용이다. 즉, 수행 등의 별다른 노력이 없어도, 지은 바 업에 따라 그 과보로서 자연히 느끼게 되는 느낌이다.[2]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에서의 평온은 이 후자의 것을 뜻한다.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이 일어날 때는 마음에 드는 대상[可意境]를 만나도 마음에 드는 일[可意事]로 경험되지 않아서 정신적인 기쁨 즉 희수(喜受)를 느낄 수 없다. 그리고 마음에 들지 않는 대상[不可意境]을 만나도 마음에 들지 않는 일[不可意事]로 경험되지 않아서 정신적인 불만족 즉 우수(憂受)를 느낄 수 없다. 이런 이유로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 두 가지는 모두 사수(捨受) 즉 불고불락수와 함께한다.[3] 또한 의심[疑] 즉 결정하지 못하는 마음작용이나 들뜸[掉擧] 즉 날뛰며 안정되지 못한 마음작용과 함께하는 마음(식, 요별, 앎; 여기서는 제6의식)은 이 마음작용들로 인해 대상에 대해 그것이 (유익함)인지 불선(해로움)인지 무기(유익하지도 해롭지도 않음)인지 결정적인 판단을 못 내린다. 이 때문에 마음은 결정적으로 희수(기쁨)와 상응하지도 못하고 결정적으로 우수(불만족)와 상응하지도 못한다. 이런 이유에서도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 두 가지는 모두 사수와 함께한다.[3]

의심 편집

의심[疑]은 인과 · 연기법 · 4성제 등의 진리에 대해 의심하고 따라서 진리에 맞는 행동을 미루는 것을 말한다.[4]

들뜸 편집

들뜸[掉擧]은 마음이 고요하지 않고, 담백하지 않고, 흔들리고, 요동하고, 나부끼고, 소란스럽고, 시끄러운 것을 말한다.[5]

각주 편집

  1. Bhikkhu Bodhi & Allan R. Bomhard (2007).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pp.30~31.
    §6. Consciousness Rooted in Delusion (mohamūlacittāni) — 2

    11. Upekkhāsahagataṁ vicikicchāsampayuttam ekaṁ.
    12. Upekkhāsahagataṁ uddhaccasampayuttam ekan ti.
    Imāni dve momūhacittāni nāma.
    Icc’evaṁ sabbathā pi dvādasākusalacittāni samattāni.

    11. One consciousness, accompanied by equanimity, associated with doubt.
    12. One consciousness, accompanied by equanimity, associated with restlessness.
    These two types of consciousness involve sheer delusion.
    Thus end, in all, the twelve types of unwholesome consciousness.
  2. Bhikkhu Bodhi & Allan R. Bomhard (2007).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p.35.
    Accompanied by joy (somanassasahagata): The word somanassa, “joy,” is derived from su- = “pleasant” + manas- = “mind;” thus, it means, literally, a pleasant mental state. Somanassa is a type of feeling, specifically, pleasant mental feeling. All consciousness is accompanied by some feeling, which may be physical or mental, pleasant, painful, or neutral. Somanassa is a feeling that is mental rather than physical (bodily), and pleasant rather than painful or neutral. This feeling “accompanies” (sahagata) this type of consciousness in that it is inextricably blended with it, just as when the waters of two rivers meet, they blend together and cannot be distinguished. The Abhidhamma describes four cittas rooted in greed (lobha) and accompanied by a joyful mental feeling (somanassa). The other four cittas in this class are accompanied by equanimity (upekkhāsahagata). The word upekkhā is often used in the Pāḷi texts to signify the lofty spiritual quality of equanimity, or impartiality, the state of mind that cannot be swayed by biases and preferences. Here, however, the word is used simply to mean neutral feeling, a mental feeling that leans neither towards gladness nor sadness. In contrast to pleasant and painful feelings, which experience an object in diametrically opposed ways, upekkhā experiences the object in a neutral manner. Thus, upekkhā, or “equanimous feeling”, is also called “adukkhamasukhā vedanā,” “neither-painful- nor-pleasant feeling.”
  3. Bhikkhu Bodhi & Allan R. Bomhard (2007).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p.31.
    Accompanied by equanimity (upekkhāsahagata): Even if a desirable object is present when a delusion-rooted consciousness arises, it is not experienced as desirable and thus pleasant mental feeling (somanassa) does not arise. Similarly, an undesirable object is not experienced as such, and thus unpleasant mental feeling (domanassa) does not arise. Moreover, when the mind is obsessed by doubt (vicikicchā) or restlessness (uddhacca), it is not capable of forming a determinate positive or negative evaluation of the object, and thus cannot be associated with either pleasant or painful feeling. For these reasons, the feeling that accompanies these two cittas is neutral, the feeling of equanimity (upekkhā).
  4. Bhikkhu Bodhi & Allan R. Bomhard (2007).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p.31.
    Associated with doubt (vicikicchāsampayutta): The commentators give two etymological explanations of the word vicikicchā: (1) vexation due to perplexed thinking; and (2) being devoid of the remedy consisting in knowledge.29 Both these explanations indicate that vicikicchā, usually translated as “doubt,” more precisely means “perplexity,” “skepticism,” or “indecisiveness” due to the prevalence of delusion. The citta associated with this “doubt” is the first type of consciousness rooted in delusion.
    29 (1) vici- (vicinanto) = “inquiring” + kicch- “to be vexed;” (2) vi- = “devoid of” + cikicchā = “remedy.”
  5. Bhikkhu Bodhi & Allan R. Bomhard (2007). 《A Comprehensive Manual of Abhidhamma》. Charleston Buddhist Fellowship. p.32.
    Associated with restlessness (uddhaccasampayutta): Restlessness (uddhacca) is disquietude, mental distraction, or agitation, and the citta infected by this restlessness is the second type of consciousness rooted in delusion. According to the Abhidhamma, the mental factor of restlessness is found in all twelve unwholesome cittas (see Chapter 2, §13), but, in the other eleven cittas, its force (satti) is relatively weak, and its function is secondary. However, in this last type of citta, restlessness becomes the chief factor; thus, this last type alone is described as consciousness associated with restless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