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호좌수영수성창설사적비

여수호좌수영수성창설사적비(麗水湖左水營守城創設事蹟碑)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적비이다. 1998년 8월 13일 전라남도의 문화재자료 제202호로 지정되었다.

여수호좌수영수성창설사적비
(麗水湖左水營守城創設事蹟碑)
대한민국 전라남도문화재자료
종목문화재자료 제202호
(1998년 8월 13일 지정)
수량1기
시대조선시대
주소전라남도 여수시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사적비란 어떠한 사건이나 사업에 관련된 사실이나 자취를 기록해 놓은 비이다. 이 비는 조선 영조 49년(1773) 호남좌수사로 부임해온 김영수가 전라좌수영의 성을 크게 다시 지어 새로이 하고, 군사를 정비하며, 군기, 잡물 등을 마련한 사실과 월과미[1], 털 없는 겉벼 등을 마련해 놓았던 사실을 적고 있다.

비각 안에 모셔둔 비는 네모난 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모습으로, 비몸 앞면에 ‘호좌수영수성창설사적비’라는 비의 명칭을 가로로 새겨 놓았다. 비문은 한줄에 42∼45자씩 14줄의 글을 세로로 적어 놓았다.

정조 3년(1779) 지방의 군사들과 승병들이 뜻을 모아 세운 것으로, 이 비를 통하여 영조 말·정조 초 호남좌수영의 시설과 설비, 운영경비 및 이의 마련방법, 사병·승병을 비롯한 지방민들의 협조상황 등을 알 수 있어 호남지방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에도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각주 편집

  1. 月課米:중앙에서 지방의 관아에 매달마다 부과하였던 세금

참고 문헌 편집